라우아키 나물라우루루 마모에

Lauaki Namulauulu Mamoe
라우아키 나물라우 마모에 1900년경

라우아키 나물라우 마모에(Lauaki Namulau'ulu Mamoe, 1915년 12월 14일 사망)(Lauati라고도 함)는 유명한 웅변가 추장이자 식민지 시절 사모아의 저항운동인 마우(Mau)의 초대 지도자였다.[1] 마모는 1909년 사이판으로 유배되었다. 그는 1915년 사모아로 끌려가면서 사망했다.

사바이섬 파아살레가 정치구의 수도인 사포툴라페이 출신이었다.[2] 마타이 족장 나물라우울루는 사포툴라페이 출신이고, 다른 족장 라아키통가 출신이다.[3] 마모는 나물라우울루 가문의 진정한 상속자들로부터 선한 봉사를 통해 물려받은 나물라우울루와 라우아키 작위를 모두 가진 첫 가문이었다. 독일 통치하의 재판 결과를 불확실한 그는 동생 풀리에게 '나물라우루루'라는 칭호를 수여하기로 결정했는데, 동생 풀리도 유배되어 사모아로 돌아가게 되었다.

르 마우 오 풀레

1900년대 아피아 항구의 독일 순양함 SMS 팔케호.

사바이이에서 라우아키가 주도한 저항 운동은 후에 전국적인 마우 운동으로 성장한 마우 아 푸레 (Mau a Pule)(1908)로 불렸다.[4] 마우아 푸레는 독일 총독 빌헬름 솔프가 이끄는 식민 통치 하에서 전통적인 사모아 권위를 잃는 것에 항의하는 추장들을 대표했다. 마우 어 푸얼은 전통적인 사모아를 대표했는데, 그 방법이나 조직에서 유럽의 영향력이 전혀 또는 거의 없었다.[5] 라우아티는 마우에게 Pule 지원을 조직하기 위해 사바이이의 주요 엘리트들에게 의존했다.

Pule은 사바이이섬을 대표하고 사말리에토아 왕족에 속했던 추장들에게 붙여진 전통적인 명칭이다. 라아키 나물라우울루는 사모아의 전통적 권력 브로커들이 국가적으로 중요한 문제를 결정하기 위해 만났을 때 푸를의 고언장직을 맡았다. 사모아의 주요 전통적 권력 브로커는 풀과 투무아였다. 투무아는 우폴루 섬 출신으로 다마 아이가의 왕족을 지원했던 본관이다. 우폴루는 사모아 군도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이다. 이 두 명의 강력한 전통 족장들 간의 경쟁과 경쟁은 사모아의 전통적인 정치 구조의 역동성을 부채질했다.

라우아키와 그의 추종자들은 사모아의 결정권자로서의 권위를 외국 세력에 양보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 이것은 수천 년의 역사적 사건, 문화적 지정과 업적을 바탕으로 한 전통적 정치 구조의 권위를 유지하고자 했던 마우 아 푸얼 운동의 원동력이었다. 라아키의 생각에서 이러한 토착적 구조는 물론, 사모아 전통적 권위에 대한 외국의 간섭에 대항하여 싸운 마타아파 이오세포를 비롯한 많은 사모아 족장들도 사모아의 문화 구조에 너무 깊이 뿌리박혀 있었기 때문에, 사모아 사람들이 관개되는 세계에 사는 것은 라아키로서는 받아들일 수 없었다.고도가 높은 곳

망명

1909년 첫 달, 솔프 총독은 군부를 불러 라아키와 마우 아 푸를 사바이이(Savai'i)로 격퇴시켰다. 동아시아 중대에서 온 4척의 군함과 군대가 도착했다. 군함들은 우폴루에서 사바이이호를 차단했다.[1]

1909년 4월 1일, 라우아키는 다른 사포툴라파이의 추장들과 Pule 지지자들인 Mau와 함께 항복했다. 그들은 체포되어 재판을 받았다.[6] 1909년 4월 19일, 라우아키와 마우 아 푸레[7] 71명은 SMS 재규어호에 승선하여 마리아나 제도사이판(독일 식민지)으로 유배되었다. 다른 마우아 푸레의 지도자들로는 I'ga Pisa, Asiata Tautoloa, Leiataua Mana, Namulauu Pulali, Tuilagi Letasi 등이 있었다.

