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니 (앨범)
Lenny (album)레니 | ||||
---|---|---|---|---|
![]() | ||||
스튜디오 앨범 기준 | ||||
방출된 | 2001년 10월 30일 | |||
장르. | ||||
길이 | 50:21 | |||
라벨 | 버진 | |||
프로듀서 | 레니 크라비츠 | |||
레니 크라비츠 연대기 | ||||
| ||||
레니에서 온 | ||||
|
레니는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레니 크라비츠의 여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2001년 10월 버진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다.빌보드 200에서 12위, 영국 앨범 차트에서 55위에 올랐다.
미국 빌보드 핫 100에서 31위에 오른 리드 싱글 '디그인'은 크라비츠가 그래미상 4연속 남자 록 보컬상을 수상하는 데 일조했던 앨범의 가장 성공적인 곡이었고, 'If I Would Fall in Love'는 블루 크러시 사운드 트랙에 피처링되어 크라비츠에게 또 다른 지명권을 주었다.2003년에 언급된 범주.
앨범 배경
스티븐 토머스 얼루인은 올뮤직에서 "5는 레니 크라비츠에게 '플라이 어웨이(Fly Away)'로 큰 히트를 친 덕분에 커리어 리바이벌로 부활하게 했고, 그는 이 영화를 히트시키며, 블록버스터 오스틴 파워스에 출연함으로써 확실히 이득을 얻었다"고 썼다. 날 갉아먹은 스파이그리고 나서, 그는의 최고의를 강타한(wh[백점병]전 세계적으로 3백 만부 이상 팔렸다)을 위한 새로운 곡으로 반환을 위한 거야 저건 레니를 구성하도록 발판을 마련하고"다시"를 버렸다."[1]크라비츠,, 및 이 음반에 모든 노래, acou의 미니멀 리스트의 원 맨 쇼를 만드는 편곡을 쓰고 마이클 잭슨, 왕자, 조지 마이클의 반열에 오르다.스틱과 전기 기타, 라이브 타악기와 드럼 프로그래밍.[2]
음악
오프닝 트랙인 "사랑의 배틀필드"는 그랜드 펑크 철도를 연상시키는 초보적인 기타 리프를 중심으로 만들어졌으며, 그 위에 레니가 와와 솔로곡을 믹스에 접목시켰다.[3]4번째 싱글 "If I Could Fall in Love"와 첫 싱글 (Slant의[2] "Gritty Rocker"로 묘사) "Dig In"은 단순한 구조와 Kravitz 스테이플이 된 팝 멜로디로 전기 기타 작업을 활용한다.[2]슬랜트 또한"약간 덜 예리한 서정적인 내용을 가진 '에서 'Dig 연연해서 셔릴 크로 times—only에.""어제 지나"엔터테인먼트 위클리까지``비틀즈 느끼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그것]더 이상[레니가]의식적으로지 말라 Knows' 'Tomorrow을 다시 쓰는 것과 같게 느껴진다고 말했다."[3]슬랜트 더 상세히,"Kravitz의 네오 히피 정서 트랙에 많이 있다.'[2]God Save Us All' ''''''''''''''''''''''''심장'''''''''''''''''''''''''''''''''''무덤'''''''''''저음장난감'''''''''''''''''''''''''''''''''''''''''''''''''무'은행강도남자'의 재미있는 척 베리쉬 스토리 라인은 지난해 이 스타가 범죄자로 오인돼 마이애미 경찰에게 발각된 실제 사건에 바탕을 두고 있다.내가 그랬다고 생각해?/ 단지 내가 햇볕에 탔다고 해서 그랬다고 생각해?/바로 그때 바로 옆에 있던 장교가/'나는 네가 록앤롤 밴드에 속해 있다는 것에 전혀 개의치 않는다.' 라고 크라비츠가 노래하고 있는데, 일단 사회 논평은 왜곡된 느낌이 들지 않는다."[3]
리셉션
총점수 | |
---|---|
출처 | 순위 |
메타크리트어 | 69/100[4] |
점수 검토 | |
출처 | 순위 |
올뮤직 | ![]() ![]() ![]() ![]() ![]() |
빌보드 | (긍정적)[5] |
믹서기 | ![]() ![]() ![]() ![]() ![]() |
디에이트 인 사운드 | 1/10[7] |
대중음악 백과사전 | ![]() ![]() ![]() ![]() ![]() |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 B−[3] |
Q | ![]() ![]() ![]() ![]() ![]() |
구르는 돌 | ![]() ![]() ![]() ![]() ![]() |
슬랜트 매거진 | ![]() ![]() ![]() ![]() ![]() |
USA 투데이 | ![]() ![]() ![]() ![]() |
레니에 대한 초기 비판적 반응은 긍정적이었다.주류 비평가들의 리뷰에 100점 만점에 평준화된 평점을 배정하는 메타크리트틱에서는 12개 리뷰를 기준으로 평균 69점을 받아 '대개 호평'[6]을 나타내고 있다.
