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리버풀 스코틀랜드인

Liverpool Scottish
리버풀 스코틀랜드인
Liverpool Scottish, 1910.jpg
1910년 4월 24일 리버풀 스코틀랜드인.
활동적인1900–2014
나라 영국
나뭇가지Flag of the British Army.svg 영국 육군
유형영토군
역할보병
크기소대
TA 센터타운젠드 애비뉴, 노리스 그린
유니폼글렌가리, 파란 망클이 달린
3월글렌다루엘 하이랜더스
빠른 행군: 로치 란노치
[1]
계약제2차 보어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장식빅토리아 크로스: 캡틴 N.G. 샤바세
전투의 영예1902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전: 벨레와르드, 소메 1916, 긴치, 모발, 이프르 1917, 필킴, 메닌 로드, 패스첸데일, 캄브레이, 리스, 에스테르즈, 프랑스, 플란더스 1914–18
휘장
타탄Forbes tartan (Vestiarium Scoticum).png
클랜 포브스 타탄
해클로열 블루

'스코틀랜드인'으로 알려진 리버풀 스코틀랜드인(Liverpool Scotty)은 1900년 국왕(리버풀 연대)보병 대대로 길러진 육군 예비군(구 영해군)의 일부인 영국 육군의 부대였다.리버풀 스코틀랜드인은 1920년대에 퀸즈 오리지널 카메론 하이랜더스 소속이 되었고, 1937년 그 정체성이 보존된 채 정식으로 연대로 편입되었다.1940년대 후반 이후 영토군의 규모 축소를 반영하여, 이 대대는 1967년 한 회사로 축소되었다가 1999년 A사, 킹스, 체셔 연대소대로 축소되었다.2006년에는 제4대대대, 랭커스터 연대(킹스, 랭커셔, 보더)에 편입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의 서비스는 광범위했고 리버풀 스코틀랜드군은 1914년 11월에 배치되었을 때 서부 전선에 도착한 최초의 영토 대대 중 하나였다.스코틀랜드인과 함께 복무했던 약 10,000명 이상의 남자들 중 1,000명이 전쟁 중에 죽었다.[2]전쟁 중 스코틀랜드군의 첫 번째 주요 전투는 1915년 6월 16일 벨와르드에서 공식적으로 알려진 제1차 행동이었는데, 다른 연합군이 다른 곳에서 교전하는 동안 독일군 예비군을 고정시키기 위해 고안되었다.이 액션은 Liverpool Scottish에게 Hooge 전투로 알려져 있다.벨기에 Ypres에서 동쪽으로 몇 마일 떨어진 마을이지.[3]

이 부대가 전쟁 중 가장 호평을 받은 병사는 노엘 차바세 대위였으며, 그는 영국 육군 의료단 소속으로 빅토리아 크로스를 두 번 받았다.[4]차바세스의 메디컬 오더레이션인 알버트 베이버트 하사는 차바세스의 모 부대가 영국 육군 의료단(RAMC)이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리버풀 스코틀랜드 역사상 가장 높은 훈장을 받은 군인이다.베이버트는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차바세스와 함께 행한 행동으로 훈장과 바(Bar)를 받았다.차바세 감독은 두 번이나 VC를 수상했고 리버풀 스코틀랜드 출신으로는 유일하게 수상자 3명 중 한 명으로 남아 있다.[5]

제2차 세계대전 당시 2개 대대로 확대됐지만 리버풀 스코틀랜드군은 온전한 대대로서 해외 근무를 하지 못했다.대신 다른 대대와 육군 특공대에게 우발적인 자들이 공급되었다.특공대와 함께 리버풀 스코틀랜드군은 노르웨이 전역세인트 나사이어 급습 등 유럽에서 작전을 적극적으로 수행했다.

1900–1914

1913년 7월, 리버풀 왕실 방문 중, 리버풀 스코틀랜드 사람들은 조지 5세메리 여왕을 지나 행진했다.

리버풀에서 스코틀랜드의 편성을 높이기 위한 이전 시도가 있었다.1850년대 후반에 프랑스와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자원봉사 운동의 출현에 박차를 가했다.[6]중산층을 중심으로 구성된 [7]제19차(리버풀 스코틀랜드) 랭커셔 자원봉사 소총단으로 '스코티시(Scottish)' 기업 3곳('하이랜드' 1곳, '로우랜드' 2곳)이 결성됐다.킬로트 사용과 그 타탄 색상에 대한 회원들간의 논쟁은 19세기 단편화에서 절정에 달했다.1861년까지 19 군단과 79 군단 내에 리버풀 스코틀랜드의 4개 회사가 존재했다.두 군단은 모두 살아남지 못했다. 제19대는 리버풀 의용 소총 여단에 의해 소탕되었고, 제79대는 1863년에 해체되었다.[7]

제2차 보어 전쟁은 스코틀랜드 리버풀리아인들로 구성된 부대를 설립하는데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8]1900년 4월 30일 킹스(리버풀 연대) 내에 제8대(스코티시) 자원봉사 대대가 결성되었고, 이후 본부는 엣지 힐의 하이게이트 가 22번지에 위치하였다.[9]리버풀 스코티쉬는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공동체와 분명히 어울리기 위해 영국 보병 연대 4개 대대 중 하나가 되었다. 다른 대대는 런던 스코틀랜드인, 리버풀 아일랜드인, 런던 아이리시 소총이었다.[10]

대대의 드레스 유니폼에 채택된 전통적인 고지대 복장에는 클랜 포브스 패턴 타탄글렌가리 머리장식이 포함되어 있었다.[11]제2봉사대대의 소령이었던 크리스토퍼 포브스 벨은 10월 24일 지휘관으로 임명되어 공식적으로 지휘를 맡았다.[12]벨은 1902년 앤드류 로리 맥피에 의해 지휘에 성공했다.[13]

외부 이미지
리버풀 스코틀랜드인
image icon WWI 유니폼 박물관 전시[14]

다른 자원 봉사 대대와 마찬가지로, 리버풀 스코틀랜드도 제2차 보어 전쟁 때 남아공에서 해외 봉사 분대를 조직했다.존 왓슨 중위 휘하의 22명의 지원병 부대는 1902년 파견되어 고든 하이랜더스 제1기 제4서비스 회사에 부속되었다.그 대대는 이미 J.A 중위에 이어 첫 번째 치사 상태에 빠져 있었다.빙엄은 1902년 2월 제국 여만리에 복무하던 중 클립 강에서 생긴 상처에 굴복했다.[15]갈등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면서 그들은 주로 블록하우스를 점거한 채 제한된 임무만 수행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영국 육군은 "남아프리카 1902"라는 전투 영예의 보상으로 대대의 공헌을 인정했다.[16]

