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메트포드
Lee–Metford리–메트포드 | |
---|---|
![]() | |
유형 | 서비스 라이플 |
원산지 | 영국 |
근무이력 | |
근무중 | 1888–현재 (cerem) |
사용자 | 사용자 보기 |
워즈 | 여러 식민지간의 분쟁. 제1차 중일 전쟁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제2차 보어 전쟁 복서의 난 영국의 티베트 원정 1904년 파라과이 혁명[1] 제1차 세계 대전 (유한) 아일랜드 독립 전쟁 차코 전쟁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2] 제2차 세계 대전 |
생산이력 | |
디자이너 | 제임스 패리스 리, RSAF 엔필드 |
제조자 | RSAF 엔필드 |
단가 | £3/15/– = £3.75 - 1892- |
제작 | 1884–1896 |
변종 | MLM Mk II MLM 카빈 찰턴 자동 소총 |
사양 | |
길이 | 49.5 in (1,257 mm) |
통 길이 | 30.2 in (767mm) |
카트리지 | 카트리지 .303 Mk I |
캘리브레 | .303인치 (7.7mm) |
액션. | 볼트액션 |
불의 속도 | 20라운드/분 |
입마개 속도 | 2,040 ft/s (621.8 m/s) |
유효 사격장 | c. 800야드(730m) |
최대 사격범위 | 1,800야드(1,600m) |
급전계 | 8개 또는 10개의 라운드 잡지 |
구경거리 | 슬라이딩 리프 후방 시야, 고정 기둥 전방 시야, "다이얼" 장거리 발리 시야 |
리-메트포드 소총(일명). Magazine Lee–Metford, 약칭 MLM)는 James Paris Lee의 후방 잠금 볼트 시스템과 분리 가능한 잡지와 William Ellis Metford가 디자인한 혁신적인 7개의 홈 리플링 배럴을 결합한 볼트 액션 영국 육군 소총입니다. 그것은 마르티니를 대체했습니다.헨리 라이플은 9년간의 개발과 시험을 거쳐 1888년에 짧은 기간 동안 사용되었지만 유사한 리-엔필드로 대체될 때까지 사용되었습니다.
설계.

이 선수의 볼트 액션 메커니즘은 당시의 다른 디자인에 비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 후면에 장착된 러그는 작동 핸들을 라이플맨에 훨씬 가깝게, 방아쇠 위에 놓았습니다. 이로 인해 전방에 장착된 다른 러그 디자인보다 훨씬 더 빠르게 작동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해 라이플맨은 볼트를 조작하기 위해 손을 앞으로 움직여야 했습니다. 또한 소총수는 엄지와 검지 사이의 볼트를 잡고 중지로 방아쇠를 작동시킬 수 있었습니다.
- 볼트의 이동 거리는 카트리지 길이와 동일한 반면, 전방 장착 러그 설계에서 볼트 이동은 카트리지 길이에 러그 길이를 더한 값이었습니다. 이것은 또한 소방관이 볼트를 다시 뽑을 때 얼굴을 밖으로 들어 올릴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 볼트 리프트는 일부 프랑스 및 Mauser 스타일의 동작이 90도 회전한 것과 비교하여 60도였는데, 이는 볼트 핸들이 열린 위치에 있을 때 라이플맨이 시야 사진을 잃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Lee는 사용 중인 일체형 잡지를 대부분의 리피터로 대체하기 위해 우수한 분리형 박스 잡지를 선보였으며, 이 잡지는 경쟁사의 Mannicher 디자인보다 더 큰 용량을 제공했습니다. Metford의 다각형 리플링은 배럴에 쌓인 가루 잔여물로 인한 오염을 줄이고 청소를 쉽게 하기 위해 채택되었습니다.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리-메트포드는 검은색 분말 카트리지를 사용했기 때문에 시대착오적이었습니다. 소총이 도입될 무렵, 소총 설계는 연기나 잔여물 없이 훨씬 빠른 속도로 탄환을 추진할 수 있게 해주는 작은 칼리브릴 무연 분말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넘어갔습니다. 