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프 쿨리차노프
Lev Kulidzhanov레프 쿨리차노프 | |
---|---|
![]() | |
태어난 | |
죽은 | 2002년 2월 18일 러시아 모스크바 | (77)
직업 | 영화감독 시나리오 작가 |
년 활동 | 1954–1994 |
레프 알렉산드로비치 쿨리자노프(러시아어: ееввррррррррррррррррччччччччччч;;;;;;;;;;;; 1924년 3월 19일 ~ 2002년 2월 18일)는 소련의 영화 감독, 시나리오 작가, 교수였다.그는 USSR (1965년~1986)의 시네마그래퍼 연합의 수장이었다.그는 구소련의 인민 예술가였다.그는 1954년과 1994년 사이에 총 12편의 영화를 감독했다.
전기
1924년 3월 19일(그의 무덤을 포함한 다른 출처에 따르면 1923년[1] 8월 19일) 조지아 SSR 트빌리시에서 태어났다.그의 아버지 알렉산드르 니콜라이드자노프(원래 쿨리자냐)는 아르메니아 혁명가로 공산당 고위 간부를 지냈다.1937년 대숙청 때 체포되어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쿨리자노프의 어머니 에카테리나 드미트리예브나는 러시아계[2] 또는 아르메니아계 혈통이었다.[3]남편과 함께 체포돼 카자흐스탄 아크몰 노동수용소에서 5년형을 선고받았다.그녀는 1944년에야 귀국했다.그 세월 동안 쿨리자노프는 할머니 타마라 니콜라예브나와 함께 지냈다.[4]
1942년부터 1943년까지 트빌리시 주립대학에서 공부했다.1944년 모스크바를 여행해 그리고리 코진체프 휘하의 영화감독을 공부하기 위해 올유니온 주립 시네마토그래피 연구소에 등록했으나, 생활환경이 좋지 않아 불과 1년 만에 그곳을 떠나 트빌리시로 돌아왔다.1948년 쿨리드자노프는 다시 VGIK 학생이 되었고, 세르게이 제라시모프와 타마라 마카로바를 스승으로 삼았다.그는 1955년에 졸업했고 즉시 Genrikh Oganisan과 공동 감독한 첫 단편 영화 Ladies를 개봉하면서 Gorky Film Studio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그의 첫 번째 성공은 야코프 세겔과 공동 연출한 영화 "The House I Live In"으로 이루어졌다.1957년 소련 박스오피스 선두주자 중 한 명이 되어 2890만 관객을 동원하여 9위에 올랐다.[5]호평을 받은 러시아 여배우 잔나 볼로토바의 첫 번째 영화 역할이었을 뿐만 아니라, 쿨리즈하노프 자신도 등장인물 중 한 명을 연기했다.그것은 그의 전체 경력에서 유일한 큰 스크린 역할이었다.그의 차기작인 "A Home for Tanya"는 또 다른 성공작으로 바뀌었고 1959년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놓고 경쟁했다.[6]
그러나 그의 진정한 돌파구는 유리 니쿨린, 이나 굴라야, 류드밀라 추르시나, 레오니드 쿠라블료프와 같은 배우들을 그들의 첫 번째 진지한 역할로 소개한 1961년 드라마 영화 '나무가 클 때'에서 일어났다.개봉 당시 소련 시청자들에게는 그다지 성공적이지 않았지만, 세월이 흐르면서 컬트 클래식으로 바뀌었다.1962년에는 1962년 칸 영화제에도 선정되었다.[7]1969년 쿨리차노프는 많은 찬사를 받은 소련 배우들이 참여한 가운데 최초의 범죄와 처벌 소설을 소련의 각색 감독으로 만들었다.비록 박스오피스에서 실패하여 그의 동료들 중 몇몇은 감동받지 않게 되었지만(소설의[8] 각색을 꿈꿨던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처럼) 비평가들과 지식인들로부터 찬사를 받았다.이 영화는 제31회 베니스 국제영화제에 공식 선정되었으며, 1971년 영화 제작진은 RSFSR의 바실리예프 브라더스 주상을 수상하였다.[9]
1965년 쿨리자노프는 이 자리에서 이반 피례프를 대신하여 구소련의 시네마토그래퍼 연합의 수장으로 선출되었다.유니온의 수장으로서 그는 많은 영화들을 보존하는 것을 도왔고, 시네마 박물관을 설립했으며, 세르게이 아이젠슈타인의 기록 보관소를 구했다.그는 20년 연속으로, 이 불명예스러운 5의회는 소비에트 Filmmakers의 1986년에서 단체들이(아마 알렉산더 Yakovlev[10][11]에 의해 부추겨), Kulidzhanov과 «nepotism»과«political conformism»의 다른 주요 감독들 비난하고 wh의 재선거를 요구하고 강의에 야유를 시작할 때까지 이 위치를 차지했다.됐어 보아rd. 이 모든 것이 분열되고, 구조 조정되고, 소비에트 영화의 빠른 종말로 이어졌다.
