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터즈 투 줄리엣
Letters to Juliet레터즈 투 줄리엣 | |
---|---|
![]() 극장판 발매포스터 | |
연출자 | 게리 위닉 |
작성자 | |
생산자 | |
주연 | |
시네마토그래피 | 마르코 폰테코르보 |
편집자 | 빌 판코우 |
음악 기준 | 안드레아 게라 |
생산 동행이 | 애플헤드 픽처스 |
배포자 | 서밋 엔터테인먼트 |
출시일 |
|
러닝타임 | 105분 |
나라 | 미국 |
언어들 |
|
예산 | 3천만[1] 달러 |
박스오피스 | 8천만[2] 달러 |
《Letters to Juliet》은 아만다 세이프리트, 크리스토퍼 이간, 가엘 가르시아 베르날, 바네사 레드그레이브, 프랑코 네로가 주연한 2010년 미국 로맨틱 코미디 드라마다. 이 영화는 게리 위닉 감독이 2011년 2월 27일 사망하기 전 마지막 영화였다. 이 영화는 2010년 5월 14일 북미와 다른 나라에서 극적으로 개봉되었다. 이 영화의 아이디어는 2006년 논픽션 책인 "Letters to Juliet"에서 영감을 받았고, 리즈 프리드먼과 세일 프리드먼은 셰익스피어의 가장 유명한 로맨틱 여주인공에게 편지를 쓰는 현상을 연대기로 썼다.
플롯
소피는 팩트체커로 뉴요커에서 일하는 젊은 미국 여성이다. 그녀는 그녀의 주방장 약혼자 빅토르와 이탈리아 베로나로 사전 허니문을 간다. 빅토르는 이탈리아의 로맨스에 동요하지 않고 곧 오픈할 자신의 레스토랑을 연구하는데 시간을 쓰며 소피를 종종 등한시한다. 소피는 줄리엣의 베로나 뜰에 남겨진 수천 통의 "줄리엣에게 보내는 편지"가 일반적으로 "줄리엣의 비밀"에 의해 대답된다는 것을 발견한다. 소피는 그들과 함께하자고 했고 1957년 클레어 스미스가 보낸 답장이 없는 편지를 우연히 발견하게 되었다. 그녀는 그것에 대답하고 일주일 안에 클레어는 그녀의 잘생긴 법정 변호사 손자 찰리 와이먼과 함께 베로나에 도착한다. 클레어와 소피는 순간적으로 서로를 좋아하지만 찰리와 소피는 사이가 좋지 않다.
소피의 대답에 담긴 충고에 따라 클레어는 오랫동안 잃어버린 사랑 로렌조 바르톨리니를 찾기로 결심한다. 소피는 클레어의 이야기가 그녀의 글쓰기 경력에 도움이 될 수도 있고, 이야기에 진정한 관심을 가질 수도 있다고 생각하면서 클레어를 돕는다. 두 사람은 이 지역에 로렌초 바르톨리누스가 많이 살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며칠 동안 오른쪽 로렌조를 찾다가 그들은 한 마리가 죽었다는 것을 발견한다. 찰리는 할머니의 슬픔을 소피 탓으로 돌린다. 그는 그녀가 진짜 손해가 무엇인지 모른다고 비난한다. 클레어는 분쟁을 목격한 찰리에게 자신이 잘못했고 소피의 어머니가 어렸을 때 그녀에게서 떠났다고 말한다.
다음날, 클레어는 찰리가 소피에게 아침식사 때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소피는 그렇게 한다. 저녁 식사 후 소피는 찰리에게 여전히 클레어의 로렌조가 살아 있다고 믿으며 사랑에 대해 이야기하며 두 번의 키스를 한다. 다음날 아침은 그들이 로렌조를 찾는 마지막 날이다. 찰리에게 변덕스러운 듯 클레어는 포도밭을 가리키며 그들이 소피를 위해 작별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그만둘 수 있냐고 묻는다. 찰리가 차를 몰고 길을 내려가자 클레어는 자신의 로렌조와 꼭 닮은 젊은 남자를 보게 된다. 그들은 그 젊은이가 로렌초 바르톨리니의 손자임을 알게 되고, 클레어와 장로 로렌조가 재회하게 된다. 소피가 베로나로 돌아가면 클레어가 찰리를 밀쳐 쫓아오지만, 그는 소피가 빅터와 함께 있는 것을 보고 뒤로 물러선다.