리버풀 스코틀랜드인은 1904년 리버풀 시티 센트럴의 프레이저 스트리트에 본부를 위한 전용 숙소를 취득했는데,[15] 이 숙소는 1967년까지 대대가 유지했다.[17]그 건물의 건설은 부분적으로 공공 기부로 보조되었지만 (약 4,000파운드) 그것의 비용은 세인트 조지 홀에서 주최하는 3일간의 "바자르"를 통해 창출된 추가 기금을 필요로 했다.[15]

리버풀 스코틀랜드군은 1908년 리차드 할데네 전미 국무장관개혁으로 영해군이 창설되면서 14개 군 관할 사단과 14개 기마여단으로 자원봉사와 여단을 묶었다.[18]1914년까지 10대(리버풀 스코틀랜드)는 웨스트 랭커셔 사단의 사우스 랭커셔 여단에 예속될 것이다.[19]

제1차 세계 대전

1914–1915

A line of soldiers standing behind tents with their army gear neatly laid out ready to be inspected. The line of soldiers continues into the distance were buildings can be seen the background.
"E" 회사는 1914년 9월 에든버러 홀리루드 공원에서 키트 검사를 위해 퍼레이드를 했다.

1914년 8월 전쟁이 선포되자 리버풀 스코틀랜드군은 기동하여 윌리엄 니콜 중위의 지휘를 받아 스코틀랜드로 이동했고, 나머지 남랜캐셔 여단도 포스의 방어에 포함되었다.리버풀에는 해외봉사활동을 할 수 없는 인사들로부터 중복된 대대가 구성되었다.원군과 구별하기 위해 2/10호로 지정된 2선 포대는 1915년 5월 3선인 10월에 조직되었다.그들은 신병 훈련과 해외 근무 초안 제공을 담당하게 되었다.아담 페어리 대위가 기르고 조직한 2/10은 1917년 서부전선에 투입되었다.[17]

동시대 사람들이 다른 영토 부대에 비해 사회적으로 엘리트적이고 합리적으로 잘 훈련된 것으로 간주되어, 1/10은 해외 근무를 자원했고 서부전선에 파견된 7번째 영토 대대가 되었다.[20][21]이 대대는 1914년 11월 1일 사우샘프턴의 SS 마단호에 승선해 3일 오전 여왕의 웨스트민스터 소총과 함께 르아브르에서 하선을 마쳤다.[21]이 대대의 원래 힘은 1914년 별에 자격을 갖춘 자들로, 이 함정에 관해서는 "미녀자"로 알려지게 되었다.[22]

3사단 9여단에 배정된 리버풀 스코틀랜드군은 Y프레스에서 남쪽으로 5마일 떨어진 켐멜 지역에 참호를 점령했다.1/10은 11월 29일 첫 사망자를 냈다: 선장 아서 트웬먼은 영국 전선으로 돌아가려다 사망했다.[23][24]혹독한 겨울과 참호전의 조합은 곧 리버풀 스코틀랜드의 힘을 고갈시켰다.[25]11월에 기록된 26명의 장교와 829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이 대대는 1915년 1월까지 370명의 신체 건강한 병력으로 축소되었다.[21][25]대대가 도착한 지 몇 주 만에, 콜론엘 니콜 중위의 후임인 블레어 소령은 건강이 좋지 않아 J.R. 데이비드슨으로 교체되었다.데이빗슨은 비록 솜므 공격 중 입은 상처로 인해 방해를 받았으나 1917년까지 이 대대를 지휘했고, 그 때 리버풀로 돌아와 도시 수상 위원회의 수석 엔지니어가 되었다.[26]

구식 장비와 정규군과의 조직적 차이는 대대와 다른 영토들이 프랑스에서 경쟁했던 가장 초기 난제들 중 일부가 되었다.스코틀랜드군은 정규군에서 SMLE(Short Magazine Lee-Enfield)으로 대체된 롱버전 리-엔필드(MLE) 소총을 채용했다.새로운 탄약과 서부전선의 조건에 맞지 않는 10번째 MLE는 1915년 초 SMLE에 의해 단계적으로 폐지되기 시작했다. 이 과정은 1916년까지 완전히 완료되지 않을 것이다.[27]구조적으로 정규군과 다른 영토 대대는 전쟁 초기에 정규군과 일치하도록 재편되었다.[28]1913년 4개 중대 체제를 채택했던 정규군과 달리 영토 대대는 여전히 8개 중대 체제로 조직되었다.이 제도가 리버풀 스코틀랜드로 확대되자 이 대대는 통합기업 'V' 'X' 'Y' 'Z'를 지정했다.이는 대대가 잠재적으로 혼동할 수 있다고 간주하는 전통적인 "A"에서 "D" 또는 "1"에서 "4"로 보는 것과 대조된다.[28]

1915년 6월 16일 리버풀 스코틀랜드인.독일 전선 왼쪽의 철도 우드에서 포탄이 터진다.

이 대대의 첫 번째 주요 교전은 1915년 6월 16일 Ypres에서 동쪽으로 3.2km 떨어진 Hooge에서 일어났다.[29]제7여단을 지원하는 제9여단은 벨레와르드 호 남서부 가장자리의 참호까지 도달하는 궁극적인 의도를 가지고 3중공격을 실시하도록 선택되었다.독일 라인 뒤에는 영국의 입장을 간과한 전술적으로 중요한 특징인 벨레와르드 리지가 자리 잡고 있었다.[30][31]0415년에는 제1의 물결 병력이 목적대로 움직이며 재빨리 제1선의 참호를 확보하였고, 이 참호는 영국군의 포탄이 계속 포격을 가하였다.[32][33]제2의 파도를 형성하고 있는 리버풀 스코틀랜드와 제1 링컨셔 연대는 이후 참호를 떠나 제1의 파도를 뚫고 독일 2선에 도달했다.[34]진격은 비교적 무저항이었지만 '브이' 회사는 기관총 사격으로 인해 전방에서 저항에 부딪혔다.'Z'로 보강된 이 회사는 잠시 진격을 중단한 뒤 반대 입장을 취하하고 40여 명의 포로를 연행했다.[33]

2선을 잡으면서, 리버풀 스코틀랜드의 요소들은 거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얕은 참호를 통합하기로 결정했다.[33]전투는 영국 대대들이 응집력을 잃고 서로 뒤엉켜버리는 등 순식간에 흐트러지고 혼란스러운 정사로 전락해 있었다.독일군의 집중 포격으로 2선 참호 점령자가 사망했고, 10선의 임시 지휘관인 중령 콜로넬 E.G.마른, 총에 맞아 부상당했다.[33]리버풀의 나머지 선수들은 로열 스콧 후실리어스노섬벌랜드 후실리어스의 일부 선수들과 함께 3선에 진출했다.[35]

1915년 6월 16일 후게 전투그 배경에는 포병대 위에 포병 표지를 심어 포병대에 전선이 확보되었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다.

