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스터 발전소
Leicester power station레스터 발전소 | |
---|---|
![]() 1975년 프리먼스 메도우 발전소 | |
![]() | |
나라 | 영국 |
위치 | 레스터 |
좌표 | 52°37°11°N 01°08′36§ W/52.61972°N 1.14333°W좌표: 52°37º11ºN 01°08µ36ºW / 52.61972°N 1.14333°W / |
상황 | 해체 및 철거 |
공사가 시작되다 | 1893 |
커미션일자 | 1894, 1904, 1922, 1976 |
해체일자 | 1928, 1930, 1976, 1990 |
소유자 | 레스터 코퍼레이션 (1894-1948) 영국 전기국 (1948–1955) 중앙 전력국 (1955–1957) 중앙 발전 위원회 (1958–1989) |
오퍼레이터 | 소유자로서 |
화력 발전소 | |
1차 연료 | 석탄 |
이차 연료 | 연료유(가스 터빈) |
터빈 기술 | 증기 터빈 |
굴뚝 | 3(프리맨스 메도우), 2(가스터빈) |
냉각탑 | 6 |
냉각원 | 하천 또는 운하 용수 및 냉각탑 |
발전 | |
제조 및 모델 | 텍스트 참조 |
명판 용량 | 131 MW(증기), 102 MW(가스터빈) |
연간 순생산량 | 561 GWh(1955) |
레스터 발전소는 1894년부터 레스터시와 더 넓은 지역에 전력을 공급한 일련의 발전소이다.Aylstone 가스 공장 내에 위치한 첫 번째 스테이션은 가로등을 위한 전기를 공급했습니다.도시의 새로운 전기 전차 시스템은 1904년부터 1930년까지 운행된 Lero의 한 역에 의해 공급되었다.1922년 프리만스 메도우에 대형 석탄 화력발전소가 건설돼 1976년까지 가동됐다.마침내 1976년에 가스터빈 발전소가 가동되었다.
배경
레스터는 도시의 가로등을 제공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을 획득한 최초의 9개 지방 자치체 중 하나였다.이를 위한 권한은 1879년 레스터법(42 및 43 Vict. c.[1] c. cc.)에 의거하여 규정되었다.하지만, 이 새로운 기술로는 거의 진전이 없었다.레스터사는 1890년 무역위원회로부터 임시 전기 조명 명령을 받아 도시에 전기를 생산하고 전기 조명을 공급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이 잠정 명령은 1890년 전기 조명 명령 확인법(제7호)에 의해 의회에 의해 확정되었다(53 및 54승전 c. c. c. c. c.ii).[2]
아일스톤 로드 발전소
레스터의 첫 번째 발전소는 1894년 Aylstone Road (52°[3]37'00.1"N 1°08'32.0"W)의 가스 공사 현장 내에 건설되었습니다.그것은 1894년 12월 19일에 처음으로 전기를 공급했다.1897년 발전소의 발전 용량은 675kW였고 최대 부하는 515kW였다.총 262.179 MWh의 전기가 26,512개의 램프를 구동하는 331명의 고객에게 판매되어 6,056-12-9파운드의 수익을 [4]올렸습니다.
1923년까지 이 발전소는 3개의 1MW 왕복 엔진과 5MW 터보 교류 [5]발전기로 구성되었다.이 기계들은 석탄 연소 보일러에서 나오는 최대 181,000파운드(22.8kg/s)의 증기로 구동되었습니다.이 기계들은 240V와 415V, 100V와 200V로 공급되는 교류(AC)를 발생시켰습니다.1928년 프리만스 메도우에 새로운 발전소가 [3]건설된 후 전기공장은 해체되었다.
미들랜드 역
1894년 미들랜드 철도 회사는 [6]레스터에 가스 화력 발전소를 설치했다.이것은 무연탄에 대한 두 개의 다우슨 가스 생산업체를 사용했고, 이 가스는 자기 튜브 점화로 6개의 단일 실린더 크로스리 엔진을 작동시켰다.3대의 기계는 60개의 램프 브러시 아크 조명 발전기를 구동했고, 나머지 3대는 백열등용 110V 직류 동력기를 구동했다.이 발전소의 총 생산량은 연간 274 MWh였다.미들랜드 역과 화물 야드에는 141개의 아크 조명과 288개의 백열등이 켜져 있었다.이 시스템은 수년 [6]동안 가동되어 온 것으로 알려졌다.