Stephen Thomas Erlewine wrote a positive review for AllMusic, commenting that "There may not be singles that are as immediately grabbing as "It Ain't Over 'til It's Over", "Let Love Rule" and "Are You Gonna Go My Way", but there are no dull spots, either, and this easily stands alongside his first three albums as a set of classy, near-irresistible클래식 록과 대학 록에 열광하는 청취자들에게는 환영할 만한 깜짝 선물이다.[1]톰 싱클레어는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기고문에서 "크래비츠의 음악이 실제보다 몇 도 더 낫기를 바라지 않는 것은 어렵지만, 세월이 흐르면서 나아졌다"[3]고 썼다."음악을 좋아하면 망치를 들고, 찾을 수 있는 모든 카피를 박살내라"는 부정적인 평을 남겼다.세상에 도움이 될 거야이것은 음악이 상징하는 모든 것의 정반대다.케케묵은, 독창적이지 못한, 공식적이고 반복적이며, 공물 밴드 못지않은 독창성과 열정을 보여준다.레니보다 더 독창성과 열정을 가진 수천 명의 음악가들이 있다.이것은 플라스틱에 쏟아진 투르드의 자기 방종적이고 예술적인 공허감에 지나지 않는다."[7]
Sal Cinquemani는 Slant Magazine에 "이 가수의 고전적인 록 영향 (그리고 그것들의 헌신적인 레크리에이션)이 레니에게 다시 한번 명백하게 나타나며, "Yesterday Is Gone"과 "A Million Miles Away"와 같은 곡들이 존 레논의 아삭아삭한 조화와 지미 헨드릭스의 전기 기타 리프를 연상시킨다"[2]라고 썼다.빌보드가 상위에*정신적 결과 지금까지 너무 세게 누르지 않은 채 똑똑하다 가사가 추진한데 그것은 활력을 주, 전기 혼합을 썼다.로 크라비츠 터보 과급기가 달린 펑크와 경기장 바위로 익숙한 지역인을 찾"[6]믹서기에 대해 말했다"its 12tracks", 그것을 쓰고"they와 함께 날것으로, 한다."[6]롤링 스톤을 하고 알아차렸다.t "레니에 관한 그 어떤 것도 '아게인'에 필적할 수는 없지만, 그는 때때로 자기만의 미트볼 목적의식을 가지고 덤비며 친해지기도 한다."[6]Q 매거진은 "이전처럼 록, 소울, 히피 가사의 머리 같은 소용돌이"라고 결론을 내렸다.하지만 환상적으로 느껴지고 음반회사가 호되게 코를 골지 않는 한 히트곡으로 가득하다고 말했다.[6]
트랙리스트
레니 크라비츠가 작곡한 곡은 모두 주목받은 곳을 제외한 것이다.
