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베르타스 호송대
Libertas convoy
리베르타스 호위함(크로아티아어: Konvoj Libertas)은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전쟁과 두브로브니크 포위 당시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의 크로아티아 도시 두브로브니크에 대한 해상 봉쇄를 돌파하기 위한 부분적인 풀뿌리 인도주의적 행동이었다.호송대의 목적은 두브로브니크의 주민들에게 보급품을 가져오는 것이었다. 두브로브니크는 포위 공격과 관련하여 전기 없이 생활하고 있었고 신선한 식수, 식량, 의약품을 접할 수 있었다.호송차 이름 '리버타스'는 두브로브니크의 역사적 모토인 자유를 뜻하는 라틴어를 암시한다.
배경
1991년 10월 1일 당시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린 부대로 구성된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이 육해공에서 두브로브니크를 공격했고, 10월 하순까지는 두브로브니크 자체를 제외하고 아드리아해 연안의 펠제샤크와 프레블라카 반도 사이의 모든 땅을 사실상 점령했다.그 포위 공격에는 유고슬라비아 해군(JRM) 봉쇄가 수반되었다.JNA의 두브로브니크 폭격은 1991년 12월 6일에 절정에 달해 국제적인 비난을 불러일으켰다.[1]봉쇄의 결과, 약 5만 명의 두브로브니크 시민들은 전기 없이 살았고 신선한 식수, 음식, 의약품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었다.
시작
1991년 10월 자그레브에서 두브로브니크 구제 기금 스베티 블라호, 크로아티아 작가 협회, 마티카 흐바츠카 등이 해상 봉쇄를 돌파하고 필요한 인도주의적 원조를 두브로브니크 주민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이니셔티브를 개시했다.그 행동의 이면에 있는 생각은 가능한 한 많은 함정을 모아 봉쇄를 뚫고 그루아 항구로 항해하는 것이었다.Rijeka는 지원을 모으는 조직적이고 물류 중심지가 된다.[2]
액션
1991년 10월 28일 호위함은 리제카에서 출항하여 여러 차례 항구를 호출하여, 두브로브니크에 접근하면서 자드로리냐의 페리 슬라비자(관광선, 범선, 예인선 등)가 가장 큰 29척의 민간 선박으로 성장하였다.호송차에는 유럽공동체 감시선교단 참관인, 시위대, 벨지코 불라지치 등 정치인, 언론인, 문화계 인사, 유고슬라비아 스테판 메시치 대통령, 크로아티아 프란조 그렉구리치 총리 등이 탑승했다.10월 30일 새벽 1시쯤 호송차는 코르쿨라에 도착했다.하루 전 두브로브니크 아마추어 무선사업자들은 제9 VPS 보카사령부가 호송차량을 정지해 수색할 것을 요청한 JRM의 메시지를 가로챘다.두브로브니크를 향한 호송대의 여정은 느긋하게 진행되어 엘라피티 섬에 도착했고, 그 섬은 유고슬라비아의 호위함 JRM Split에 의해 저지되었다.JRM 대표들은 모든 선박을 귀환시키고 슬라비아를 젤레니카 몬테네그린 항구에 정박시킬 것을 요구했으며, 오랜 협상과 철저한 수색 끝에 호송대는 두브로브니크 쪽으로의 여정을 계속할 수 있게 되었다.[3]
1991년 10월 31일 새벽, 두브로브니크 함대의 쾌속정은 그뤼트 항에서 출항하여 호송대를 맞으며 29척의 선박을 모두 호위하여 약 1,000명의 두브로브니크 주민들이 환영하는 항구로 들어갔다.스테판 메시치 대통령은 연설에서 두브로브니크 국민들은 잊혀지지 않았다고 말했다.30일이라는 긴 시간이 흐른 후, 그토록 기다리던 원조가 도시에 도착했다.[5][6][7]그 귀환에 700여 명의 용량으로 구성된 슬라비자는 유고슬라비아 해군의 시찰을 위해 먼저 코토르 만으로 항해해야 했지만, 두브로브니크에서 난민 2000명을 대피시켰다.[8]
라이베르타스 호는 주로 인도주의적인 운동이었지만 또한 중요한 정치적 메시지를 보냈다.두브로브니크에서 발생한 인도주의적 재난을 도시 포위와 관련해 취재한 기자들은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의 홍보 참사를 일으켜 그들의 외교적 경제적 고립과 크로아티아의 독립을 국제적으로 인정하는 데 기여했다.크로아티아에서는 크로아티아 시민들의 연대와 공감대가 담긴 사진을 전달했다.
참조
- ^ "Full Contents of the Dubrovnik Indictment made Public.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www.icty.org.
- ^ "Konvoj Libertas - Filmovi Film". Art-kino Croatia.
- ^ https://vlada.gov.hr/vijesti/predsjednica-vlade-s-izaslanstvom-organizacijskog-odbora-i-sudionika-konvoja-libertas-1991/14083"Konvoj Libertas na današnji dan prije 22 godine uplovio je u Gruž". www.dubrovniknet.hr.
- ^ "VIDEO: O lijepa, o draga, o slatka slobodo! Zagreb Online".
- ^ "우사렛 오빌제아반주 18. 주제트 콘보자 리베르타스" [리베르타스 호송 18주년 기념식 머리.두브로바치키 vjesnik(크로아티아어).2009년 10월 25일.2013년 11월 29일 원본에서 보관.
- ^ 윌리엄스, 캐롤 J(1991년 10월 31일).'평화 플로티야 두브로브니크 도크 예정"로스앤젤레스 타임즈.2013년 11월 28일 원본에서 보관.
- ^ 메시치, 스테판(2004년).유고슬라비아의 종말:정치적 회고록.중앙 유럽 대학 출판부.ISBN 963-9241-71-7.2013년 3월 30일 회수
- ^ 바인더, 데이비드(1991년 11월 15일)."두브로브니크에서 피난민 팩 보트"뉴욕타임즈.2013년 11월 28일 원본에서 보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