레로 발전소
레스터의 전차 시스템은 1874년에 말이 끄는 자동차를 [7]사용하여 처음 만들어졌습니다.1901년 레스터사가 이 시스템을 인수해 1904년 전력으로 전환했다.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새로운 발전소가 페인트 거리[8](52°38'42.0"N 1°07'47.2"W)에 건설되었으며, 보일러 하우스와 엔진룸으로 구성된 발전소 건물은 Lero [3]건물로 알려졌다.그랜드 유니온 운하 옆에 위치하여 바지선을 통한 석탄 공급과 냉각수 공급을 촉진하였다.그 발전소는 1904년 5월 18일에 공식적으로 문을 열었다.보일러 하우스는 길이 108피트, 폭 77피트(32.9m, 폭 23.5m)[3]였다.1904년에는 길이 33피트, 직경 8피트 5인치(10m x 2.5m)의 예이츠 및 톰 랭커셔 유형의 보일러가 4개 있었습니다.테이퍼 형태의 팔각형 벽돌 굴뚝은 높이가 186피트(56.7미터)[3]였다.
보일러 하우스에 인접한 엔진룸은 길이 118피트, 폭 60피트, 높이 40피트(36m x 18.2m, 12.2m)였습니다.500kW 증기 발생 세트가 3개 있었다.엔진은 Yates와 Thom의 수직 교차 복합 Corliss 응축 [9]타입이었다.엔진의 주요 사양은 다음과 같습니다.[3]
- 160파운드/제곱인치(11.0bar) 증기 작동 압력
- 실린더: 내경 고압 22인치(559cm), 저압 44인치(118cm), 스트로크 3피트(914cm)
- 플라이휠: 직경 4.88m, 95rpm, 25t
- Dick-Kerr 500kW 복합상해발전기 500~550V DC.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3]높을 때 추가 전류를 공급하는 별도의 배터리실이 있습니다.
1906년 추가 발전소가 추가되어 용량은 3 × 500 kW [3]및 1 × 1,000 kW 발전기로 증가하였다.생산되는 전기의 최대 20%를 [3]레스터 전역에 판매할 수 있는 충분한 발전 능력이 있었다.전기는 가공선을 통해 소비자 시설에 공급되었고, 트램 선로를 통과하는 리턴 전류는 회로를 완성했습니다.1910년 엔진룸은 54피트(11m) 확장되었고 윌런스 & 로빈슨 터빈과 지멘스 1,000kW DC 발전기가 시운전되었습니다.교류(AC)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직류(DC)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750kW 교류 발전기도 [3]장착되었습니다.
Lero와 Aylstone 발전소는 1914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었고,[3] 회사의 트램웨이와 전기 위원회가 관리했습니다.레스터가 확장되면서 전력 수요도 증가했다.
1923년까지 Lero 발전소의 발전소는 AC를 생산하는 2 × 3 MW 터보 교류 발전기, 3 × 0.5 MW 및 1 × 1 MW 왕복 엔진, 1 × 0.75 MW 증기 터빈 모두 직류(DC)[5]를 생성하는 발전기로 증가하였다.Lero의 기계에는 석탄 연소 [5]보일러로부터 시간당 최대 164,000파운드(20.7kg/s)의 증기가 공급되었습니다.
레로 역은 1930년 6월 30일 프리만스 메도우 [3]발전소에 전기 발전이 집중되면서 폐쇄되었다.이 건물들은 1946년부터 레스터 공과대학의 증축으로 사용되었고,[3] 2010년에 결국 철거되었다.
