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빌라

Livilla
리빌라
Livilla MBALyon 2018.jpg
훌리오-클라우디아 공주의 흉상, 아마도 리빌라 일거야.
태어난기원전 13년
루두눔, 갈리아
죽은AD 31(연령 43세)
배우자.가이우스 시저
드루수스 율리우스 시저
쟁점.줄리아 리비아
티베리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네로 게멜루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시저 게르마니쿠스 2세 게멜루스
다이너스티훌리오클라우디안
아버지.네로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
어머니.소안토니아

Claudia Livia (클래식 라틴어: CLAVDIA•리비아([1]LIVIA, 기원전 13년경 – 서기 31년)는 네로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와 안토니아의 외동딸이자 로마 황제 클라우디우스와 장군 게르마니쿠스자매칼리굴라의 친이모와 네로 황제의 외증조모이자 티베리우스의 며느리였다.그녀의 이름은 그녀의 할머니인 아우구스투스의 아내 리비아 드루실라의 이름을 따 지어졌으며, 그녀의 가족 별명인 리빌라(Livilla)[2]로 잘 알려져 있다.그녀는 게르마니쿠스 이후와 클라우디우스 이전에 태어났다.

그녀는 율리오-클라우디아 왕조의 잠재적 후계자와 두 번 결혼했는데, 처음에는 아우구스투스의 손자 가이우스 카이사르 (서기 4년 사망), 나중에는 티베리우스의 아들 드루수스 (서기 23년 사망)와 결혼하였다.보도에 따르면, 그녀는 그녀의 두 번째 남편을 독살하는 것을 그녀의 애인 세야누스를 도왔으며, 31년 세야누스가 권좌에서 물러난 직후 사망했다.

결혼

리빌라는 기원전 1년 아우구스투스의 손자이자 잠재적 후계자가이우스 시저와 두 번 결혼했다.따라서, 아우구스투스는 리빌라를 미래의 황제의 아내로 선택했다.이 화려한 왕실의 결혼은 아마도 아우구스투스의 손녀인 대 아그리피나와 소 줄리아를 희생시키면서 리빌라에게 그녀의 미래에 대한 큰 포부를 심어줬을 것이다.하지만 가이우스는 아우구스투스와 리비야의 계획을 중단하고 서기 4년에 죽었다.

같은 해, 리빌라는 그녀의 사촌인 티베리우스의 아들드루수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결혼했다.티베리우스가 서기 14년 아우구스투스의 뒤를 이어 황제가 되었을 때, 리빌라는 다시 잠재적 후계자의 부인이 되었다.드루수스와 리빌라에게는 서기 7년경 줄리아 리비아라는 이름의 딸과 서기 19년 쌍둥이 형제, 즉 23년에 사망한 게르마니쿠스 게멜루스와 유아기에서 살아남은 티베리우스 게멜루스가 있었다.

리빌라는 가족 중에

타키투스는 리비야가 [3]어렸을 때 꽤 못생겼음에도 불구하고 놀랄 만큼 아름다운 여성이었다고 보고한다.씨엔 상원 자문단입니다 피소네 패트레[4] 그녀가 삼촌이자 장인인 티베리우스, 그리고 그녀의 할머니인 [5]리비아 드루실라에 의해 가장 존경받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타키투스에 따르면, 그녀는 동생 게르마니쿠스의 아내인 처제 아그리피나 대왕에게 원망과 질투를 느꼈는데,[6] 그와는 비교가 되지 않았다.사실, 아그리피나는 (칼리굴라 황제와 아그리피나의 어머니로서) 가문에 대한 왕실의 후계자를 훨씬 더 잘 배출했고 훨씬 더 인기가 있었다.수에토니우스는 동생 클라우디우스가 언젠가 황제가 될 것이라는 말을 듣고 로마인들의 [7]운명을 공개적으로 개탄했다고 전한다.

훌리오-클라우디아 왕조의 대부분의 여성 구성원들과 마찬가지로, 그녀 또한 매우 야심적이었을지도 모른다, 특히 그녀의 남자 [8]자손에 대해서.

세야누스와의 불륜

아마도 쌍둥이가 태어나기 전부터 리비야는 티베리우스의 고위 관리인 루시우스 아엘리우스 세야누스와 바람을 피웠을지도 모른다.-나중에 일부(티베리우스 포함)는 세야누스가 쌍둥이를 낳은 것으로 의심했다.드루수스는 19년 게르마니쿠스가 죽은 이후 세야누스를 논쟁에서 때린 직후인 23년에 사망했다.타키투스, 수에토니우스, 카시우스 디오에 따르면, 세야누스가 드루수스를 독살한 것은 그가 미래의 황제의 분노를 두려워했을 뿐만 아니라, 그가 최고 권력을 노리고 있었고, 리빌라를 [9]공범으로 삼아 잠재적인 경쟁자를 제거하려고 했기 때문이라고 한다.드루수스가 정말로 독살되었다면, 그의 죽음은 그 당시에는 의심을 불러일으키지 않았다.

세야누스는 이제 홀아비가 된 리빌라와 결혼하고 싶어했다.서기 25년에 티베리우스는 그러한 요청을 거절했지만 31년에 결국 굴복했다.같은 해, 황제는 리빌라의 어머니이자 그의 처제인 안토니아 소자로부터 세야누스가 자신을 타도할 계획이라는 증거를 받았다.티베리우스는 원로원에서 세야누스를 비난하고 그를 체포하여 감옥에 끌고 가서 사형에 처하게 했다.그 후 로마에서 유혈 숙청이 일어났고, 세야누스의 가족과 추종자들은 그의 운명을 함께했다.