소총용으로 제작된 .303 탄약은 원래 무연 추진제를 탑재할 예정이었으나 개발이 길어지면서 무연 추진제 선정이 늦어졌고, 그 사이 영국군은 검은 가루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코다이트 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을 때, 더 깊고 사각형으로 절단된 엔필드 리플링 패턴 소총이 제공할 수 있는 10,000발에 비해 약 6,000발이 지나면 배럴이 닳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얕은 메트포드 리플링과 함께 사용하기에 완전히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엔필드 통을 장착한 리 소총은 리 엔필드(Lee Enfields)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4] 블랙 파우더 사용으로 인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Lee-Metford는 짧은 사용 기간 동안 몇 번의 수정을 거쳤으며, 주요 변경 사항은 잡지(8라운드 단일 스택에서 10라운드 스태거드로), 시야 및 안전입니다. 1895년부터 리-메트포드는 위에서 설명한 이유로 리-엔필드에 유리하게 단계적으로 폐지되기 시작했습니다. 엔필드 배럴과 무연 추진제에 의해 가능한 더 평평한 궤도로 조정된 조준경을 변경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교체
리-메트포드 소총의 교체는 달성하는 데 몇 년이 걸렸고, 그들은 1899년 제2차 보어 전쟁 동안 일부 부대에서 여전히 사용되었습니다. 영국 소총은 공장 수준의 열악한 조준과 품질 관리로 인해 400야드(370m) 이상의 범위에서 비참하게 부정확하게 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획된 리-메트포드 소총은 그들의 마우저 탄약이 다 떨어졌을 때 보어스의 주요 무기가 되었습니다.[5][6]
영국은 완전히 새로운 라이플인 패턴 1913 엔필드(Pattern 1913 Enfield)를 수정된 마우저 디자인을 기반으로 고려했지만 제1차 세계 대전으로 개발이 중단되었고 적응력이 뛰어난 리 엔필드(Lee-Enfield)는 반세기를 더 보냈습니다.
영국군에서 리-메트포드는 후대의 라이플 패턴(예: 충전기 적재 및 SMLE 패턴인 쇼트 라이플)의 표준으로 업그레이드되었지만, 배럴은 거의 항상 엔필드 패턴의 라이플로 전환되었습니다. 리-메트포드(Lee-Metford)는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기 전까지 민간 표적 사격 선수들이 상업적으로 생산하여 사용했습니다. 리-메트포드는 본질적으로 리플링의 엔필드 패턴보다 더 정확하다고 여겨졌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배럴과 볼헤드는 소유자가 원하는 대로 또는 여유가 있는 만큼 자주 교체할 수 있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대영제국의 많은 지역에서 예비군으로 남아있었으며, 심지어 더 많은 현대식 소총을 얻을 수 있을 때까지 뉴질랜드 홈 가드와 호주 의용 수비대에 보급되었습니다. 리-메트포드는 애솔 하이랜더스와 함께 아직도 의례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찰턴 자동 소총

소수의 리-메트포드 소총들은 실험적인 반자동 장전 시스템으로 만들어졌거나, 영국의 하웰과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라이더와 같은 것들로 개조되었습니다. 그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뉴질랜드인에 의해 설계된 찰턴 자동 소총입니다. 1941년 필립 찰튼은 그 당시 만성적으로 부족했던 브렌과 루이스 총 경기관총의 대체품 역할을 했습니다.[7][8] 제2차 세계대전 중 뉴질랜드의 육상 병력 대부분은 북아프리카에 배치되었습니다. 1941년 일본이 전쟁에 참전했을 때 뉴질랜드는 일본이 침략을 선택할 경우 지역 방어에 필요한 경기관총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뉴질랜드 정부는 리-메트포드 소총의 자체 적재 개조 개발에 자금을 지원했습니다.[9] 최종 결과는 1942년부터 뉴질랜드의 홈 가드 부대에 발행된 찰턴 자동 소총([10]구형 MLE 기반)이었습니다. Lithgow SMLE Mk III* 소총을 사용하는 호주 회사 Electrolux의 소수를 포함하여 1,500대 이상의 개조가 이루어졌습니다.[11]
찰턴의 두 가지 디자인은 외관상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나(다른 것들 중에서도 뉴질랜드 찰턴은 앞으로 권총을 잡고 비포드를 가지고 있었고, 호주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동일한 작동 메커니즘을 공유했습니다.[12] 찰턴 자동 소총의 대부분은 2차 세계 대전 후 화재로 파괴되었지만,[13] 몇몇 예들은 박물관과 개인 소장품에 남아 있습니다.