프리먼스 메도우 발전소
제1차 세계대전 후, 그리고 전후 전력 수요의 증가를 예상하여, 레스터사는 프리만스 메도우에 중앙 발전소를 건설했습니다(52°37'10.6"N 1°08'35.7"W).[5]이곳은 현재 레스터 시티 풋볼 클럽의 킹 파워 스타디움 부지입니다.1922년 12월에 문을 열었고 Raw Dykes Road 발전소로도 알려져 있었다.트램 시스템은 로터리 컨버터를 통해 3상 전기 공급에서 공급되었습니다.이러한 변환기는 Sanvey Gate와 Newarke [3]St에 배치되었습니다.새 발전소에는 처음에는 8개의 45,000파운드/시 석탄 연소 [5]보일러에서 시간당 196,000파운드(24.7kg/s)의 증기가 공급되는 10MW 터보 교류 발전기와 500kW 하우스 서비스 세트가 있었습니다.
발전소 3개, 1923년
1923년 레스터에 동시에 전기를 공급하는 세 개의 운영 발전소(Aylstone, Lero 및 Freemans Meadow)는 총 27.25MW의 발전 용량을 가지고 있었다. 1921-23년 발전소의 총 생산량은 다음과 같다.[5]
연도 | 출력, GWh |
---|---|
1921 | 25.219 |
1922 | 24.214 |
1923 | 30.714 |
이때 시스템의 최대 부하는 19.08 MW였고 연결 부하는 29,148 kW였습니다.판매된 전류는 다음과 같은 [5]용도로 사용되었습니다.
사용하다 | 현재 판매량(MWh) | 현재, % |
---|---|---|
조명 및 가정용 | 4,598 | 15.0 |
공공 조명 | 47 | 0.1 |
트랙션 | 7,956 | 25.9 |
힘 | 18,113 | 59.0 |
대량 공급 | 0.0 | 0.0 |
총 | 30,714 | 100.0 |
1923년 전기 판매로 인한 코퍼레이션의 총 수익은 292,437파운드로,[5] 121,113파운드의 수입 초과를 달성했습니다.
프리먼스 메도우 LP역
1928-39년에 걸쳐 프리만스 메도우에 새로운 발전소가 설치되었으며, 이를 저기압(LP) 관측소라고 한다.다음과 [10]같이 구성되었습니다.
보일러:
- 3 × 국제 연소 회사, 분쇄탄 연소, 350psi 및 750°F(24.1bar 및 399°C)에서 각각 120,000lb/hr(15.1kg/s)의 증기.
- 3 × 국제 연소 회사, 분쇄탄 연소, 360psi 및 800°F(24.8bar 및 427°[10]C)에서 각각 175,000lb/hr(22.0kg/s)의 증기.
터보 교류 발전기:
- 1 × 18.75 MW Oerlickon, 6.6 kV
- 1 × 25 MW 영어전기, 6.6 kV
- 1 × 30 MW 파슨, 33 kV
- 1×1.5MW 영어 일렉트릭 하우스[10] 세트
모든 기계는 3,000rpm으로 작동하며 50Hz에서 3상 전류를 생성합니다.
1920년대에 영국의 장비 제조업체들은 높은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가격 유지 링'을 운영했다.레스터사는 스위스 제조업체들로부터 상당한 비용 절감으로 Oerlikon 기계를 구입했습니다.이는 영국 장비를 [11]사려는 노조와 기업 이익의 반대에 부딪혔다.
응축기 냉각수는 Surge 강에서 추출되었다.추가 냉각은 총 용량이 시간당 420만 갤런(5.33 m/s)[10]인 6개의 미첼 냉각 타워에 의해 이루어졌습니다.
1928-33년 국가 그리드의 건설에 이어 프리만스 메도우 발전소 북쪽에 132 kV 변전소가 건설되었다(52°37'21.0"N 1°08'27.7"W).[12]
제2차 세계대전 동안 냉각탑은 위장 [13]도색되었다.
1954-58년 LP 스테이션의 주요 운영 매개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10]
연도 | 출력 용량(MW) | 가동시간(부하율 %) | 송신된 유닛, GWh | 열효율, % |
---|---|---|---|---|
1946 | (42.9 %) | 300.26 | 19.73 | |
1954 | 75 | 4935 | 173.441 | 18.23 |
1955 | 75 | 4830 | 177.248 | 18.68 |
1956 | 75 | 4743 | 157.944 | 18.53 |
1957 | 71 | 4924 | 155.898 | 18.88 |
1958 | 71 | 3538 | 87.294 | 17.68 |
국유화
1948년 영국[14] 전기 공급 산업이 국유화되면서 레스터 발전소의 소유권은 영국 전기 관리국에 귀속되었고, 그 후 중앙 전기 기관과 중앙 전기 발전 위원회(CEGB)[14]에 귀속되었다.전력 분배 및 판매 기능은 East Midlands Electric Board에 귀속되었습니다.