쿨리자노프가 유니온을 떠난 후, 그는 1990년대까지 두 편의 최종 영화를 만들 때까지 아무것도 연출할 수 없었다.두 작품 모두 영화 제작 초기 복귀를 상징했으며 1940년대 만난 전문 시나리오 작가 나탈리아 아나톨리예브나 포키나(1927년생)가 집필했다.그들에게는 두 아들이 있었다.영화학자 알렉산드르(1950년, 2018년 사망)와 역사학자 세르게이(1957년 생)가 함께했다.
쿨리자노프는 2002년 2월 17일 사망했으며 모스크바 쿤세보 묘지에 안장되었다.[1]
필모그래피
연도 | 제목 | 원제목 | |||
---|---|---|---|---|---|
감독 | 시나리오 작가 | 메모들 | |||
1955 | 숙녀분들. | Дамы | ![]() | ![]() | Genrikh Oganisyan과 공동 감독 |
1956 | 그렇게 시작된 거야... | Это начиналось так… | ![]() | ![]() | 야코프 세겔과 공동 연출 |
1957 | 내가 사는 집 | Дом, в котором я живу | ![]() | 배우(바딤 볼린스키); 야코프 셀겔과 공동 연출 | |
1959 | 타냐의 집 | Отчий дом | ![]() | ||
1960 | 잃어버린 사진 | Потерянная фотография | ![]() | USSR-CHSSR 생산 참여 | |
1961 | 나무들이 키가 컸을 때 | Когда деревья были большими | ![]() | ![]() | |
1962 | 피틸 №5 | ![]() | ![]() | 이사크 매지톤과 공동 연출 | |
1963 | 블루노트북 | Синяя тетрадь | ![]() | ![]() | |
1969 | 범죄와 처벌 | Преступление и наказание | ![]() | ![]() | |
1972-1974 | 스타라이트 미닛 | Звёздная минута | ![]() | ![]() | 아르타바즈드 펠레쉬안과 공동 연출 |
1980 | 카를 마르크스: 초창기 | Карл Маркс.Молодые годы | ![]() | ![]() | USSR-GDR 생산 참여 |
1987 | 위험 | Риск | ![]() | USSR-Japan-CHSSR-서독 생산 참여 | |
1991 | 죽는 게 두렵지 않다 | Умирать не страшно | ![]() | ||
1994 | 건망증 | Незабудки | ![]() |
명예 및 상
- RSFSR의 인민 예술가 (1969년)
- USSR 인민 예술가 (1976년)
- 사회주의 노동의 영웅 (1984)
- 레닌의 두 가지 훈장
- 노동의 붉은 기수
- 조국공로훈장, 3급(1999년) - 영화계에 대한 탁월한 공헌과 75회 생일에 대한 공로
- 레닌상 - 1982년
- RSFSR 바실리예프 형제 주상 - 1971
참조
- ^ a b 연예인 무덤
- ^ USSR의 붉은 테러 희생자 목록. 쿨리자노바 에카테리나 드미트리예브나 (러시아어)
- ^ 마리아 토크마지얀.2014년 8월 20일(러시아어) 골로스 아르메니 신문에서 소련 네오로만틱
- ^ 레프 쿨리드하노프 Natalia Fokinam의 Mastering Professional, Eisenstein-Centre, 2003년 (러시아어)의 Notes on Film Study 저널에 실린 그녀의 책 조각들
- ^ 키노포이스크에 사는 집
- ^ 1959년 칸 영화제 공식 홈페이지의 모든 선정
- ^ 1962년 칸 영화제 공식 홈페이지의 모든 선정
- ^ 시간 내 시간:The Diarys 1970-1986
- ^ 범죄와 처벌 2016년 8월 16일 국립 시네마 백과사전 웨이백머신에 보관된 국립 시네마 영화 연구 저널 프로젝트
- ^ 나탈랴 본다르쿠크(2010년).솔즈 데이즈.모스크바: AST, 368 페이지 ISBN978-5-17-062587-1
- ^ 표도르 라자코프(2013년).USSR을 폭파시킨 영화 산업 배신모스크바:알고리즘, 416 페이지ISBN 978-5-4438-0307-4
문학
- 마르가리타 크바스네츠카야(1968년).레프 쿨리드하노프모스크바:이스쿠스스트보, 120페이지.
- 나탈리아 포키나(2004년).그 당시 나무는 키가 컸다. 아내의 추억에 나오는 레프 쿨리드하노프예카테린부르크: U-파크로티아, 292쪽.
- 나탈리아 포키나.나무들이 키가 컸을 때. 레프 쿨리드하노프에게 바친다. 1부 // The Art of Cinema 저널, № 11, 2003 (러시아어)
- 나탈리아 포키나.나무들이 키가 컸을 때. 레프 쿨리드하노프에게 바친다. 제2부 // The Art of Cinema 저널, № 12, 2003 (러시아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