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스 (크레테)
Lissus (Crete)리서스 또는 리소스(Ancient Greese: ίσοςς)[1]는 고대 크레타 남쪽 해안에 있는 마을로, 익명의 스타디아스무스 마리스 마그니가 사이아와 칼라미데 사이에 위치한다.[2] Peatinger Table은 칸타넘과 리수스 사이의 거리(거기 리소라고 기록되어 있다)로 16 M.P를 제공한다. 엘리루스의 항만(다른 하나는 사이아였다) 중 하나였다. 고전 시대에 설립되어 후기 고대까지 번창하였다. 그 이름은 비문에 의해 확실해졌다. 그 도시의 초기 역사는 알려지지 않았다. 기원전 3세기의 비문과 동전을 바탕으로 우리는 그 도시를 키레네의 마가스 왕과 동맹을 맺고 오레아인 연맹에 가입했다. 오레아의 코이논은 리수스, 사이아, 포이킬라소스, 타르하, 이루타키나, 엘리루스로 구성되었다. 리서스는 강력한 무역과 어업 함대를 가지고 있었다.
이 크레탄 도시는 히에로클레스 시대의 성공회였다.[3] 플라미니우스 코넬리우스가 섬의 서쪽에 있는 다른 주교들과 함께 그것을 언급하는 순서는 차니아에서 남쪽으로 70km 떨어진 소우자 마을 근처 아지오스 키리코스 지역에 있는 그것의 실제 위치와 매우 잘 일치한다.[4][5]
이 해안에 존재했던 모든 마을들 중에서, 리서스 혼자만 동전을 발견한 것 같은데, 이것은 리서스가 무역상 중요한 장소였다는 그것의 상황에 의해 제공된 증거와 매우 잘 부합하는 사실이다. 이 항구는 사이비-스킬락스의 페리플러스에서 언급되어 있으며, 동전의 종류는 이 섬에서 예상했을지도 모르는 바와 같이 해양이거나, 드치친나 숭배를 나타내는 것이다. 한 동전의 반대편에는 디오스쿠리의 모자와 별의 인상과 그 반대편에는 떨림과 화살표가 있다. 두 번째 동전에서는 모자와 별들이 돌고래로 대체되고, 떨리는 사람 대신 암컷 머리, 아마도 아르테미스나 드디친나의 머리일 것이다.[6] 리수스와 이르타키나는 동맹이었고, 공통의 통화로 교제를 했다. 그들의 동전은 한쪽에는 돌고래나 날으는 비둘기가 있었고, 다른 한쪽에는 (리시아인의) L/I/S/I/O/N이라는 단어가 있는 8선별이 있었다.
상황과 고고학
이곳은 마치 극장처럼 바다를 마주보고 있는 작은 구릉을 차지하고 있다. 파나히아의 교회 근처에는 화강암 기둥과 하얀 대리석 파편, 아치트레이브, 연대로 구성된 고대 신전의 자취로 보이는 것이 있다. 더 나아가, 다른 절과 극장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무덤들은 평원의 남서쪽에 있다. 그들은 암석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작업되며, 아치형 지붕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아마 50명일 것이다.[7]
1957-58년에 그 도시는 N. Platon에 의해 발굴되었다. 고대의 극장, 수로, 묘지, 목욕탕, 팔래오크리스티카 등의 유적이 발견되었다. 이 지역에서는 현재 헤라클리온과 차니아 고고학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많은 봉헌물들도 발견되었다. 고티스를 제외하고 크레타의 어느 도시에서도 그렇게 많은 조각품들이 발견되었다. 이 사실은 리수스의 아스클레피움이 번성하고 힘을 증명한다. 아스클레피움과 로마의 귀곡촌 옆에는 두 개의 그리스 정교회 교회도 있다. 아지오스 키리코스는 멋진 프레스코화를 가지고 있으며, 파나기아의 예배당은 고대 대리석 블록으로 지어졌다.
그 작은 해변은 거친 조약돌 해변이다. 요즘 리서스에 사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수자로부터 배나 도보로 닿을 수 있다(90분 도보).
참고 항목
참조
- ^ Ptolemy. The Geography. 3.17.3.
- ^ 스타디아스무스 마리스 마그니
- ^ 콤프. 코넬. 크레타 사크라, 235쪽
- ^ Richard Talbert, ed. (2000). Barrington Atlas of the Greek and Roman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60, and directory notes accompanying.
- ^ Lund University. Digital Atlas of the Roman Empire.
- ^ 조셉 힐라리우스 에켈, 교조나 누모룸베룸, 제2권 315페이지.
- ^ 로버트 패슬리, Trav. vol. i. 88; Mus. Class. 제2권 제298호
이 글에는 현재 공개 도메인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가 통합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