프리먼스 메도우 HP역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9-50년 영국 전기 관리국에 의해 프리먼스 메도우에 고압(HP) 발전소가 설치되었다.이 내용은 [10]다음과 같습니다.
보일러:
- 4 × 국제 연소 회사, 분쇄탄 연소, 660psi 및 810°F(45.5bar 및 432°C)의 증기 각각 175,000lb/hr(22.0kg/s)
터보 교류 발전기:
- 2 × 31.5 MW 리처드슨-웨스트가스-잉글랜드 일렉트릭 13.2 kV
응축기 냉각수는 Surge 강에서 추출되었다.보충 냉각은 각각 시간당 135만 갤런(1.713 m/s)[10]의 용량을 가진 두 개의 콘크리트 말뚝 냉각 타워에 의해 이루어졌습니다.
1954-8년 HP 관측소의 주요 운영 매개변수는 다음과 같다.[10]
연도 | 출력 용량(MW) | 가동 시간 | 송신된 유닛, GWh | 열효율, % |
---|---|---|---|---|
1954 | 60 | 8218 | 377.963 | 24.74 |
1955 | 60 | 8320 | 384.093 | 24.87 |
1956 | 60 | 7724 | 360.269 | 24.65 |
1957 | 60 | 7347 | 331.372 | 24.58 |
1958 | 60 | 5752 | 265.233 | 24.48 |
1961-71년 프리먼스 메도우 발전소의 총 전력 출력(HP 및 LP) 및 운전 매개변수는 다음과 같다.[15][16]
연도 | 최대 출력 용량(MW) | 부하율, % | 송신된 유닛, GWh | 열효율, % |
---|---|---|---|---|
1961 | 131 | 30.5 | 349.682 | 21.23 |
1962 | 131 | 30.8 | 353.52 | 21.87 |
1963 | 131 | 34.13 | 391.734 | 21.71 |
1967 | 131 | 34.5 | 393.277 | 21.16 |
1971 | 90 | 23.4 | 184.796 | 22.22 |
1962-64년에는 발전소에서의 먼지 배출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이는 주택부와 지방정부의 [17]대기오염 및 연기방지과에서 조사했다.
프리먼스 메도우 발전소의 두 전직 근로자(조지 브라운과 레너드 리처드슨)는 그곳에서 [18]그들의 시간을 구두로 기술했다.
프리만스 메도우의 석탄화력발전소는 1976년 [19]10월 25일에 폐쇄되었다.그것은 그 후에 [20]철거되었다.
가스터빈 스테이션
1972년에 CEGB는 총 2,550 MW의 12개의 가스 터빈 발전소를 건설할 계획이었다. 이러한 발전소는 피크 [14]셰이빙이 아닌 주 발전소로 사용될 것이다.1976년 12월 Freemans Meadow Lester에 첫 번째 정거장이 취역되었는데, 이러한 기지는 에어로 파생형보다는 산업형 가스 터빈을 사용했다.레스터는 51MW GEC EM 610 연료 연소식 산업용 가스터빈 2대를 보유하고 있다.그 역에는 두 개의 강철 [21]굴뚝이 있었다.가스터빈 스테이션의 운전 매개변수는 다음과 같다.[22][23][24]
연도 | 최대 출력 용량(MW) | 부하율, % | 송신된 유닛, GWh | 열효율, % |
---|---|---|---|---|
1979 | 102 | 2.8 | 24.657 | 20.95 |
1981 | 102 | 0.3 | 2.353 | 10.5 |
1982 | 102 | 0.6 | 5.158 | 20.07 |
1985 | 102 | 19.7 | 175.697 | 24.81 |
1986 | 102 | 0.5 | 4.606 | 19.34 |
부하 계수 데이터를 보면 발전소가 유의하게 사용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1984/5년의 높은 생산량은 1984/5년의 광부 파업과 석탄 화력발전소의 석탄 부족과 관련이 있다.