거침없는 폭격과 함께 3선을 통합하는 것은 어려운 것으로 판명되었고 참호체계의 비적응적인 우파의 단호한 반대였다.[33]리버풀의 일부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동적으로 3선을 넘어 데드맨의 바텀이라는 직책과 사망 가능성이 있는 직책을 향해 나아갔다.[35]대대의 왼쪽 옆구리는 생존한 노섬벌랜드 푸실리르들의 퇴각으로 오후에 타협이 되었다.리버풀 스코틀랜드 팀은 결국 2선으로 물러났고, 그 후 이전 독일 전선의 보다 실행 가능한 진입로로 후퇴했다.[33]전투는 밤까지 계속되었고, 독일군은 1선 참호를 탈환하기 위해 실패한 시도를 했다.[36]약 1,000야드(3,000피트)의 영토확보 기간 동안,[37] 리버풀 스코틀랜드 팀은 심한 인명피해를 입었다. 79명의 사망, 212명의 부상, 그리고 542명의 장교와 다른 계급의 전투전 전력에서 109명의 실종.[38]이 전투의 기념비는 2000년에 그 지역에 세워졌다.경험이 풍부한 스콧 맥피 R.A. 스콧 맥피 중사는 아버지에게 보낸 편지에서 캠프에서의 후폭풍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 잠시 후, 누더기가 된 제복을 입은 소수의 남자들, 얼굴이 검게 그을리고 면도하지 않은 채, 빨갛게 핏빛으로 물든 옷, 또는 리다이트의 연기로 누렇게 물든 옷들이 우리 대문을 지나갔다.나는 Y 사를 부르짖었다.한 사람이 앞으로 나왔다!가슴이 찢어지는 것 같았다.서서히 다른 사람들이 비틀거리며 다가왔고, 몇몇 부상자들은 기진맥진한 상태로...[39][40]

1916–1917

서랜캐셔 사단은 1916년 1월 휴 주드윈 소장의 지휘를 받아 제55(웨스트 랭커셔) 사단으로 개편했다.사단의 원래 구성 대대 중 많은 수가 돌아왔고 리버풀 스코틀랜드군은 166 여단에 합류했다.[41]1916년 7월 솜므 공세에 전념하기 전까지 55대는 아미엔스 지역에 집중되어 있었다.[41]리버풀 스코틀랜드가 7월 중순 솜므로 이적해 31일 몬타우반 인근의 제18대 킹스랜드를 안심시켰다.[42]버나페이와 트르네스 우즈 인근에서 끊임없는 포격을 받으며 6일을 보낸 리버풀 스코틀랜드군은 길레몬트에 대한 공격에 대비해 만셀 콥스로 이동했다.[43]마을은 이미 솜므의 개전 이후 두 차례의 공격을 받은 상태였다.8월 8일 0420에서 2사단과 55사단의 여단들이 길레몬트를 점령하기 위한 연합작전을 시작했다.그 작전은 결과적으로 큰 손실을 입으면서 실패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리버풀 아일랜드와 제1대 킹의 일부가 가까스로 길레몬트에 입성했지만 고립되었다.2개 대대에서 700명 이상의 병사가 전사하거나 부상 또는 실종되었으며, 많은 병사들이 전쟁 포로가 되었다.[44]

리버풀 아일랜드가 길레몬트에서 버티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는 가운데 다음날 55사단에 공격을 재개하라는 명령이 내려졌다.[44]8일 밤 전투를 재개하는 것은 9일 새벽 공격 결정이 나기 전부터 검토돼 왔다.[45]지난 8일 예비역이었던 리버풀 스코틀랜드가 왼쪽 측면에 1/5 로얄스를 두고 400야드(1,200ft) 전방을 따라 전진해 독일 전선을 관통, 길레몬트의 동쪽 경계선에 자리를 잡을 예정이었다.[46]전투의 전주곡에서 리버풀 스코틀랜드 팀은 독일의 산발적인 폭격을 피하기 위해 끊임없이 움직이며 줄 뒤에서 기다렸다.대대는 안내원의 부재로 한 단계 더 복잡해진 낯선 영토를 통해 출발지점까지 항해를 시도하다 더 큰 어려움을 겪었다.[46]포대는 공격이 시작되기 불과 20분 전인 0400으로 목적지에 도달했지만 로얄스는 1시간이 지나서야 도착했다.[47]데이비드슨 대령은 회사 지휘관들에게 브리핑할 시간(분)을 주었을 뿐 최종 명령이 늦게 접수되었다.[45][46]

5분간의 포격은 "제로" 시간에 앞서 일어났고, 이로 인해 즉각적인 반격전이 일어났다.[45]0420에서 리버풀 스코틀랜드군은 전날 164여단이 갖고 있던 포지션과 같은 위치에서 상단을 넘겼다.기관총 사격과 결합하여 대대의 진보를 억누르는 이 포격은 아무도 없는 땅에 리버풀 스코틀랜드군을 감쌌다.콜론엘 데이비드슨 중위는 기세를 되찾기 위해 직접 대대를 집결시켰으나 격퇴된 공격 도중 부상을 입었다.포대 잔당들이 전선에 도달하기 위해 두 번 더 시도했지만 아무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대다수가 철조망 없는 철조망에 막혀서 독일 참호에 들어간 사람은 거의 없었다.[46]길레몬트에 근무하고 있는 20명의 장교와 약 600명의 계급 중 74명이 사망하고 174명이 부상했으며 32명은 행방불명되었다.실종자 대부분은 나중에 살해된 것으로 확인될 것이다.[48]또 다른 시도는 며칠 후 제9대 국왕에 의해 이루어졌다.그 마을은 9월이 되어서야 잡힐 것이다.부상자 중에는 빅토리아 십자 훈장을 받은 영국 육군 의료단 소속의 리버풀 스코틀랜드인 소속의 노엘 고드프리 차바세 대위가 있었다.[49]그는 이 대대의 처음이자 유일한 수령자가 되었고, 이전에 후게스에서의 행위로 군십자 훈장을 받은 적이 있었다.[50]

노엘 고드프리 차바세 초상화.