- "사랑의 전투장" – 3:14
- "만약 내가 사랑에 빠질 수 있다면" (레니 크라비츠, 크레이그 로스) – 4:21
- "어제 (나의 사랑하는 케이) 사라졌어" – 3
- "Stillness of Heart"(레니 크라비츠, 크레이그 로스) – 4:15
- "Believe in Me"(레니 크라비츠, 헨리 허쉬) – 4:41
- "Pay to Play" – 2:49
- "A Million Miles Away" – 4:32
- "God Save Us All" – 3:53
- "Dig In" – 3:37
- "너는 내 마음 속에 있었다" – 5:29
- "은행강도맨" – 3:31
- "Let's get high" – 5:39 (1:20분 데드엔드 포함)
- "Again"(아웃캐스트가 특징인 스탄코니아 리믹스) – 4:09(일본 보너스 트랙)
보너스 일본어 어쿠스틱 CD
- "로즈메리" – 5:35
- "Can't Get You Off My Mind" – 4:38
- "신은 사랑" – 4:28
- "Flowers for Zoe" – 2:48
- "A Million Miles Away" – 4:32
- "God Save Us All" – 3:49
- "어제 (나의 사랑하는 케이) 사라졌어" – 3:
- "심장의 고요" – 4:20
싱글스
- "Dig In" – 31위 US 핫 100,[11] 7위 US 성인 톱 40[12]
- "Still of Heart" – 18위 미국 성인 톱 40,[12] 44위 영국[13]
- "Believe in Me"
- "만약 내가 사랑에 빠질 수 있다면" – 40위 미국 성인 톱 40[12]
인원
뮤지션[14]
- Lenny Kravitz – vocals, electric guitar, drums, bass guitar (tracks 1-4, 7-9, 11, 12), acoustic guitar (tracks 3, 4, 7), Mini-Moog (tracks 5, 6, 10), drum programming (tracks 5, 6), stylophone (track 3), piano (track 9), timpani and orchestral cymbals (track 10), string arrangement (tracks 3, 5, 7, 8), orchestral arrangement (tracks 4, 10)
- Craig Ross – 전동 기타(트랙 3, 4, 11), Hammond 오르간(3번 트랙)
- Henry Hirsch – Hammond organ (트랙 12), 현악 배열 (트랙 3, 5, 7), 관현악 편곡 (트랙 10)
- David Barron – 시퀀싱된 신디사이저(트랙 10), 문자열 배열(트랙 7), 오케스트라 배열(트랙 10)
프로덕션 및 아트워크[14]
- 레니 크라비츠 – 프로듀서, 믹싱
- Henry Hirsch – 엔지니어, 혼합
- Matt Hovel – Pro Tools 엔지니어
- 알렉스 알바레즈 – 스튜디오 겸 계기 기술자
- 스티브 린코프 – 드럼 기술자
- David Barron – 신디사이저 프로그래밍
- Len Peltier – 아트 방향/디자인
- Terry Richardson – 사진
차트
주간 차트
| 연말 차트
|
인증
지역 | 인증 | 인증 단위/판매 |
---|---|---|
아르헨티나(CAPIF)[43] | 금 | 20,000^ |
오스트리아(IFPI 오스트리아)[44] | 금 | 20,000* |
벨기에(BEA)[45] | 금 | 25,000* |
캐나다(음악 캐나다)[46] | 백금 | 100,000^ |
덴마크(IFPI Danmark)[47] | 금 | 25,000^ |
독일(BVMI)[48] | 백금 | 300,000^ |
이탈리아(FIMI)[49] | 2× 플래티넘 | 200,000* |
일본(RIAJ)[50] | 금 | 100,000^ |
네덜란드(NVPI)[51] | 금 | 40,000^ |
스페인(PROMUSICAE)[52] | 백금 | 100,000^ |
스위스(IFPI 스위스)[53] | 백금 | 40,000^ |
미국(RIAA)[54] | 백금 | 1,000,000^ |
요약 | ||
유럽(IFPI)[55] | 백금 | 1,000,000* |
* 인증만으로 판매 수치를 산출한다. |
참조
- ^ a b c Erlewine, Stephen Thomas. "Lenny – Lenny Kravitz – Allmusic Review". Allmusic. Rovi Corporation. Retrieved 23 October 2011.