고소 및 사망

세야누스의 전 부인 아피카타는 자녀들의 사망 소식을 듣고 자살했다.그녀가 죽기 전에, 그녀는 세야누스와 리빌라가 드루수스를 독살했다고 비난하는 편지를 티베리우스에게 보냈다.드루수스의 술꾼 리그두스와 리빌라의 의사 에우데무스는 조사를 받았고 고문으로 아피카타의 혐의를 확인했다.

리빌라는 얼마 지나지 않아 죽거나 자살에 의해 사망했다.Cassius Dio에 따르면, 티베리우스는 리빌라를 그녀의 어머니인 Antonia Minor에게 넘겨주었고, Antonia Minor는 그녀를 방에 가두고 굶겨 [10]죽였다고 한다.

서기 32년 초, 상원은 "끔찍한 법령... 그녀의 동상과 [11]기억력에 대한 것"을 발의했다.

사후에, 그녀의 의사인[12] 에우데무스와 상원의원이자 시인인 마메르쿠스 아이밀리우스 [13]스코우루스와의 간통 의혹이 더 제기되었다.

초상화

리빌라일 수도 있는 프랑스의 대동소이 여인

리빌라 사망 후 상원에서 반대표를 던진 빌어먹을 기념비 때문에 리빌라의 아이콘적 정체성은 많은 문제를 야기했다.몇 가지 가능성이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고 진전되었다.적어도 세 개의 복제품에 남아 있고 "알레시아형"으로 언급될 수 있는 초상화는 리빌라를 [14]나타낼 수 있다.이 복제품들은 티베리안 시대의 머리 모양을 한 한 여성의 머리를 보여준다.관상은 비슷하지만 안토니아 소년의 초상화, 리빌라의 어머니 그리고 몇몇 복제품들은 자발적인 손상의 흔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이러한 모든 이유로, 이 초상화들이 리비야의 상징이라고 제안되어 왔다.

두 아기의 실루엣을 가진 한 여성의 카메오 초상화가 리빌라로 [15]잠정 확인됐다.프랑스 카메오 오른쪽에 앉은 여성이 리빌라를 상징할 가능성이 있지만, 왼쪽에 앉아 두루마리를 들고 있는 여성 인물은 바로 위에서 보이는 소 [16]드루스의 미망인으로 묘사된 리빌라를 상징할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인다.

문화 묘사

리빌라는 그 시기에 관한 세 편의 텔레비전 시리즈에서 묘사되었다.1968년 영국의 텔레비전 시리즈 The Ceasars에서 그녀는 Suzan Farmer에 의해 연기되었다.

1976년 BBC TV 시리즈인 클라우디우스에서 그녀는 패트리샤 퀸이 연기했다.그 프로그램에서 그녀는 아그리파 포스투무스와 바람을 피웠지만, 리비아는 그녀를 설득하여 그를 강간죄로 몰아가게 하고, 그를 추방한다.그녀는 세야누스의 도움으로 드루수스를 죽이고 그와 함께 티베리우스를 살해할 음모를 꾸미지만, 그녀의 어머니는 증거를 찾아 클라우디우스를 통해 티베리우스로 보낸다.그녀는 또한 리빌라가 자신의 길을 가로막는다는 이유로 딸을 살해하려 한다고 믿고 있다.리빌라는 죽을 때까지 떠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는 그녀의 어머니에 의해 방에 갇히게 된다.

1985년 미니시리즈에서 그녀는 수잔 서랜던에 의해 연기되었다.

레퍼런스

  1. ^ Nuorluoto, Tuomo (July 9, 2021). "The Nomenclature of (Claudia) Livia, "Livilla"". Arctos – Acta Philologica Fennica. 54.
  2. ^ Varner, Eric R. (2004-01-01). Monumenta Graeca et Romana: Mutilation and Transformation; Damnatio Memoriae and Roman Imperial Portraiture. Leiden: Brill. p. 93. ISBN 9004135774.
  3. ^ 타키투스, 연보, 4.3
  4. ^ 베스 세베리, 초기 제국 군주제 시대의 가문과 주: The Senatus Consultum de Pisone Patre, Tabula Siarensis, and Tabula Hebana, CP 95 (2000), 페이지 318-337
  5. ^ 안넬리스 프리젠브루흐, 시저스의 아내: 로마제국의 섹스, 권력, 정치.프리 프레스, 뉴욕, 2010, 페이지 90
  6. ^ 타키투스, 연보, 2.43
  7. ^ 수에토니우스, 비타 클라우디, 2.2
  8. ^ 레빅, 바바라, 정치가 티베리우스.루트리지, 제2판, 뉴욕, 1999, 페이지 127
  9. ^ 타키투스, 연보 4.3
  10. ^ 디오 카시우스, 58.11.7
  11. ^ 타키투스, 실록 6.2
  12. ^ 플리니 자연사 29.20
  13. ^ 타키투스, 아날레스 6.29디오 카시우스 58.24.5
  14. ^ F. Keyrel, Un princese Julio-claudienne al Alésia in Revue. archéologique de l'Est et du Centre Est, 1993, n°44, 페이지 411-428
  15. ^ http://www.jasperburns.com/gasvips.htm, 그림 10
  16. ^ L. 줄리아니, 레기어 언마긴 Il Grand Camée de France e la successione di Tiberio, storicamente.org (2004-200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