1986년 프리만스 메도우 발전소의 가스 터빈 폐열을 사용하여 레스터 지역 난방 계획을 개발하자는 제안이 있었다.그러나 개발은 [25]진전되지 않았다.
이 [26]발전소는 1989년에도 여전히 CEGB에 의해 운영되었지만, 이후 해체되고 철거되었다.
현장의 북쪽에 있는 132 kV 전기 서브 스테이션은 아직 가동 중입니다(2020).
레퍼런스
- ^ Clifford, Frederick (2016). A history of Private Bill Legislation. Palala Press.
- ^ "Local Acts of Parliament". legislation.gov.uk. 1890. Retrieved 10 June 2020.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Leicester Trams - The Lero". leicestertrams.org.uk. Retrieved 11 June 2020.
- ^ Garcke, Emile (1898). Manual of Electrical Undertakings vol. 3. London: P. S. King & son.
- ^ a b c d e f g h Electricity Commissioners (1925). Electricity Supply - 1920-1925. London: HMSO. pp. 54–57, 296–301.
- ^ a b Parsons, R. H. (1940). The early days of the power station industry. Cambridge: Babcock and Wilcox. p. 155. ISBN 9781114216433.
- ^ "Leicester Corporation Transport". petergould.co.uk. Retrieved 11 June 2020.
- ^ "Construction of Leicester power station - 1903". Image Leicestershire. 1903. Retrieved 12 June 2020.
- ^ Grace's Guide to British Industrial History (October 2012). "Leicester power station". Grace's Guide to British Industrial History. Retrieved 10 June 2020.
- ^ a b c d e f g h Garrett, Frederick C., ed. (1959). Garcke's Manual of Electricity Supply vol. 56. London: Electrical Press. pp. A-69–70, A-125.
- ^ Hannah, Leslie (1979). Electricity before Nationalisation. London: Macmillan. p. 135. ISBN 0333220862.
- ^ "Britain from above". Britain from above. 1946. Retrieved 12 June 2020.
- ^ "Power Station Cooling Towers In Wartime Camouflage". Image Leicestershire. Retrieved 13 June 2020.
- ^ a b c Electricity Council (1987). Electricity supply in the United Kingdom. London: Electricity Council. pp. 60–61, 69, 73, 102, 119. ISBN 085188105X.
- ^ CEGB. CEGB Annual Report and Accounts 1961,1962, 1963. London: CEGB.
- ^ CEGB (1972). CEGB Statistical Yearbook 1972. London: CEGB. p. 13.
- ^ The National Archives, (Reference: HLG 55/309.) (1964). "Raw Dykes Road Power Station, Leicester: dust emissions". Nationalarchives.gov.uk. Retrieved 10 June 2020.
- ^ East Midlands Oral History Archive. "East Midlands Oral History Archive ref: 903, EM/031 and 1294, EM/054". le.ac.uk. Ref: 903, EM/031 and 1294, EM/054.
- ^ 석탄화력발전소 하원 서면답변 1984년 1월 16일 제52권
- ^ Demolition Service Limited. "Demolition Service Limited" (PDF). demolish.co.uk. p. 27. Retrieved 11 June 2020.
- ^ Martin, Charles (1982). "Leicester Gas Turbine Power Station, Rawdykes Road, Leicester". RIBA. Retrieved 11 June 2020.
{{cite web}}
: CS1 maint :url-status (링크) - ^ CEGB (1979). CEGB Statistical Yearbook 1978-79. London: CEGB. p. 7. ISBN 0902543598.
- ^ CEGB (1982). CEGB Statistical Yearbook 1981-82. London: CEGB. p. 7. ISBN 0902543695.
- ^ CEGB 통계연보 1981, 1985, 1986, CEGB
- ^ Jarvis, Ian (1986). "Can a successful city-wide CHP scheme be launched in the UK?". Energy Policy. 14 (2): 160–63. doi:10.1016/0301-4215(86)90126-6.
- ^ Electricity Council (1989). Handbook of Electricity Supply Statistics 1989. London: Electricity Council. p. 8. ISBN 08518812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