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보니아 기사단
Livonian Order리보니아 기사단 | |
---|---|
![]() ![]() | |
활동적인 | 1237–1561 |
나라 | |
분점 | 튜턴교 |
게리슨/본사 | 웬덴(체시스), 펠린(빌리안디) |
전투명예 | 리보니아 십자군, 얼음 전투, 베센베르크, 리보니아 전쟁 |
라트비아의 역사 |
---|
![]() |
연표 |
![]() |
리보니아 수도회는 1237년에 결성된 튜턴 [1]수도회의 자치 분회였다.1435년부터 1561년까지 리보니아 연방의 일원이었다.
역사
이 기사단은 1236년 샤울렌 전투에서 사모기티아인들에게 패한 후 리보니아 검의 형제들의 잔당으로부터 형성되었다.그들은 튜턴 기사단에 편입되었고 1237년에 [2]리보니아 기사단으로 알려지게 되었다.그해 여름, 프러시아의 사령관 헤르만 발크는 [3]리보니아의 성 지휘관 및 관리자로서 그의 부하들을 배치하기 위해 리가로 말을 타고 갔다.
1238년, 리보니아의 튜턴 기사단은 덴마크 왕국과 스텐스비 조약을 맺었다.이 협정 하에서 덴마크는 북부 해상 에스토니아와 [3]맞바꾸는 수단의 확장 야망을 지지할 것이다.
1242년, 리보니아 수도회는 노브고로드 시를 점령하려고 시도했다.하지만,[3] 그들은 얼음 위의 전투에서 알렉산더 넵스키에게 패배했다.
덴마크가 스텐스비 조약으로 양도한 땅의 파이데 요새는 러시아군의 위협을 억제할 수 있게 했다.그 이유로, 그 수도회는 남쪽 국경과 세미갈리아에 [3]초점을 맞췄다.
세미갈리아는 리보니아 기사단의 전략적 영토였다.리투아니아인들은 리보니아의 정착촌을 습격하기 위해 세미갈리아를 통과했고, 그들은 리가 만의 겨울 얼음 팩을 이용해 외셀 섬에 도착했다.또한, 이 영토는 튜턴 교단의 리보니아 지부를 프러시아 [3]지부와 분리시켰다.
1237년과 1290년 사이에 리보니아 수도회는 쿠를란트, 리보니아, 세미갈리아 전역을 정복했다.1298년 리투아니아인들은 리가의 북쪽에 있는 카르쿠스 성을 점령하고 투라이다 전투에서 기사단을 격파하여 리보니아 토지 마스터 브루노와 22명의 [4]기사를 죽였다.1346년, 수도회는 덴마크의 발데마르 4세로부터 에스토니아 공국을 사들였다.기사단의 영역 내에서의 삶은 발타사르 러소 연대기(Chronica der Reanz Lyflandt)에 기술되어 있다.
튜턴 교단은 1410년 그룬발트 전투에서 패배하고 1525년 브란덴부르크의 알베르트에 의해 프러시아 영토의 세속화 이후 쇠퇴했고, 리보니아 교단은 독립적인 존재를 유지하는데 성공했다.
1435년 9월 1일 위코미에츠 전투에서 리보니아 기사단이 패배하면서 사장과 몇몇 고위 기사의 목숨을 앗아갔다.1435년 12월 4일 리보니아 연방 협정(einine fruntliche yntractht)은 리가의 대주교, 코트란트, 외셀비크, 레발 주교, 리보니아 수도회, 리보니아 시의 대리인, [5]도르파트에 의해 서명되었다.
그러나 리보니아 전쟁 중, 1560년 에르게메 전투에서 모스크바의 러시아군에 의해 수도회는 결정적인 패배를 당했다.리보니아 수도회는 1557년 리가의 윌리엄 주교와 형제들 사이의 전쟁에 개입한 폴란드의 왕이자 리투아니아의 대공인 지기스문트 2세 아우구스투스로부터 보호를 구했다.
지기스문트 2세와 합의에 이른 후 아우구스투스와 그의 대표자들(특히 "검은" 미코와이 라지위우)은 마지막 리보니아 마스터인 고타르트 케틀러(Gotthard Kettler)를 세속화하고 루터교로 개종시켰다.형제들의 영지의 남쪽 지역에 그는 그의 가족을 위해 쿠를란트 공국과 세미갈리아 공국을 만들었다.나머지 대부분의 땅은 리투아니아 대공국에 의해 점령되었다.에스토니아 북쪽은 덴마크와 스웨덴에 의해 점령되었다.
14세기부터 16세기까지 한자 동맹의 마을에서 사용되는 중저독일어가 확립된 언어였지만, 이후 16세기와 [6]17세기에 걸쳐 고지독일어가 공용어로 계승되었다.