- ^ a b c d e f Cinquemani, Sal (30 October 2001). "Lenny Kravitz – Lenny – Music Review – Slant". Slant Magazine. Retrieved 23 October 2011.
- ^ a b c d e Sinclair, Tom (2 November 2001). "Lenny by Lenny Kravitz Review – Music Reviews and News – EW.com". Entertainment Weekly. Retrieved 23 October 2011.
- ^ "LENNY by Lenny Kravitz". Metacritic. Retrieved 27 June 2018.
- ^ "Billboard Review". Billboard. 2001-11-2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1-11-13. Retrieved 2012-05-06.
- ^ a b c d e f g "Lenny Kravitz: Lenny (2001): Reviews". Metacritic. CNET Networks, Inc. Retrieved 2011-10-23.
- ^ a b Reed, Graham (November 5, 2001). "Lenny Kravitz: Lenny". Drowned in Soun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July 2018. Retrieved 12 July 2018.
- ^ Larkin, Colin (2011).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mnibus Press. ISBN 9780857125958. Retrieved 1 May 2019.
- ^ Sheffield, Rob (2001-10-16). "Lenny Kravitz: Lenny : Music Reviews". Rolling Sto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11-04. Retrieved 2012-05-06.
- ^ Gardner, Elysa (2001-10-30). "Lenny Kravitz, Lenny". USA Toda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1-05. Retrieved 2013-06-16.
- ^ "Lenny Kravitz Chart History: Hot 100". Billboard. Retrieved July 21, 2020.
- ^ a b c "Lenny Kravitz Chart History: Adult Pop Songs". Billboard. Retrieved July 21, 2020.
- ^ "Lenny Kravitz full Official Chart History". Official Charts Company. Retrieved July 21, 2020.
- ^ a b Lenny (booklet). Virgin. 2001.
- ^ "Australiancharts.com – 레니 크라비츠 – 레니"헝 메디엔.2020년 7월 21일 회수
- ^ "Austriancharts.at – 레니 크라비츠 – 레니"(독일어)헝 메디엔.2020년 7월 21일 회수
- ^ "울트라톱.– 레니 크라비츠 – 레니" (네덜란드어).헝 메디엔.2020년 7월 21일 회수
- ^ "울트라톱.– 레니 크라비츠 – 레니" (프랑스어).헝 메디엔.2020년 7월 21일 회수
- ^ "레니 크라비츠 차트 히스토리 (캐나다 앨범)"빌보드.2020년 7월 21일 회수
- ^ "Danishcharts.dk – 레니 크라비츠 – 레니"헝 메디엔.2020년 7월 21일 회수
- ^ "Dutchcharts.nl – 레니 크라비츠 – 레니" (네덜란드어).헝 메디엔.2020년 7월 21일 회수
- ^ "레니 크라비츠: 레니" (핀란드어로)Musiikitutuottajat – IFPI 핀란드.2020년 7월 21일 회수
- ^ "Lescharts.com – 레니 크라비츠 – 레니"헝 메디엔.2020년 7월 21일 회수
- ^ "Offiziellecharts.de – 레니 크라비츠 – 레니"(독일어)GfK 엔터테인먼트 차트.2020년 7월 21일 회수
- ^ "앨범 Top 40 slagerlista – 2001. 45. hét"(헝가리어)마하즈.2021년 11월 26일 회수
- ^ "Irish-charts.com – Discography Lenny Kravitz".헝 메디엔.2020년 7월 21일 회수
- ^ "Italiancharts.com – 레니 크라비츠 – 레니"헝 메디엔.2020년 7월 21일 회수
- ^ "Charts.nz – 레니 크라비츠 – 레니"헝 메디엔.2020년 7월 21일 회수
- ^ "Norwegiancharts.com – 레니 크라비츠 – 레니"헝 메디엔.2020년 7월 21일 회수
- ^ "스코틀랜드 공식 앨범 차트 상위 100위"공식 차트 회사.2020년 7월 21일 회수
- ^ "Swedishcharts.com – 레니 크라비츠 – 레니"헝 메디엔.2020년 7월 21일 회수
- ^ "Swisscharts.com – 레니 크라비츠 – 레니"헝 메디엔.2020년 7월 21일 회수
- ^ "공식 앨범 차트 상위 100위"공식 차트 회사.2020년 7월 21일 회수
- ^ "레니 크라비츠 차트 히스토리 (빌보드 200)"빌보드.2020년 7월 21일 회수
- ^ "Jahreshitparade Alben 2001". austriancharts.at. Retrieved July 26, 2020.