이어진 긴치모발의 전투에서 1/10은 델빌 우드 근처에 참호망을 건설하고 개선했으며, 죽은 자들은 수집하여 매장하는 순전히 조연 역할을 했다.[51]모발 전투 중 제3서부 랭커셔 야전 구급차에 2명의 장교와 100명의 계급으로 이루어진 일행이 붙었다.[52]이 대대는 폰트 레미에서 바이부아킹을 한 뒤 10월 비교적 조용한 이프레스 살리엔트로 사단과 함께 이양했다.[53]전선을 교대하고, 지지하고, 예비역하는 일상은 1917년 7월 제3차 Ypres 전투까지 대대를 점령했다.[53]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기간 동안 포탄과 저격의 결과로 사상자는 대대에 의해 지속되었다.[53]

그 후 이 대대는 위엘트제에 위치한 이프레스 수비대에게 돌아갔다.1917년 7월 31일, Ypres를 중심으로 새로운 공세가 전개되어 독일 전선을 침투하여 벨기에 해안으로 진격하고 독일 잠수함 기지를 점령하려 하였다.리버풀 스코틀랜드군은 166여단 지역에서 가장 심한 저항을 겪으며 요새화된 농장 주변에서 큰 손실을 입었다.이 대대는 8월 3일 경질될 때까지 포획된 독일군의 참호 속에 남아 있었다.차바세 대위는 다음날 다시 부상병들을 돌본 후 상처로 사망했다.그의 행동으로 그는 빅토리아 십자군에 사후의 바(Bar)가 되었고,[54] 그렇게 훈장을 받은 세 사람 중 한 사람이고, 제1차 세계대전의 유일한 이중수령자가 되었다.[55]

9월에 스코틀랜드 사람들은 캠브레이에서 남쪽으로 13마일 떨어진 에페이로 남쪽으로 이동했고, 그 곳에서 11월 캠브레이 전투에 사단이 참가했다.[56]

1918

1918년 3월 21일, 중앙 강대국들은 예상된 독일 공세(미카엘 작전)를 개시하여, 상당한 미군 병력이 서부전선에 도착하기 전에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려는 독일의 마지막 시도의 시작을 알렸다.25일까지 아미엔스 방향으로 영토의 실질적인 이득이 이루어졌다.[57]공격 가능성에 대비했지만 리버풀 스코틀랜드와 55사단은 다음 공격 단계인 조지테 작전이 있을 때까지 필사적인 연합방위태세에 참여하지 않았다.[58]

1918년 4월 10일 에스테르즈 전투 중 독가스에 눈이 먼 55사단 병사들이 베쓰네 인근 어드밴스트 드레싱 스테이션에서 치료를 기다리고 있다.

4월 9일에 시작된 조지트 작전은 플랑더스에 있는 황폐해진 이프레스의 마을로 초점을 옮겼다.[57]이번 공격에 앞서 발생한 폭격은 상당한 규모였으며 포스겐 가스탄도 포함돼 리버풀 스코틀랜드인 중 사상자가 속출했다.[59]

리버풀 스코틀랜드군은 에스테르장즈 전투 당시 기븐치(Givenchy) 부문 수비에 관여하면서 1917년 2월 프랑스에 상륙한 2/10 대대를 흡수할 정도로 손실을 견뎠다.[60]스프링 공세가 중단된 후 서부 전선은 마지막 단계로 접어들었는데, 이는 8월부터 11월까지 백일 공세로 알려진 연합군의 일련의 드라이브였다.리버풀 스코틀랜드인은 10월에 라 바세 운하에서 전쟁의 마지막 행동 중 하나를 했다.[61]

전쟁의 마지막 달은 그 대대에게 거의 휴식을 주지 않았다.1918년 11월 11일 정전사태에 이르기 까지 리버풀 스코틀랜드인들은 반대 없이 수많은 마을을 확보하는 것을 도왔고 11월 9일 셸트 강을 건넜다.[62]휴전이 있던 날, 리버풀 스코틀랜드 팀은 빌러즈-노르트르-다메에 위치해 있었다.[63]165번166번 여단으로, 이 대대는 아츠 마을로 들어가는 것을 방해하는 독일군의 입장을 공격하기 위해 배치되었다.그러나 제2/5 랑카셔 푸실리어가 교량 중 하나를 파괴하기 전에 공격하여 점령함으로써 그러한 전망은 피할 수 있었다.[62]

즉시 강등될 자격이 없는 많은 수의 남자들이 있는 리버풀 스코틀랜드인은 강등하기 위해 앤트워프를 거쳐 영국으로 돌아가는 직업군 간부들을 위한 수용소를 유지하기 위해 점령군과 함께 앤트워프로 보내졌다.그들은 11월에 그들의 업무가 끝날 때 까지 그곳에 머물렀다.[64]

인터벨럼

1920년 영토군에 재입성한 후, 리버풀 스코틀랜드군은 여왕의 소유인 카메론 하이랜더스와의 관계를 공식화하고 1937년 이 연대의 제2영토 대대가 되었다.[65]킹스 연대가 잉글랜드 북서부를 아우르는 도시화가 밀집한 지역에 비해 하이랜드의 카메론 하이랜더스 채용 지역은 인적이 드물었다.[66]비록 숫자 명칭이 생략되었지만, 대대의 신원은 보존되었고 리버풀 프레이저 가의 본부는 보존되었다.1938년 리버풀을 방문조지 6세에버턴 풋볼 클럽 구디슨 파크 경기장에서 대대에게 새로운 색상을 선물했다.[67]

스코틀랜드 로차버에 있는 특공대 기념관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 3월 정부의 발표 이후 영토군이 확장되기 시작한 이후, 리버풀 스코틀랜드군은 2개 대대를 구성했다.TA는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기 직전인 1939년 8월에 동원되었다.전쟁이 발발하자 두 대대는 55사단(웨스트 랭커셔) 165 bde에 있었고, 전쟁 기간 내내 내무군에 남아 있었다.그러나, 두 대대는 주로 카메론 하이랜더스에게 초안을 제공했고, 육군 "특공대"[17][68][69][70]가 된 배아 "독립기업"의 우발적 존재들을 형성했다.