리보니아 기사단장
튜턴 기사단의 그랜드 마스터처럼 리보니아 마스터는 동료 기사들에 의해 종신형으로 선출되었습니다.그 그랜드 마스터는 감독권을 행사했고 그의 조언은 명령과 같다고 여겨졌다.튜턴 기사단의 그랜드마스터는 지방 자치권을 제한하지 않았고,[7] 그는 리보니아를 거의 방문하지 않았고, 감독을 위해 대사를 파견하지 않았다.
● 헤르만 발크 1237–1238
● 디트리히 폰 그뤼닝겐 1238년–1242년
● 디트리히 폰 그뤼닝겐 1244년-1246
● 안드레아스 폰 슈테를란트 1248년-1253년
● 안노 폰 상거스하우젠 1253년-1256년
● 부르하르트 폰 혼하우젠 1256–1260
● 베르너 폰 브레이타우센 1261년–1263년
● 콘라드 폰 만데른 1263년–1266년
● 오토 폰 루터베르크 1266–1270
● 발터 폰 노르테켄 1270–1273
● 에른스트 폰 라스부르크 1273년-1279년
● 콘라트 폰 포이흐탕겐 1279년-1281년
● 빌켄 폰 엔도르프 1281–1287
● 콘라드 폰 헤르조겐슈타인 1288–1290
● Halt von Hohembach – 1293
● 하인리히 폰 딘켈라게 1295년–1296년
● 브루노 1296–1298
● 고트프리드 폰 로가 1298년-1307년
● 게르하르트 반 조크 1309–1322
● 요하네스 언제네이드 1322–1324
● 레이마르 하네 1324년–1328년
● 에버하르트 폰 몬하임 1328–1340
● 부르하르트 폰 드레일레벤 1340–1345
● 고스윈 폰 헤르케 1345–1359
● 아놀드 폰 비팅호프 1359년–1364
● 빌헬름 폰 브리머스하임 1364–1385
● 로빈 폰 엘츠 1385–1389
● 베네마르 하센캄프 폰 브뤼게네예 1389–1401
● 콘라드 폰 비팅호프 1401–1413
● 디데릭 토크 1413–1415
● 지크프리트 란더 폰 스판하임 1415–1424
● 지스 폰 루텐베르크 1424–1433
● 프랑코 케르스코르프 1433년-1435
● 하인리히 폰 보켄보르데 1435–1437
● 하인리히 빈케 폰 오버베르겐 1438–1450
● 요한 오스트호프 폰 멘게데 1450년-1469년
● 요한 볼투스 폰 헤르세 1470년-1471년
● 베른트 폰 데르 보르흐 1471–1483
● 요한 프레이타그 폰 로링호벤 1483–1494
● 볼터 폰 플레텐베르크 1494–1535
● 헤르만 하센캄프 폰 브루게네예 1535년–1549년
● 요한 폰 데르 레케 1549–1551
● 하인리히 폰 갈렌 1551년-1557년
● 요한 빌헬름 폰 퓌르스텐베르크 1557년-1559년
● 고더트 케틀러 1559년–1561년
리보니아 기사단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 콤투레이 마리엔부르크
- 랜드마르샬 세게월드
- 오르덴마이스터 (콤투레이) 뒤나문데
- 콤투레이 아셰라덴
- 콤투레이 뒤나부르크
- 콤투레이 바우스케
- 콤투레이 미타우
- 콤투레이 도블렌
- 콤투레이 골딩겐
- 콤투레이 윈도
레퍼런스
- ^ Urban, William (2005). The Teutonic Knights: A Military History. pp. 259–273. ISBN 1-85367-667-5.
- ^ Frucht, Richard C. (2005). Eastern Europe: An Introduction to the People, Lands, and Culture. ABC-CLIO. p. 69. ISBN 1-57607-800-0.
- ^ a b c d e Turnbull, Stephen R. (2004). Crusader castles of the Teutonic Knights. 2, The stone castles of Latvia and Estonia 1185–1560. Dennis, Peter, 1950–. Oxford: Osprey. pp. 17–22. ISBN 1-84176-712-3. OCLC 56426711.
{{cite book}}
: CS1 유지보수: 날짜 및 연도(링크) - ^ www.gaumina.lt, e-solution: Gaumina. "Orbis Lituaniae – Lietuvos Didžiosios Kunigaikštystės istorijos". m.ldkistorija.lt. Retrieved 5 April 2018.
- ^ Raudkivi, Priit (2007). Vana-Liivimaa maapäev. Argo. pp. 118–119. ISBN 978-9949-415-84-7.
- ^ Koch, Kristine (2002). Deutsch als Fremdsprache im Russland des 18. Jahrhunderts. Die Geschichte des Deutschen als Fremdsprache (in German). Vol. 1. Berlin/New York: Walter de Gruyter. p. 59. ISBN 3-11-017503-7.
- ^ Urban, William L (2004). Livonian Crusade. Lithuanian Research and Studies Center. pp. 12, 14. ISBN 0-929700-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