- ^ "Jaaroverzichten – Album 2001". dutchcharts.nl. Retrieved July 26, 2020.
- ^ "Classifica annuale 2001 (dal 01.01.2001 al 30.12.2001)" (in Italian). Federazione Industria Musicale Italiana. Retrieved August 24, 2021.
- ^ "Årslista Album – År 2001" (in Swedish). Sverigetopplistan. Retrieved July 26, 2020.
- ^ "Jahreshitparade Alben 2002". austriancharts.at. Retrieved July 26, 2020.
- ^ "Top 100 Album-Jahrescharts". GfK Entertainment (in German). offiziellecharts.de. Retrieved July 26, 2020.
- ^ "Schweizer Jahreshitparade 2002". hitparade.ch. Retrieved July 26, 2020.
- ^ "Top Billboard 200 Albums – Year-End 2002". Billboard. Retrieved September 10, 2021.
- ^ "Discos de oro y platino" (in Spanish). Cámara Argentina de Productores de Fonogramas y Videograma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uly 2011. Retrieved 10 July 2019.
- ^ "Austrian album certifications – Lenny Kravitz – Lenny" (in German). IFPI Austria. Retrieved July 12, 2012.
- ^ "Ultratop − Goud en Platina – albums 2002". Ultratop. Hung Medie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3-08. Retrieved June 4, 2018.
- ^ "Canadian album certifications – Lenny Kravitz – Lenny". Music Canada. Retrieved July 12, 2012.
- ^ "Danish album certifications – Lenny Kravitz – Lenny". IFPI Danmark. Retrieved May 9, 2020.
- ^ "Gold-/Platin-Datenbank (Lenny Kravitz; 'Lenny')" (in German). Bundesverband Musikindustrie. Retrieved July 12, 2012.
- ^ Felice Liperi (June 8, 2002). "Zucchero, Kravitz & Co. tutto in una notte live". la Repubblica (in Italian). Retrieved July 12, 2012.
- ^ "Japanese album certifications – Lenny Kravitz – Lenny" (in Japanese).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Japan. Retrieved June 7, 2020. 드롭다운 메뉴에서 2001년식 10개월 선택
- ^ "Dutch album certifications – Lenny Kravitz – Lenny" (in Dutch). Nederlandse Vereniging van Producenten en Importeurs van beeld- en geluidsdragers. Retrieved 13 August 2018. "최고의 티텔" 상자에 레니로 들어가십시오.
- ^ Salaverrie, Fernando (September 2005). Sólo éxitos: año a año, 1959–2002 (PDF) (in Spanish) (1st ed.). Madrid: Fundación Autor/SGAE. p. 961. ISBN 84-8048-639-2. Retrieved October 5, 2019.
- ^ "The Official Swiss Charts and Music Community: Awards (Lenny Kravitz; 'Lenny')". IFPI Switzerland. Hung Medien. Retrieved July 12, 2012.
- ^ "American album certifications – Lenny Kravitz – Lenny".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Retrieved July 12, 2012.
- ^ "IFPI Platinum Europe Awards – 2003". International Federation of the Phonographic Industry. Retrieved 4 July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