뉴욕으로 돌아와 그들 관계의 차이와 열정의 부족에 지쳐버린 소피는 클레어와 로렌조의 결혼식에 참석하기 위해 베로나로 돌아가기 전에 빅토르와 헤어진다. 그녀는 다른 여자와 함께 있는 찰리를 발견하고, 울면서 뛰어나간다. 찰리가 그녀를 찾으러 나오고, 그녀는 그를 사랑한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그에게 다시 여자친구에게 돌아가라고 말한다. 찰리는 그 여자가 그의 사촌이라고 밝히고 소피에게 그녀를 사랑한다고 말한다. 로미오와 줄리엣의 명장면을 재현하며 덩굴을 타고 발코니로 올라가지만, 우연히 쓰러지고, 그들은 그가 땅에 누우면서 키스를 한다.
캐스트
- 뉴욕에 사는 팩트체커 소피 홀 역을 맡은 아만다 세이프리드
- 클레어의 손자 찰리 와이먼 역을 맡은 크리스토퍼 이건은 돌아가신 할아버지 이외의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할머니와 타협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의 부모님은 교통사고로 돌아가셨다.
- 빅터 역의 Gael Garcia Bernal, 음식, 요리, 그리고 그의 레스토랑 개업과 관련된 모든 것에 쉽게 몰두하는 소피의 주방장 약혼자.
- 바네사 레드그레이브는 50년 전 줄리엣에게 편지를 썼던 소녀 클레어 역을 맡아 로렌조를 찾기를 바라고 있다.
- 로렌조 역의 프랑코 네로, 클레어의 애정표현. 네로는 레드그레이브의 실제 남편이다. 1966년 카멜롯 촬영장에서 네로와 레드그레이브 둘 다를 인터뷰한 로저 에버트는 40년 후에 서로 만나 사랑에 빠지고 헤어졌다가 결혼하는 등 등장인물들 사이의 러브스토리가 얼마나 자전적인지에 주목했다.[3]
- 원래 줄리엣의 비서 4명 중 한 명인 이사벨라 역의 루이사 라니에리
- 줄리엣의 비서 중 한 명인 프란체스카 역의 마리나 마시로니.
- 줄리엣의 비서 중 한 명인 마리아 역의 밀레나 부코틱.
- 이사벨라의 어머니 안젤리나 역의 루이사 데 산티스.
- 줄리엣의 비서 중 한 명인 도나텔라 역의 리디아 비온디.
또 올리버 플랫이 뉴욕에서 소피의 보스로 잠깐 출연하고 스테파노 게리니는 로렌조의 손자로 잠깐 출연하는데, 로렌조가 한때 로렌조를 닮아 클레어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해제 및 수신
임계수신호
줄리엣에게 보낸 편지들은 비평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리뷰 집계 로튼 토마토는 160개 리뷰 기준 42%의 지지율을 기록했으며, 평균 5.2/10의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 사이트의 비판적인 의견 일치는 "줄리엣에게 보내는 편지들은 신선할 정도로 진지한 로맨틱한 매력을 가지고 있지만, 절박한 대화와 전혀 놀랄 만한 것이 없는 것에 시달리고 있다"[4]고 말한다. 메타크리트릭은 평론가 34명을 기준으로 100점 만점에 평균 50점을 줘 '혼합 또는 평균 평점'[5]을 나타낸다.
