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다후트천

Linda Hutcheon
린다후트천
태어난 (1947-08-24) 1947년 8월 24일 (74세)
학력
교육1975년 토론토 대학교 박사학위
논문나르시시즘적 서술:자아의식 소설의 역설적 지위(1975)
학술사업
기관토론토의 대학교
저명한 학생수잔 베넷

린다 허트천(Linda Huts천, FRSC, O.C., 1947년 8월 24일 출생)은 문학적 이론과 비평, 오페라, 캐나다 학문의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캐나다의 학문이다. 1988년부터 강의해온 토론토대 영어학과 비교문학센터 명예교수다. 2000년에 그녀는 제117대 현대 언어 협회 회장, 이 자리를 차지한 세 번째 캐나다인, 그리고 첫 번째 캐나다 여성으로 선출되었다. 그녀는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그녀의 영향력 있는 이론으로 유명하다.

작동하다

포스트모더니즘

허천의 출판물은 아이러니 에지의 아이러니(Routland, 1994), 패러디 이론패러디(Meuthen, 1985), 적응 이론의 각색(Routland, 2006)과 같은 미학적 미시적 실천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고 있다. 허천은 또한 포스트모더니즘의 정치학(Routlandge, 1989), 포스트모더니즘의 시인학(Routlandge, 1988), 문학사 재고하기(OUP, 2002)와 같은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더 폭넓은 논쟁과 관련하여 이러한 관행을 종합하고 문맥화시키는 문헌을 저술했다. 그녀는 또한 포스트-모더니티에 관한 영향력 있는 글들을 편집했는데, 그 중 요셉 P. 나톨리와 함께 편집한 포스트모던 리더(SUNY, 1993년)가 대표적이다.

허천의 포스트모더니즘은 종종 북미의 프레드릭 제임슨과 대조된다: 후자는 포스트모던 주체들이 접근할 수 있는 비판적 역량의 부족을 한탄하고, 분석은 탈역사화된 공간적 파스티시스의 관점에서 자본주의 문화 생산을 제시한다. 양식은 실제로 비평의 과정에 도움이 된다.

구체적으로 허천은 포스트모더니즘이 패러디를 통해 "그것이 패러디하는 것을 정당화하고 전복한다"(정치학, 101)고 제안한다. "설치하고 다림질하는 이중 과정을 통해 패러디는 현재의 표현이 과거의 표현에서 어떻게 나오는지 그리고 연속성과 차이에서 어떤 이념적 결과를 도출하는지 신호한다."(정치학, 93). 따라서 현재를 탈역사화하거나 역사를 일관성 없고 분리된 페이스트릭으로 정리하기는커녕 포스트모더니즘은 역사를 재고하고 새로운 비판적 역량을 제공할 수 있다.

허천은 과거에 대한 해석을 주장하면서도 또한 자기반복적인 (즉, 그들 자신의 진리를 부분적, 편파적, 불완전한 등으로 비판한) 그러한 문학적 문헌들을 묘사하기 위해 역사학적 메타피케이션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시학, 122-123). 따라서 역사학적 전치사는 (제임스톤이 가지고 있는 것처럼) 우리를 완전히 당황하고 고립된 현재에 남겨두지 않고 '객관적인' 역사학자의 과거가 거짓과 폭력을 인정하는 방식으로 과거에 대해 건설적으로 말할 수 있게 해준다.

캐나다의 연구

허천의 포스트모더니즘에 관한 많은 글들이 그녀가 캐나다에서 쓰고 편집한 일련의 책들에 반영되어 있다. 캐나다 포스트모던마거릿 애트우드, 로버트 크뢰치 등 20세기 후반의 캐나다 작가들이 사용한 포스트모던 텍스트 실천에 대한 논의다. 허천은 그녀가 논하는 다른 형식들보다 아이러니를 캐나다 정체성에 특히 중요한 것으로 보고 있다.

