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스 클라크
Lois Clark로이스 클라크(1884년-1967년)는 미국 북서부, 특히 프룰라니아속 식물을 연구한 미국의 식물학자, 브라이스트, 교수였다.그녀는 아이다호 대학과 워싱턴 [1][2][3]대학에서 가르쳤다.표준 저자 약어 L.Clark는 [4]식물명을 인용할 때 이 사람을 저자로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초기 생활과 교육
로이스 클락은 1884년 미시간주 샬롯에서 태어났다.그녀가 태어난 직후, 클라크의 가족은 워싱턴의 시애틀로 이사했는데,[5] 클라크는 1967년 그녀가 사망할 때까지 그녀의 삶의 대부분을 태평양 북서부에서 보냈다.
로이스 클락은 1898년부터 1903년까지 시애틀 공립학교 시스템을 통해 교육받음으로써 그녀의 학문적 경력을 시작했다.그 후, T.C.의 세심한 지도 아래.유명한 바이러지스트인 프라이는 1907년 워싱턴 대학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1907년 클라크는 A에게 배우고 공부하기 위해 예일 대학 대학원생이 되었다.W. 에반스, 과학계에서 잘 알려진 헵타이어학자.클라크는 예일대에 1년 동안 머물렀고, 그 후 미네소타 대학의 식물학과 학생이자 조교가 되었다.Podo-phyllum peltatum의 발생학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그녀의 논문을 완성하면,[5] Clark는 1919년 미네소타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을 것이다.
경력 및 연구
가르치다
클라크는 미국의 여러 대학에서 교육자로서 짧지만 광범위한 경력을 쌓았습니다.1919년과 1920년 사이에 클라크는 교사 생활을 시작하기 위해 알래스카에서 잠시 가르쳤다.그녀는 나중에 같은 학년에 미주리주 컬럼비아에 있는 스티븐스 칼리지의 과학 부문장직을 겸임했다.1923년부터 1928년 사이에 아이다호 대학에서 클라크는 식물학 조교수직을 맡으면서 헵타케아에 대한 그녀 자신의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기 시작했습니다.클라크는 또한 이 [5]기간 동안 워싱턴 대학에서 식물학 여름 수업을 가르쳤다.
조사.
클라크는 인생의 후반기를 소비한 헵타케아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 경력을 통해 태평양 북서부 및 그 너머에서 문서화되어 있지 않은 수많은 식물, 이끼, 그리고 간엽류를 분류하고 분류할 수 있었습니다.그녀의 첫 번째 출판물은 T.C.와 공동저자였다. 1928년 '북서쪽의 리버워츠'는 태평양 북서부의 다양한 리버워트에 대해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그들의 책에 상세하고 라벨을 붙였습니다.프라이와 함께 한 그녀의 연구는 1933년부터 1962년까지 그녀의 삶의 대부분을 소비했던 워싱턴 대학의 허브리움에서 식물을 식별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졌다.하바리움에서, 클라크는 워싱턴 대학의 많은 헵타케아과를 확인했는데, 그 중 몇 개는 그녀가 직접 야생에서 수집하기도 했다.클라크는 또한 식물학 분야의 과학 논문 35편을 그녀 스스로 발표했고 Frye와 Ruth Sivihla를 [5]따라 60편의 유사한 논문을 공동 발표했다.그녀는 또한 1937년에서 [5]1947년 사이에 Frye와 함께 완성하는 것을 도운 북미의 Hepaticae의 5부작 시리즈도 그녀의 가장 주목할 만한 공헌이었다.
아투 섬에서 온 히파티카에
워싱턴 대학에서 프라이와 함께 일하면서 클라크는 로버트 M에 의해 수집된 지의류, 혈관 식물, 브라이오피스를 식별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1945년 알류샨 열도의 서쪽 지역인 아투 섬에서 하디.아투 섬의 이 식물들은 1945년 가을 북미의 헵타케아에 기록되었고 1946년 [6]6월 브라이솔로지스트에 다시 발표되었습니다.