가디언의 피터 브래드쇼는 아만다 세이프리트와 크리스토퍼 이건의 억양이 다르다고 지적하며 이 영화를 "매우 우스꽝스럽다"고 평가했지만, 바네사 레드그레이브에게 "상당히 고의적으로 미친 연기는 아니더라도 그럴듯하다"고 칭찬했다.[6]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의 에이미 비안콜리도 레드그레이브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자신의 연기는 "독수적이고, 눈이 맑고, 자상하며" "가장 진부한 대화를 명령하여 시처럼 들리게 한다"[7]고 언급했다. 뉴욕 데일리 뉴스의 엘리자베스 웨이츠먼은 레드그레이브와 세이프리드 둘 다 전자는 "경량적 절차에 사랑스러운 중력을 가져온다"고 칭찬했고 후자는 "비정상적으로 냉철한 존재감을 보여준다"[8]고 말했다. 로저 에버트는 이 영화의 장르와 운영 방식에 대해 알고 있었지만 그런 것에 대해서는 개의치 않았다. 나는 등장인물들이 광범위하고 위안이 되는 고정관념이라는 것을 안다. 이 경우, 나는 그저 신경 쓰지 않는다. 때때로 우리는 영화에 반응하는 개인적인 이유가 있다."[3]
팝매터스의 빌 기브론은 이 영화가 재미있는 두 가지 상반된 이야기, 즉 줄리엣의 전개에 대해 바보 같은 결정을 내리는 캐릭터와 로맨틱한 케미가 거의 없어 관객들에게 감정적인 공명이 부족하다고 비판하며 "줄리엣에게 보내는 편지들은 모든 면에서 진다. 희극이 아니다. 거의 낭만적이지도 않고, 심지어 풍경도 제작 후 색채 타이밍을 맞추기 위해 수십 번의 시도를 통해 걸러진 것 같다.[9] 슬랜트 매거진의 닉 쉐이거는 '콘볼 동화 로맨티시즘'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며 세이프리트와 이건의 연기는 각각 주어진 소재에서 '원형적으로 싱거운 롬콤 여주인공'과 '웃기게도 가짜'라고 비판했고, 줄거리는 '다임 가게 소설 수준'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10] 뉴욕포스트(NYP)의 카일 스미스도 "생 스파게티처럼 직설적이고 분명한" 속설을 보고 세이프리트와 이건의 대사 전달에 대해 "이 과제를 수행하기에 완벽한 배우일 수 있다"고 반색했다. 둘 다 난처한 것은 아니다."[11]
박스오피스
줄리엣에게 보내는 편지는 아이언맨2의 두 번째 주말과 로빈후드에 뒤쳐진 13,540,486달러에 거래됐다.[12] 두 번째 주말, 영화는 9,006,266달러로 33.5% 하락했고 영화가 4위로 밀린 후 슈렉 포에버가 도착했다.[13] 이 영화는 결국 국내에서 5303만2453달러, 전 세계적으로 7918만1750달러의 수익을 올렸다.[2]
사운드트랙
- "You Got Me" – Colbie Caillat
- "첸티 컨트리"
- "베로나" – 앤디 조르주
- "운기오르노 코제" – 883
- "Per Avere Te" – Franco Morselli
- Quando, Quando, Quando, Quando – 로라 제인(리사 제인 역)과 크리스 만
- "모차르트별 테마별 변주곡" – 마법 피리, 오퍼스 9
- "Sospesa" – Malika Ayane 및 Pacifico
- "Per Dimenticare" – 제로 아솔루토
- "소노 부기아르다(나는 거짓말쟁이다)" – 카테리나 카셀리
- "과다 체 루나" – 프레드 부스카글리오네
- "러브 스토리" – 테일러 스위프트
- "What If" – Colbie Caillat
참조
- ^ Fritz, Ben (May 16, 2010). "First Look: 'Robin Hood' wobbly in U.S. but hits target overseas". Los Angeles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6, 2020. Retrieved May 16, 2010.
- ^ a b "Letters to Juliet (2010)". Box Office Mojo. Retrieved October 26, 2012.
- ^ a b Ebert, Roger (May 12, 2010). "Reading the memories between the lines". Chicago Sun-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9, 2020. Retrieved April 18, 2020 – via RogerEbert.com.
- ^ "Letters to Juliet (2010)". Rotten Tomatoes. Retrieved October 5, 2021.
- ^ "Letters to Juliet Reviews". Metacriti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7, 2020. Retrieved October 21, 2016.
- ^ Bradshaw, Peter (June 10, 2010). "Film review: Letters to Juliet". The Guardian. Lond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7, 2020. Retrieved July 1, 2018.
- ^ Biancolli, Amy (May 14, 2010). "Review: 'Letters to Juliet'". San Francisco Chronicl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3, 2020. Retrieved January 3, 2021.
- ^ Weitzman, Elizabeth (May 14, 2010). "Letters to Juliet". New York Daily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23, 2010. Retrieved July 2, 2018.
- ^ Gibron, Bill (May 14, 2010). "You Can't Blame Romeo for Abandoning this 'Juliet'". PopMatte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3, 2021. Retrieved July 1, 2018.
- ^ Schager, Nick (May 13, 2010). "Review: Letters to Juliet". Slant Magaz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3, 2021. Retrieved July 2, 2018.
- ^ Smith, Kyle (May 14, 2010). "In 'Letters to Juliet' all roads lead to Romeo". New York Po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3, 2020. Retrieved July 2, 2018.
- ^ 2010년 5월 14-16일 주말 박스 오피스 결과, 2019년 3월 26일에 접속
- ^ 2010년 5월 21-23일 주말 박스 오피스 결과, 2019년 3월 26일에 접속
외부 링크
![]() | 위키피디아는 줄리엣에게 보내는 편지들과 관련된 인용구를 가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