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식 수준 변화
Altered level of consciousness의식의 변화된 수준은 정상적이지 않은 흥분성의 척도다. 의식 수준(LOC)은 환경의 자극에 대한 사람의 호재성과 반응성을 측정하는 것이다.[1] 약간 우울한 의식 수준이나 경계심은 무기력한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 상태에 있는 사람은 거의 어려움 없이 흥분할 수 있다.[1] 둔감한 사람들은 더욱 의기소침한 수준의 의식을 가지고 있어서 완전히 흥분할 수 없다.[1][2] 수면과 같은 상태에서 자극을 받지 못하는 사람은 기가 막힌다고 한다.[1][2] 혼수상태는 어떤 목적의 대응도 할 수 없는 것이다.[1][2] 글래스고 혼수상태 척도와 같은 척도는 의식 수준을 측정하도록 설계되었다.
의식의 변화된 수준은 뇌의 화학적 환경의 변화(예: 독이나 도취제에 대한 노출), 뇌의 산소나 혈류 부족, 두개골 내부의 과도한 압력 등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의식불명 장기화는 의료 비상사태의 신호로 이해된다.[3] 의식수준의 결손은 대뇌반구나 망상 활성화 계통이 모두 다쳤음을 시사한다.[4] 의식의 감소는 질병성(질병성)과 사망률(사망)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5] 따라서 그것은 환자의 의학적, 신경학적 상태를 보여주는 귀중한 척도다. 사실, 일부 정보원은 의식의 수준을 활력징후 중 하나로 여긴다.[3][6]
정의
의식의 수준을 분류하는 척도와 용어는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자극에 대한 반응의 감소는 의식의 수준 변화를 나타낸다.
레벨 | 요약(크루즈)[2] | 설명 |
---|---|---|
메타콘시우스 | 프리터나투랄 | 정상적인 의식 수준을 나타내는 모든 기준을 충족하는 것 외에 자신의 인지 과정을 감시하고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들. 인지 신경과학 분야에서 전이성 감시와 제어는 전전전뇌피질의 기능으로 간주되어 왔으며, 이 기능은 상이한 피질 영역에서 감각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신경 플라스틱의 근본적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확립된 피드백 루프를 통해 제어력을 구현한다(슈워트 장 참조).2008년 Dunlosky & Bjork에 있는 z & Bacon and Shimamura).[7] |
의식적 | 정상 | LOC에 대한 평가는 방향성 확인을 포함한다. 즉, 자신의 이름, 위치, 날짜 또는 시간을 즉각적으로 말할 수 있는 사람들은 자기, 장소, 시간 또는 "지향적 X3"[8]을 지향한다고 한다. 사람이 쉽게 깨어날 수 있는 정상적인 수면 단계도 정상적인 의식수준으로 간주된다.[9] "의식의 구름"은 주의력과 깨어있는 상태에서 의식의 가벼운 변화를 일컫는 말이다.[9] |
헷갈리다 | 혼란, 사고 및 대응 능력 및 대응 능력 저하 | 자신의 이름, 위치, 시간에 대한 정보로 신속하게 대응하지 않는 사람은 '관용' 또는 '유착'[8]으로 간주된다. 혼란스러운 사람은 어리둥절하고 혼란스러우며 지시를 따르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9] 그 사람은 생각이 느리고 기억 시간 손실이 있을 수 있다. 이는 수면부족, 영양실조, 알레르기, 환경오염, 약물(처방 및 비처방), 감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
정신착란 | 혼란, 안절부절못, 환각, 때로는 망상 | 어떤 저울은 이 수준 이하가 "기분"하여 사람이 안절부절 못하거나 동요할 수 있고 눈에 띄는 주의력 결핍을 나타낼 수 있다.[2] |
솜놀렌트 | 졸리다 | 나른한 사람은 지나친 졸음을 보이고, 일관성 없는 중얼거림이나 흐트러진 동작만으로 자극에 반응한다.[8] |
둔부드 | 주의력 저하, 심리학자의 느린 응답 | 둔감할 때 사람은 주변 환경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고 반응이 느려지며 졸음이 온다.[9] |
망연자실 | 수면과 같은 상태(무의식이 아님), 자발적 활동이 거의 또는 전혀 없음 | 의식이 훨씬 낮은 수준, 망연자실한 사람들은 단지 얼굴을 찡그리거나 고통스러운 자극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으로 반응한다.[8] |
코마토세 | 자극에 대한 반응 없음 | 혼수상태의 사람들은 자극에 이런 반응도 하지 않고 각막이나 개그 반사작용도 없으며 빛에 대한 번데기 반응도 없을 수 있다.[8] |
의식의 변화된 수준은 때때로 변화된 센서륨으로 묘사된다.