허천은 아이러니는 "...말한 의미와 말하지 않은 의미를 연관시키고, 구별하고, 결합하고, 평가적 우위를 가지고 그렇게 하는" "...상상적으로 복잡한 과정"이라고 주장하는데, 이는 그녀가 "발견적 공동체"라고 묘사한 것에 대한 회원 가입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청취자가 말하는 사람이 말하지 않은 평가를 제공하려고 시도하고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은 공유된 분산된 공동체의 가입을 통해서이다.[1] 그녀는 캐네디언들이 영국 식민지와 같은 역사, 미국과 가까운 미국, 이민과 같은 명확한 민족주의적이고 국제적인 영향력이 부족하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모순적인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 복수의 논쟁적인 공동체에 사로잡혀 있다.[2] 후천의 소수민족 글쓰기에 대한 연구는 기타 해결 방법을 참조한다. 캐나다 다문화 소설. 에드. 린다 허천과 마리온 리치먼드. (Oxford U.P. 1990)

오페라

1990년대 중반부터 린다 허천은 남편 마이클 허천과 함께 오페라에 관한 책을 다수 출간했다. 이러한 작품들은 종종 문학평론가로서의 그녀의 관심사를 실천하는 의사 및 의학 연구자로서의 그의 관심사와 결합하여 반영한다.

선택한 게시물

  • 적응 이론. (NY와 런던: Routrege, 2006).
  • 오페라: 죽음의 기술. 하버드대 출판사, 2004년 (마이클 허천과 함께)
  • 문학사 재고하기: 이론 포럼 뉴욕: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02년 (마리오 J. 발데스와의)
  • "포스트모던 애프터 thoughts" 와스카나 현대시단편소설 37.1 (2002) : 5-12. [기사 링크]
  • 육체적 매력: 리빙 오페라. 링컨: 네브라스카 대학 출판부, 2000년 (마이클 허천과 함께)
  • "암호-민족의 고백" 이탈리아-캐나다어 문집 에드. 조셉 피바토 토론토: 게르니카 판본, 1998.
  • Hutcheon, Linda (1998). "Crypto-Ethnicity" (PDF). PMLA: Publications of the Modern Language Association of America. 113 (1): 28–51. doi:10.2307/463407. JSTOR 463407.
  • 오페라: 욕망, 질병, 그리고 죽음. 링컨: 네브라스카 대학 출판부, 1996년 (마이클 허천과 함께)
  • "우편은 항상 두 번 울린다: 포스트모던과 포스트콜리네이션" 재료 이력 검토 41(1995): 4-23. [기사 링크]
  • 아이러니 에지: 아이러니이론과 정치. 런던과 뉴욕: 1994년. 포르투갈어 번역(Belo Horizonte, Brasil: Editora UFMG, 2000년); New Contexts of Canadian Review Press(피터버러: Broadview Press, 2001년)에서 재인쇄한 최종 장.
  • "메타너레이션을 향한 비난: 포스트모더니즘과 페미니즘을 협상한다. 여성스러운 협업: 테세라의 여성과 문화에 관한 글. 에드. 바바라 고다드 토론토: 두 번째 이야기, 1994. 186-192. [기사 링크]
  • 캐나다 포스트모던: 현대 영어-캐나다 소설 연구. 토론토: 1992년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 이미지 분할: 컨템포러리 캐나다 아이러니. 토론토: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1991.
  • "역사학 메타픽션: 패러디와 역사 상호문헌" 교과간 상호지식과 컨템포러리 아메리칸 픽션. 에드. P. 오도넬과 로버트 콘 데이비스. 볼티모어: 존스 홉킨스 대학 출판부, 1989. 3-32. [기사 링크]
  • 포스트모더니즘의 정치. 런던 & 뉴욕: Routrege, 1989.
  • "역사의 포스트모던 문제화" 캐나다의 영어 14.4 (1988) : 365-382. [기사 링크]
  • 포스트모더니즘의 시인: 역사, 이론, 소설. 런던 & 뉴욕: 1988년 루트리지.
  • 패러디 이론: 20세기 미술의 가르침. 1984; 새로운 소개와 함께; 샴페인과 우르바나: 일리노이 대학 출판부, 2001.
  • 레너드 코헨그의 작품들. 토론토; ECW 프레스; 그의 시와 소설에 관한 두 개의 다른 에세이, 아마도 1992년과 1994년.[기사 링크]
  • 자아도취적 서술 1980, 1985, 2013.

수상

외부 링크

참조

  1. ^ 아이러니 엣지. 루틀리지, 1994년 89년
  2. ^ 허천, 린다. 이미지 분할: 컨템포러리 캐나다 아이러니. 토론토: OOP, 1991. 페이지 1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