독일 군함에 타고 있던 망명자 일행과 왼쪽에서 세 번째로 서 있는 라우아티와 함께 1909년.

망명자 중에는 라아키의 아내 시바오텔과 그들의 외동딸 티볼리를 포함한 여성과 아이들이 있었다. 라우아키는 다시는 사모아를 보지 못했고 추방된 사람들 중 많은 수가 유배지에서 죽었다. 몇 년 후, 몇몇 망명자들은 사모아로 돌아왔다.[8]

1915년 12월 18일, 추방된 사람들 중 일부는 사이판에서 돌아왔다. 그들은 레이타우아 마나, 타우파우 파우시, 타갈로아, 말라울루였다. 아시아타 태톨로아, 테바가, 레타시, 투일라기, 사이판에서 죽은 가족 구성원들의 뼈도 되살아났다.

라우키의 동생은 사이판에서 죽었다.[9]

일부 망명자들은 사이판에서 죽은 사람들의 뼈를 싣고 사모아로 돌아온 반면, 라우아키는 병에 걸려 길버트 제도타라와 섬에서 가족과 함께 멈춰야 했다. 나물라우울루루 로아키는 그의 조국 사모아에 대한 민족주의, 애국심, 충성심을 보여준 최초의 사모아인이었다.

죽음

1909년 독일 군함에 탑승한 라우아티(왼쪽)와 마타이 족장 2명. 세 가지 모두 마타이 웅변기 상태 – 푸(나무 손잡이가 달린 유기농 노니트로 만든 플라이 위스크)의 상징을 가지고 있다.

1916년 1월 15일, 라아키의 아내 시바오텔과 그들의 아들은 아투아 기선을 타고 사모아에 다시 도착했다. 그들은[10] 라우아키가 1915년 12월 14일 밤 10시에 타라와에서 사망했다는 소식을 가져왔다.[11]

레거시

라우아키가 죽고 1920년대 후반에 이르러 마우 운동은 사모아에서 광범위한 지지를 모아왔다. 1920년대 마우의 지도자 중 한 명은 사푸네에서 사모아 어머니와 스웨덴의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상인 올라프 프레데릭 넬슨이었다. 넬슨도 사모아에서 유배되었다.

사모아는 1962년에 정치적 독립을 얻었다.

참조

  1. ^ a b [1], 국제역사사전: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by Trudy Ring, Robert M. Salkin, Paul E Shelinger, Sharon La Boda, 페이지 726
  2. ^ [2], 1918년까지의 사모아 역사, 제5장 테오 투발레에 의한 1822년 이후 사모아에서 일어난 사건 기록
  3. ^ [3] 소장품, NZ 테파 국립박물관
  4. ^ "Mau a Pule - Samoan political movement".
  5. ^ [4] 앨버트 웬트의 서양의 수호자, 페이지 29. 2009년 10월 31일 검색됨
  6. ^ [5], Peter J. Hempenstall & Noel Lutherford, 페이지 28에 의한 식민지 태평양에서의 항의와 반대
  7. ^ "Archived copy"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7 February 2009. Retrieved 7 March 2009.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8. ^ 사모아 역사학자 테오 투발레에 의한 1918년까지의 사모아 역사에서.
  9. ^ [6] 앨버트 웬트의 서양의 수호자, 페이지 28. 2009년 10월 31일 검색됨
  10. ^ [7], Te'o Tuvale의 1918년까지의 사모아 역사 설명, 페이지 99
  11. ^ "Tapuitea, Vol. II, No. 27, 20 November 2007, Government of American Samoa"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8 May 2008. Retrieved 24 September 2013.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