알래스카산 헵타케과
클라크와 프라이는 또한 워싱턴 대학에서 확인한 알래스카에서 헵타케아 표본을 받았고 1942년 6월 브라이올로지스트에 그들의 발견에 대한 기사를 실었다.수집된 표본의 대부분은 차량이 다니는 도로에서 멀리 떨어져 있고 소금물 공급원으로부터 약 5마일 떨어진 곳에 있었다.그들은 또한 알래스카의 생물학적 물질을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는데, 그 이유는 자신들의 의견으로는, 더 큰 식물과 더 작은 식물을 분리하지 않았고, "대부분의 수집은 간나무와 이끼를 구별하지 못하고,[7] 주로 이끼류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에 의해 이루어졌기 때문입니다."Clark와 Frye는 계속해서 이 샘플들이 충분히 주의 깊게 수집되지 않았다는 점을 증명하기 위해 헵타케의 좋은 수집가에게 필요한 품질들을 기술했다.그들은 또한 그들의 기사에서 알래스카가 매우 크기 때문에,[7] 발견되고 분류되어야 할 더 많은 헵타케과가 있다고 진술한다.
프룰라니아 아트라타
1945년 12월, 클라크는 루스 다웰 스비흘라와 함께 브라이솔로지스트에 프룰라니아 아트라를 문서화하는 기사를 썼다.워싱턴 대학에서 수행된 그들의 연구는 몇몇 남미 국가들과 멕시코에서 [8]온 프룰라니아속의 이 특정한 종을 세밀하게 상세하게 그리고 분류했다.프룰라니아의 분류에 관한 클라크의 연구는 과학계 [5]사이에서 매우 존경과 존경을 받았다.
제휴
시그마 11세와 미국 브라이올로지 학회는 로이스 클락을 회원으로 내세웠다.클라크는 또한 미국 [3]과학 진흥 협회의 펠로우였다.
작동하다
- Clark, Lois (1909). Some noteworthy Hepaticae from the state of Washington. OCLC 248009276.
- Clark, Lois (1953). Some Hepaticae from the Galapagos, Cocos, and other Pacific coast islands. The Academy. OCLC 4636409.
- Clark, Lois; Frye, Theodore C (1976). The liverworts of the Northwest. OCLC 276869215.
- Clark, Lois (1919). The Embryogeny of podophyllum peltatum ... by Lois Clark ... 1919. I. OCLC 459280956.
레퍼런스
- ^ Stafleu, Frans Antonie; Mennega, Erik A. (1992). Taxonomic Literature: A Selective Guide to Botanical Publications and Collections with Dates, Commentaries and Types. Supplement. Koeltz Scientific Books. ISBN 9783874293952. Retrieved 16 September 2018.
- ^ Ogilvie, Marilyn Bailey; Joy Harvey (2000). The Biographical Dictionary of Women in Science: Pioneering Lives from Ancient Times to the Mid-20th Century. Routledge. pp. 262–263. ISBN 9780415920384. Retrieved 16 September 2018.
- ^ a b Howard, Grace E. (1968). "Lois Clark (1884-1967)". The Bryologist. 71 (2): 140–141. doi:10.1639/0007-2745(1968)71[140:LC]2.0.CO;2. JSTOR 3240680.
- ^ 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 L.Clark.
- ^ a b c d e f Howard, Grace E. (1968). "Lois Clark (1884-1967)". The Bryologist. 71 (2): 140–141. ISSN 0007-2745.
- ^ Frye, T. C.; Clark, Lois (1946). "Attu Island Bryophytes Collected by Hardy". The Bryologist. 49 (2): 59–65. doi:10.2307/3239693. ISSN 0007-2745.
- ^ a b Clark, Lois; Frye, T. C. (1942). "Some Hepaticae of Alaska". The Bryologist. 45 (3): 63–71. doi:10.2307/3239570. ISSN 0007-2745.
- ^ Clark, Lois; Svihla, Ruth Dowell (1945). "Frullania atrata". The Bryologist. 48 (4): 187–189. doi:10.2307/3238960. ISSN 0007-2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