1 대대

1943년 12월 21일부터 55사단은 북아일랜드 영국군에 있었다.1944년 7월 14일, 제1차 Bn은 제199차 Bde(곧이어 166차 Bde를 재설계)에 합류했는데, 55사단이 영국으로 귀환하는 동안 전쟁이 끝날 때까지 북아일랜드에 남아 있었다.[68][71]스코틀랜드인 1세는 1945년에 지브롤터의 수비대에 배치되었다.[72]

특공대

리버풀 스코티쉬는 킹스 연대와 사우스 랭커셔스 소속의 부대가 포함된 복합 제4 독립 회사에 군대를 기부했는데, 이 회사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장교인 J.R. 패터슨 소령의 지휘 아래 집단적으로 이 부대가 소속되어 있었다.[73]1940년 4월 21일, 사이즈웰에서 결성된 이 회사는 얼마 지나지 않아 독일과의 연합군에 합류하기 위해 노르웨이로 향하는 얼스터 프린스에 승선했다.[74][75]5월 초 상륙한 4호 회사는 프랑스군을 완파하고 모조엔 인근을 점령했다.이 회사는 타사와 연계해 브리지어 콜린 구브빈스가 지휘하는 시서포스의 이지스 아래 운영됐다.[76]5월 11일 독일 상륙이 모조엔을 북쪽에서 차단했을 때, 4호 회사는 노르웨이 기선에 의해 대피해 산드네시외엔으로 이송된 다음 5호 회사와 함께 보도로 이송해야 했다.[77]

24일까지 연합군은 독일의 북쪽 진군에 대항하여 보두스의 방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포투스 마을 근처에 방어선을 구축하였다.[78]그의 군대가 전투에 임하는 동안, Brigadier Gubbins는 영국 정부가 노르웨이 북부에서 피난하기로 결정했다는 소식을 들었다.[79]연합군의 철수는 5월 29일부터 시작되었는데, 1, 4호 회사는 행정 요원과 부상자 등 다른 승객을 태운 구축함 2척에 승선했다.[80]

영국으로 돌아온 후, 리버풀 스코틀랜드 부대는 정부의 승인을 얻어 킬트를 배틀 드레스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재지정했다.[81]특공대와 독립기업들은 올해 말 단일 여단이 관리하는 "특수복무" 대대로 통합되었다.여러 가지 이유로 이 시스템은 인기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고 1941년 대대는 하위 분단되어 뚜렷한 특공대 부대로 되돌아갔다.4위 기업을 흡수했던 1특수서비스 대대는 1, 2위 특공대가[82] 되었고, 후자는 5군단으로 지정된 리버풀 스코틀랜드인 다수가 포함되었다.[81]

1942년 3월, 이 부대는 2명의 특공대와 함께 성 나사르에 대한 급습에 참가했다.서부 프랑스 항구를 전함 티르피츠의 대서양 보호구역으로 무력화하기 위해 고안된 전차 작전에는 611명의 대원, 낡은 임대 구축함 캄프벨트타운, 수많은 소형선박들이 참여했다.[83][84]캠프벨트타운은 독일 구축함과 비슷하게 개조되었으나, 9,600파운드(4,400kg)의 폭발물을 전달하기 위한 플랫폼으로 개조되었다.[85]

89년(리버풀 스코틀랜드) 대전차 연대

1942년 9월 13일 제2대대는 노섬벌랜드 구에 있는 218 Bde로 이동했다.[86]그 후 1942년 11월 1일 왕립 포병대로 이관되어 제89차(리버풀 스코틀랜드) 대전차연대로 전환되었으며, 1943년 1월 1일 137, 138, 139 A/T Btys로 번호가 매겨졌다.연대는 1943년 6월 25일 추가로 324 A/T Bty를 편성했다.[87][88][89][90][91]

1943년 11월 9일 47(런던) 보병사단의 사단 A/T 연대가 되었다.이곳은 햄프셔와 도르셋 구역에서 근무하던 예비역 및 훈련 부서였다.북부사령부로 옮겨 1944년 8월 31일 해체되었다.89 대전차 Rgt는 그 후 55사단(웨스트 랭커셔)에 배속되었다(로는 1944년 10월 21일부터 전쟁이 끝날 때까지 서부사령부에 배치되었다.[68][92]

전쟁이 끝난 후, 89번째(리버풀 스코틀랜드) A/T Rgt는 1945년 9월 18일부터 중단된 애니메이션에 들어가기 시작한 1946년 3월 10일까지 홀딩부대가 되었고, 그 과정은 약 한 달 후에 완료되었다.[88]

전후

1 대대

1947년 1월 1일 TA가 재건되자 제1 bn은 프레이저 가에서 제1대대대(모터) 리버풀 스코티시, 퀸즈 자체 캐머런 하이랜더스 등으로 개편되어 서부사령부23기갑여단의 모터 대대를 제공하였다.[87][93][94][95]

1960년대에는 핵무기와 기타 군사 기술에 대한 경제적 제약과 정렬이 영토군의 재편성과 합리화를 초래했다.[96]대부분의 대대는 사관후보생으로 축소되거나 해체되었다.비록 리버풀 스코틀랜드군은 멸종을 피했지만, 이 대대는 보병과 포병 중 하나로 분리되어 해체되고 재구성되었는데, V(리버풀 스코틀랜드) 컴퍼니, 51대 하이랜드 자원 봉사단, G(더 리버풀 스코틀랜드) R(킹스) 배터리 부대, West Lancashire Royal Parents, RA.둘 다 리버풀 주 칠드월 소재 포브스 하우스 스코어 레인에 본사를 유지했다.1969년(제3차 서부 랭커셔 포병) 103연대(랜캐셔 포병봉사단) 로얄포병 208대에 흡수돼 R배터리가 있는 부대가 사관으로 전락한 반면 1992년까지 51고지대의 핵심 부품으로 남아 있었다.[97]