글래스고 혼수 척도
LOC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도구는 글래스고 혼수상태 척도(GCS)이다. 그것은 뇌손상이나 [2]의식수준의 변화를 가진 사람들을 평가하는 데 거의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자극에 대한 언어적, 운동적, 눈뜨는 반응을 3-15의 척도로 측정하고 점수를 매겨 최종 점수에 더하고 낮은 점수는 의식 수준이 더 낮아진다.
다른이들
AVPU 척도는 LOC를 측정하는 또 다른 수단이다. 즉, 사람들은 그들이 경각심이 있는지, 언어적 자극에 반응하는지, 고통스러운 자극에 반응하는지 또는 반응하지 않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평가된다.[3][6] 목소리에 대한 반응성을 판단하기 위해 간병인은 그 사람에게 말을 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소리를 지른다.[3] 통증에 대한 반응성은 꼬집기와 같은 가벼운 고통스런 자극으로 결정되며, 그 자극에서 신음이나 후퇴는 통증에 대한 반응으로 간주된다.[3] AVDU 척도는 AVPU와 마찬가지로 GCS보다 사용하기 쉽고 유사하게 정확한 결과를 산출한다.[10] ACDU를 사용하여 환자에게 주의력, 혼동, 졸음 및 무응답 여부를 평가한다.[10]
그라디 혼수상태 척도는 혼란, 망연자실, 깊은 망상, 비정상적인 자세, 혼수상태의 척도를 따라 I에서 V까지의 척도로 사람들을 분류한다.[9]
병리학
경각심, 경각심, 경각심 이면의 신경과학은 충분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망상형성은 이들에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 상승 망막 활성화 시스템은 감각적 입력을 받아 망막형성으로부터 중뇌와 쇄골을 통해 대뇌피질에 투영되는 가상의 신경 연결의 가정된 그룹이다.[9] 이 체계는 깨어있는 상태와 수면을 조절하는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부상, 질병 또는 대사 장애와 같은 그것에 대한 간섭은 의식 수준을 변화시킬 수 있다.[9]
일반적으로 뇌간 간섭이나 뇌간염과 같은 간접적인 영향이나 병변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등 뇌간 간섭에 의해 부도와 혼수상태가 발생한다.[9] 뇌간의 집단 병변은 보통 망막 형성에 대한 영향으로 혼수상태를 일으킨다.[11] 텐토륨 세레벨리 위에서 발생하는 질량 병변은 보통 매우 크거나 양쪽 대뇌 반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의식 수준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는다.[9]
진단
LOC 평가에는 외부 자극에 대한 개인의 반응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12] 물음에 대한 반응의 속도와 정확성, 촉각, 통증 등의 자극에 대한 반응에 주목한다.[12] 기침과 개그 반사작용과 같은 반사작용도 LOC를 판단하는 수단이다.[12] 일단 의식 수준이 결정되면, 임상의들은 어떤 변화의 원인에 대한 단서를 찾는다.[9] 보통 ER의 첫 번째 테스트는 저산소증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맥박산소측정법, 저혈당증을 배제하기 위한 혈청 포도당 수치 등이다. 소변 약품 검사를 할 수 있다. CT 헤드는 출혈을 배제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뇌막염이 의심될 경우 반드시 요추에 구멍을 뚫어야 한다. 혈청 TSH는 주문하기에 중요한 시험이다. 선별된 그룹에서 비타민 B12 수치를 고려한다. 혈청 암모니아를 확인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citation needed]
차등진단
의식 수준이 낮아지면 뇌 기능의 결함을 나타낸다.[4] 뇌가 부족한 산소를 공급받거나(저산소증에서 발생하는 경우), 부족한 혈액(충격에서 발생하는 경우) 또는 뇌의 화학 작용에 변화가 있을 때 의식 수준을 낮출 수 있다.[3] 당뇨병과 우레미아 같은 대사 장애는 의식을 변화시킬 수 있다.[12] 탈수증뿐만 아니라 피하 또는 과산나트륨(각각 나트륨 감소 및 증가)도 LOC를 변화시킬 수 있다.[13] 뇌가 견딜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난 pH도 LOC를 변화시킬 것이다.[9] 약물(예: 알코올) 또는 독소에 대한 노출은 너무 높거나 너무 낮은 코어 온도([3]열온증 또는 저체온증)와 마찬가지로 LOC를 낮출 수 있다. 두개골 내 압력(해골 내부의 압력)의 증가는 LOC의 변화를 초래할 수도 있다. 뇌진탕과 같은 외상성 뇌손상으로 발생할 수 있다.[12] 뇌졸중과 뇌내출혈도 다른 원인이다.[12] 중추신경계의 감염은 LOC 감소와도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OC의 변화된 LOC는 뇌염의 가장 흔한 증상이다.[14] 뇌내강 내 신엽세포는 간질이나 후증 상태와 마찬가지로 의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12][9] LOC의 감소는 여러 요인의 조합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12] 가벼운 외상성 뇌손상(MTBI)인 뇌진탕은 LOC를 감소시킬 수 있다.