사용자
에티오피아[14]
파라과이: 3,000명은 1904년 자유주의 반군에 의해 국내로 반입되었습니다. 또한 차코 전쟁[15] 중에 복무 중입니다.
중국[16]
티벳: 20세기 초에, 인도 총공들에 의해 지역 무기고에서 복제품들이 만들어졌습니다. 1914년에 5000개의 잉여 영국 소총이 구입되었습니다[17].
영국: 아톨 하이랜더스와 함께 의례적인 목적으로 여전히 사용되고 있습니다.
참고 항목
참고문헌
인용
- ^ "La Revolucion Paraguaya de 1904".
- ^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Diplomatic Papers, 1935, General, The Near East and Africa, Volume I".
- ^ "THE MANUFACTURING COST OF RIFLES. (Hansard, 23 March 1893)".
- ^ Skennerton 2007, 90쪽.
- ^ 1986년 멀러, 330쪽.
- ^ 보조금 2015, 38~39쪽.
- ^ Skennerton 2001, 33쪽
- ^ Skennerton 2007, 203쪽.
- ^ 스케너턴 2001.
- ^ Skennerton 2001, p. 37.
- ^ Skennerton 2007, pp. 37–38.
- ^ Skennerton 2007, 505쪽.
- ^ Skennerton 2007, 205쪽.
- ^ PANKHURST, RICHARD (1971). "Linguistic and Cultural Data on the Penetration of Fire-Arms into Ethiopia". Journal of Ethiopian Studies. 9 (1): 47–82. ISSN 0304-2243. JSTOR 41965823.
- ^ 데 케사다 2011, 24쪽.
- ^ Esposito, Gabriele (2022). Armies of the first Sino-Japanese War 1894-95. Giuseppe Rava. Oxford. ISBN 978-1-4728-5130-7. OCLC 1350351894.
{{cite book}}
: CS1 maint: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 ^ "From Matchlocks to Machine Guns. The Modernisation of the Tibetan Army's Firearms Between Local Production and Import (1895-1950)".
원천
- de Quesada, Alejandro (2011). The Chaco War 1932–35: South America's greatest modern conflict. Bloomsbury. ISBN 978-1-84908-417-8.
- Grant, Neil (2015). Mauser Military Rifles. Bloomsbury. ISBN 978-1-4728-0595-9.
- Muller, C. F. J. (1986). Five Hundred Years: A History of South Africa. Academica. ISBN 978-0-86874-271-7.
- Murray, Nicholas (2013). The Rocky Road to the Great War: The Evolution of Trench Warfare to 1914. Potomac. ISBN 978-1-61234-105-7.
- Skennerton, Ian: Small Arms Identification Series No. 7: .303 Magazine Lee-Metford and Magazine Lee-Enfield. Arms & Militaryia Press, Gold Coast QLD (호주), 1997. ISBN 0-949749-25-7.
- Skennerton, Ian D. (2001). Special Service Lee-Enfields ... Commando & Auto Models: 45 De Lisle Commando Carbine, Charlton, Howell & Rieder Rifles and Howard Francis Carbine Notes & Illustrations. Arms & Militaria Press. ISBN 978-0-949749-37-6.
- Skennerton, Ian (2007). The Lee–Enfield. Gold Coast QLD (Australia): Arms & Militaria Press. ISBN 978-0-949749-82-6.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