1974년 키프로스에서의 회사 훈련 동안,[17] 그리스와의 증오를 추구하는 그리스 키프로스는 그 섬의 정부를 퇴위시켰는데, 이것은 그리스 준타에 의해 불법적으로 지원된 행동이며, 터키의 침략이 뒤따랐다.[98]민족 분쟁에 개입할 수 없게 된 리버풀 스코틀랜드인들은 결국 그리스가 지배하는 영토를 거쳐 아카마스에서 아크로티리의 영국 기지로 피난했다.[17]냉전 이후의 구조조정은 "V" 회사를 킹스 연대(리버풀)의 후임인 킹스 연대의 제5/8 대대(자원봉사자)에 편입시켰다.1999년 추가 개편으로 A사(킹스) 소대, 킹스, 체셔 연대로 스코틀랜드인이 2개( 리버풀 스코틀랜드) 소대로 줄었다.[97]소대는 리버풀의 영토 보병대가 밀집해 있는 노리스 그린의 타운젠드 애비뉴로 이전했다.[97][99]

2006년에 킹스 연대는 다른 두 연대와 합쳐져 랭커스터 연대가 되었다.연대의 4대대는 랑카스트리아와 컴브리안 지원병들이 국왕과 체셔 연대의 킹스컴퍼니들과 통합되어 결성되었다.[100]리버풀 스코티시 소대는 재기명된 "A"(Ladysmith) 회사의 일원으로 남아 있었다.[17]소대 출신 개인들은 보스니아, 아프가니스탄, 이라크의 작전 관광에 투입된 다른 부대에 소속되어 있었다.[101][102]

리버풀 스코틀랜드 혈통은 2014년 4월 30일, 마지막 생존 소대가 해체되고, 인력은 전적으로 랭커스터 공작 연대에 소속된 채 막을 내렸다.[103]

655 (리버풀 스코틀랜드) 라이트 대공/서치라이트 연대

제2 bn은 1947년 1월 1일 리버풀에 본부를 둔 대공사령부 79 AA여단에서 1947년 1월 1일 655(리버풀 스코틀랜드)대공/수색광 연대로 개혁하면서 전쟁 후 왕립 포병대에 남았다.그러나 1950년 7월 22일 리버풀에서도 525 LAA/SL Rgt로 합병되었다.[87][88][89][104][94][105][106]

655년(리버풀 스코틀랜드어) LAA/SL Rgt는 배틀드레스 블라우스 왼쪽 어깨에 리버풀 스코틀랜드어 숄더 플래시(포브스 타탄의 직사각형)를 착용했고, 이러한 전통은 리버풀 스코틀랜드어 배터리 525 LAA/SL Rgt에 의해 계속되었다.[89]

지휘관

이름 순위 테뉴어 언급
크리스토퍼 포브스 벨 콜로넬 중위 1900–1902 건강 악화로 사임
Andrew Laurie Macfie, CB, VD, DL 중령 1902–1911[13] 후일 준장
윌리엄 니콜 콜로넬 중위 1911–1914[107] 연령으로 인해 교체됨
조지 알렉산더 블레어 메이저 1914[108] 건강 악화로 교체됨
조너선 로버츠 데이비드슨, CMG 콜로넬 중위 1914–1916 길레몬트 주의 부상자
F.W.M. 드류, DSO 콜로넬 중위 1916–1917[109] 후에 9대대대, 킹스 연대를 지휘
조너선 로버츠 데이비슨 경, CMG 콜로넬 중위 1917[109] 리버풀의 수석 엔지니어
DSO의 제임스 레슬리 울드 맥도날드 콜로넬 중위 1917–1918 왕실 스코틀랜드에서 첨부됨
데이비드 캠벨 던컨 먼로, DSO, MC, DCM 콜로넬 중위 1918–1919[110] 고든 하이랜더스로부터 첨부됨
에드워드 고든 씽 DSO 콜로넬 중위 1920-1921[111] 대대 재구성
George Bentham Leathart Rae, DSO, TD 콜로넬 중위 1921[111]-1923[112]
아서 알렉산더 젬멜 경, MC, TD 콜로넬 중위 1923-1927[113]
George Bentham Leathart Rae, DSO, TD 콜로넬 중위 1927[111]-1930[114]
벤자민 아클, MC 콜로넬 중위 1930[115]-1932
아르키발트 M.맥길크리스트, TD 콜로넬 중위 1932[116]-1936[67] 대대사 저자
I.R.T 어바인 콜로넬 중위 1936[117]-1938[67]
F.W. 맥가인니스 콜로넬 중위 1938[118]-1940[119]
H.J.D.L. 맥그리거 콜로넬 중위 1940[119]-1942[120] 캐머런 하이랜더스
C.B. 매켄지 콜로넬 중위 1942[120] 제5(스코티시) 낙하산 대대 지휘를 가정한다.
R.P. 헤이그 콜로넬 중위 1942[120]-1943[120]
J.R. 패터슨 콜로넬 중위 1943[120]- 명령 4번 독립 회사
2/10 대대 (1914년 11월 ~ 1918년 4월)
윌리엄 니콜 콜로넬 중위 1914–1915
애덤 페어리, TD 콜로넬 중위 1915–1917[121] 연령 제한 도달
엘엘 로드디 콜로넬 중위 1917 체셔 연대 소속
월터 로레인 브로디, VC, MC 콜로넬 중위 1917–1918 하이랜드 라이트 보병대 소속, 지휘관 2HLI 살해
3/10 대대 (1915년 5월 ~ 1919년)
던컨 알렉산더 캠벨 콜로넬 중위 1915
에드워드 고든 씽 DSO 콜로넬 중위 1915–1918 나중에 명령한 2/4 로얄스
애덤 페어리, TD 콜로넬 중위 1918 데모빌라이제이션 캠프의 선임된 특전사