치료
치료는 의식의 감소 정도와 그 근본 원인에 따라 달라진다. 초기 치료에는 혈당이 낮을 경우 덱스트로스 투여와 함께 산소, 날록손, 티아민 투여가 종종 수반된다.
참고 항목
참조
- ^ Jump up to: a b c d e Kandel E.R.; Jessell, Thomas M.; Schwartz, James H. (2000). Principles of neural science. New York: McGraw-Hill. pp. 901. ISBN 0-8385-7701-6. Retrieved 2008-07-03.
level of consciousness.
- ^ Jump up to: a b c d e f Porth C (2007). Essentials of Pahtophysiology: Concepts of Altered Health States. Hagerstown, M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 835. ISBN 978-0-7817-7087-3. Retrieved 2008-07-03.
- ^ Jump up to: a b c d e f g Pollak AN, Gupton CL (2002). Emergency Care and Transportation of the Sick and Injured. Boston: Jones and Bartlett. pp. 140. ISBN 0-7637-1666-9. Retrieved 2008-07-04.
level of consciousness.
- ^ Jump up to: a b 포트, 페이지 838
- ^ 셸드 외.. 530 페이지
- ^ Jump up to: a b Forgey WW (1999). Wilderness Medicine, Beyond First Aid (5th ed.). Guilford, Conn: Globe Pequot. p. 13. ISBN 0-7627-0490-X. Retrieved 2008-07-04.
- ^ Dunlosky, J. & Bjork, R. A. (Eds), Handbook of Metatemory and Memory. 심리학 프레스: 뉴욕
- ^ Jump up to: a b c d e Kruse MJ (1986). Nursing the Neurological and Neurotrauma Patient. Totowa, N.J: Rowman & Allanheld. pp. 57–58. ISBN 0-8476-7451-7.
- ^ Jump up to: a b c d e f g h i j k l m Tindall SC (1990). "Level of consciousness". In Walker HK, Hall WD, Hurst JW (eds.). Clinical Methods: The History, Physical, and Laboratory Examinations. Butterworth Publishers. ISBN 9780409900774. PMID 21250221. Retrieved 2008-07-04.
- ^ Jump up to: a b Posner JB, Saper CB, Schiff ND, Plum F (2007). Plum and Posner's Diagnosis of Stupor and Coma. Oxford University Press, USA. pp. 41. ISBN 978-0-19-532131-9.
- ^ Tindall SC (1990). "Level of consciousness". In Walker HK, Hall WD, Hurst JW (eds.). Clinical Methods: The History, Physical, and Laboratory Examinations. Butterworth Publishers. ISBN 9780409900774. PMID 21250221. Retrieved 2008-07-04.
Mass lesions within monkey coma by virtue of direct effects on the reticular formation of monkey
- ^ Jump up to: a b c d e f g h von Koch CS, Hoff JT (2005). "Diagnosis and management of depressed states of consciousness". In Doherty GM (ed.). Current Surgical Diagnosis and Treatment. McGraw-Hill Medical. p. 863. ISBN 0-07-142315-X. Retrieved 2008-07-04.
- ^ Johnson AF, Jacobson BH (1998). Medical Speech-language Pathology: A Practitioner's Guide. Stuttgart: Thieme. p. 142. ISBN 0-86577-688-1. Retrieved 2008-07-04.
- ^ Scheld WM, Whitley RJ, Marra CM (2004). Infection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Hagerstown, M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 219. ISBN 0-7817-4327-3. Retrieved 2008-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