메모들

  1. ^ Riley, I. L. (2015). "Pipe Tunes". The Liverpool Scottish Museum Tru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January 2015. Retrieved 24 January 2015.
  2. ^ "Liverpool Remember 1300 Fallen Comrades". Liverpool Echo. 4 June 2002.
  3. ^ "Liverpool Scottish Platoon, A (Kings) Company, The Kings and Cheshire Regiment". British Army. 28 November 20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November 2008. Retrieved 5 September 2009.
  4. ^ Bourne, J. M. (June 2002). Who's who in World War I. Google Books. ISBN 9780203438817. Retrieved 10 September 2009.
  5. ^ "The Victoria Cross". solarnavigator.net.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April 2007. Retrieved 24 January 2015.
  6. ^ 기블린(2000), 페이지 2
  7. ^ a b 기블린(2000), 페이지 2-3
  8. ^ 기블린(2000), 페이지 3
  9. ^ 맥길크리스트, Archibald M.(2005), 페이지 3-4
  10. ^ "London Irish Rifles". Regiments.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January 2006. Retrieved 28 May 2017.
  11. ^ Riley, I. L. (2015). "Display of Uniforms". The Liverpool Scottish Museum Tru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January 2015. Retrieved 24 January 2015.
  12. ^ "No. 27244". The London Gazette. 6 November 1900. p. 6783.
  13. ^ a b "No. 27460". The London Gazette. 1 August 1902. p. 4972.
  14. ^ "Highland Full Dress Unifor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May 2006.
  15. ^ a b c 맥길크리스트, Archibald M.(2005), 페이지 6-7
  16. ^ 기블린(2000), 페이지 4
  17. ^ a b c d e f Riley, I. L. (2015). "A Brief History of the Liverpool Scottish". The Liverpool Scottish Museum Tru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January 2015. Retrieved 24 January 2015.
  18. ^ 페리, 프레드릭 윌리엄(1998), 영연방군: 2차 세계대전의 인력과 조직, 페이지 6
  19. ^ Baker, Chris. "The King's (Liverpool Regiment) - 1/10 (Scottish) Battalion". The Long, Long Trail:The British Army in the Great War of 1914-1918. Retrieved 9 September 2009.
  20. ^ 기블린(2000), 페이지 7
  21. ^ a b c Wyrall(2002), 페이지 99
  22. ^ 기블린, 할(2000), 페이지 8
  23. ^ Wyrall(2002), 페이지 100
  24. ^ 기블린(2000), 페이지 11
  25. ^ a b 기블린(2000), 페이지 15
  26. ^ "Jonathan Roberts Davidson". Grace's Guide. Retrieved 6 October 2019.
  27. ^ 맥길크리스트, Archibald M.(2005), 페이지 24
  28. ^ a b 맥길크리스트, Archibald M.(2005), 페이지 19-21
  29. ^ 이 액션은 리버풀 스코틀랜드에 "후지의 전투"로 알려져 있고 공식적으로 "벨레와르드에서의 첫 공격"으로 알려져 있다.
  30. ^ 와이럴(2000), 페이지 156
  31. ^ 기블린(2000), 페이지 20
  32. ^ 밀레햄(2000), 페이지 96
  33. ^ a b c d e f 기블린(2000), 페이지 22-3
  34. ^ Wyrall(2002), 페이지 158
  35. ^ a b 맥길크리스트, Archibald M.(2005), 페이지 45
  36. ^ 맥길크리스트, Archibald M.(2005), 페이지 47
  37. ^ Wyrall(2002), 페이지 159
  38. ^ 맥길크리스트, Archibald M.(2005), 페이지 48
  39. ^ 20세기 세계: 코어 북. 20세기 세계, 페이지 13
  40. ^ 매카트니(2005년), 시민군: 제1차 세계대전의 리버풀 영토 페이지 209
  41. ^ a b Coop, 페이지 23-24
  42. ^ 기블린(2000), p37
  43. ^ 맥길크리스트, Archibald M.(2005), 페이지 75
  44. ^ a b Wyrall (2002), 페이지 304-7
  45. ^ a b c 기블린(2000), 페이지 38
  46. ^ a b c d 맥길크리스트, Archibald M.(2005), 페이지 76-7
  47. ^ 와이랄(2002), 페이지 310
  48. ^ 맥길크리스트, Archibald M.(2005), 페이지 80
  49. ^ "No. 29438".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11 January 1916. pp. 576–577.
  50. ^ "No. 29802".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24 October 1916. p. 10394.
  51. ^ Wyrall(2002), 페이지 323
  52. ^ 맥길크리스트, Archibald M.(2005), p.87
  53. ^ a b c Gibb(2000), 페이지 50
  54. ^ "No. 30284".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14 September 1917. p. 9531.
  55. ^ 다른 수상자들은 또한 2차 세계 대전 동안 그의 VC를 받은 RAMC의 아서 마틴 리크와 1차 세계 대전 동안 이 두 가지 장식을 받은 유일한 전투병인 찰스 업햄이었다. 그의 행동은 2차 세계 대전 동안 일어났다.
  56. ^ "Liverpool Scottish". Imperial War Museum. 30 November 1917. Retrieved 6 October 2019.
  57. ^ a b 길버트, 애드리안 (2004)초창기부터 현재까지의 전쟁 백과사전, 페이지 236
  58. ^ 기블린(2000), 페이지 80
  59. ^ Wyrall(2002), 페이지 640
  60. ^ 기블린(2000), 페이지 88
  61. ^ ""Stand To" on Givenchy Road". First World War.com. Retrieved 6 October 2019.
  62. ^ a b 맥길크리스트, Archibald M.(2005), 페이지 241–2
  63. ^ Wyrall(2002), 페이지 689
  64. ^ 맥길크리스트 2005, 페이지 251–252, 254–255.
  65. ^ Mills, T.F. "The Queen's Own Cameron Highlanders". regiments.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July 2006. Retrieved 24 January 2015.
  66. ^ 밀레햄(2000), 페이지 139
  67. ^ a b c The Queen's Own Cameron Highlanders (1952년), History Records, p.82
  68. ^ a b c 조슬렌, 90-1페이지
  69. ^ 조슬렌, 353페이지.
  70. ^ 1939년 9월 3일 패트리엇 파일에서 서부 사령부
  71. ^ 조슬렌, 363페이지.
  72. ^ "Brief History of the Liverpool Scottish". Liverpool Scottish Museum Archive. Retrieved 14 March 2021.
  73. ^ 마일햄(2000), 페이지 147
  74. ^ 메신저, 찰스(1991) '특공대: 1940-1946, 페이지 20
  75. ^ 바클레이, 시릴 넬슨(1952년), 제2차 세계대전의 런던 스코틀랜드인, 1939-1945년, 페이지 389
  76. ^ 킹스턴, 토마스(1952년), 노르웨이의 캠페인, 페이지 179
  77. ^ 킹스턴, 토마스(1952년), 노르웨이 전역, 페이지 180-1
  78. ^ 킹스턴, 토마스(1952년), 노르웨이의 캠페인, 페이지 189-90
  79. ^ 킹스턴, 토마스(1952년), 노르웨이의 캠페인, 페이지 92
  80. ^ 아담스, 잭(1989년), 불운한 탐험대: 1940년 노르웨이 전역, 페이지 89
  81. ^ a b 군사 역사 학회(1977), 회보, 페이지 104
  82. ^ 모어맨, 팀(2006), 영국 특공대 1940-46, 페이지 15-6
  83. ^ 포드, 켄(2001년), 세인트 나사이어 1942: The Great Commando Raid, 페이지 10
  84. ^ Antill, P. (6 April 2001). "Raid on St. Nazaire (Operation Chariot), Part Two (28 March 1942)". historyofwar.org. Retrieved 24 January 2015.
  85. ^ 모어맨, 팀(2006), 영국 특공대 1940-46, 페이지 67
  86. ^ 조슬렌, 381쪽
  87. ^ a b c 프레더릭, 148페이지
  88. ^ a b c 프레더릭, 913페이지, 916페이지, 925페이지.
  89. ^ a b c 리치필드 132쪽
  90. ^ 퀸즈 오리지널 카메론 하이랜더스 1952 페이지 193–194.
  91. ^ "The Second World War". Liverpool Scottish Museum Archive. Retrieved 5 October 2019.
  92. ^ 조슬렌, 페이지 41.
  93. ^ 1945년 영국 육군의 QOH TA.
  94. ^ a b 왓슨, TA 1947.
  95. ^ 커크우드, 존 브라운(1949), 스코틀랜드 연대: 그들의 역사, 배지, 타탄 등, 페이지 127.
  96. ^ 챈들러(2003)영국군 옥스퍼드 역사, 페이지 163–165
  97. ^ a b c Mill, T.H. (2006)리버풀 스코틀랜드인 (아카이브), regiments.org.2009년 10월 24일 검색됨
  98. ^ 쿡, 버나드 A.(2001년), 1945년 이후 유럽: 백과사전, 페이지 821
  99. ^ "Fact Sheets: Defence in the North West". Ministry of Defen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August 2009. Retrieved 24 October 2009.
  100. ^ Mills, T.F. "The King's and Cheshire Regiment". regiments.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September 2006. Retrieved 24 January 2015.
  101. ^ "Flashback: Pride on Parade; Richard Fletcher on the Ties That Bind the Old Boys of the Liverpool Scottish Regiment". Liverpool Echo. 29 October 2005.
  102. ^ Riley, I. L. (2015). "Ashton Trophy". The Liverpool Scottish Museum Tru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January 2015. Retrieved 24 January 2015.
  103. ^ "Liverpool Scottish Units". Retrieved 5 August 2020.
  104. ^ 프레더릭, 페이지 1029.
  105. ^ 638–677 Rgts RA 1945년 영국 육군에서.
  106. ^ 리치필드, 부록 5
  107. ^ "No. 28547". The London Gazette. 3 November 1911. p. 7957.
  108. ^ 기블린(2000), p10
  109. ^ a b 맥길크리스트, 아르키발트 M.(2005), 페이지 6
  110. ^ 맥길크리스트, Archibald M.(2005), 페이지 168
  111. ^ a b c The Queen's Own Cameron Highlanders (1952년), History Records, 페이지 78
  112. ^ The Queen's Own Cameron Highlanders (1952년), History Records, p.79
  113. ^ (1961), Who who, p.413
  114. ^ The Queen's Own Cameron Highlanders (1952년), History Records, p.80
  115. ^ "No. 33594". The London Gazette. 4 April 1930. p. 2147.
  116. ^ "No. 33834". The London Gazette. 10 June 1932. p. 3788.
  117. ^ "No. 34283". The London Gazette. 12 May 1936. p. 3086.
  118. ^ "No. 34493".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15 March 1938. p. 1753.
  119. ^ a b 퀸즈 오리지널 카메론 하이랜더스 (1952년), 역사 기록, 페이지 179
  120. ^ a b c d e The Queen's Own Cameron Highlanders (1952년), History Records, p.182
  121. ^ 맥길크리스트, Archibald M.(2005), 페이지 200

참조

  • Coop, J.O. (2001) [1919]. Story of the 55th (West Lancashire) Division. Naval & Military Press. ISBN 1-84342-230-1.
  • J.B.M. 프레데릭, 영국 육군의 리니지 1660–1978, Vol I, 웨이크필드: 마이크로폼 아카데믹, 1984, ISBN 1-85117-007-3.
  • J.B.M. 프레데릭, 영국 육군의 리니지 1660–1978, Vol II, 웨이크필드: 마이크로폼 아카데믹, 1984, ISBN 1-85117-009-X.
  • Giblin, Harold (2000). Bravest of Hearts: The Biography of a Battalion — The Liverpool Scottish in the Great War. Winordie Publications. ISBN 0-9539540-0-5.
  • Joslen, H. F. (2003) [1990]. Orders of Battle: Second World War, 1939–1945. Uckfield, East Sussex: Naval and Military Press. ISBN 978-1-84342-474-1.
  • 노먼 E.H. 리치필드, 영공포병 1908–1988 (Their Lengine, Chemits and Badges), 노팅엄:셔우드 프레스, 1992년 ISBN 0-9508205-2-0
  • McGilchrist, Archibald M. (2005) [1930]. Liverpool Scottish 1900–1919. Naval & Military Press Ltd. ISBN 1-84574-093-9.
  • Mileham, Patrick (2000). Difficulties Be Damned: The King's Regiment — A History of the City Regiment of Manchester and Liverpool. Fleur de Lys. ISBN 1-873907-10-9.
  • Mills, T.F. "The Liverpool Scottish". regiments.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August 2006. Retrieved 24 January 2015.
  • Wyrall, Evarard (2002). The History of the King's Regiment (Liverpool) 1914–19. Naval & Military Press. ISBN 1-84342-360-X.
  • Riley, I. L. (2015). "A Brief History of the Liverpool Scottish". The Liverpool Scottish Museum Tru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January 2015. Retrieved 24 January 2015.
  • Queen's Own Cameron Highlanders (1952). Historical Records of the Queen's Own Cameron Highlanders. Vol. VI. Edinburgh and London: William Blackwood and Sons. OCLC 222265108.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