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거리 달리기

Long-distance running
스위스에서 열리는 장거리 경주에서 아마추어 주자들의 모임.
버튼 홈스의 사진 '1896년 아테네 올림픽 마라톤 훈련 중인 선수 3명'
파보 누르미는 1924년 파리에서 열린 하계 올림픽에서 5,000미터 장거리 [1]달리기에서 금메달을 땄다.

장거리 달리기 또는 내구성 달리기는 최소 3km(1.9mi)의 거리에 걸쳐 연속적으로 달리는 형태이다.생리적으로, 그것은 본질적으로 유산소성이며 [2]정신력뿐만 아니라 스태미나를 필요로 한다.

포유류 중에서 인간은 상당한 거리를 달리기에 잘 적응되어 있으며, 특히 영장류 사이에서 그러하다.지구력 러닝 가설은 넓은 지역을 여행하는 것이 청소의 기회를 향상시키고 지속성 사냥을 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호모속의 달리기 지구력이 생겨났다는 것을 암시한다.곰, , 늑대, 하이에나[3][4]같은 제한수의 육식동물과 유제류에서도 지구력 달리기의 능력이 발견된다.

현대 인간 사회에서 장거리 달리기는 여러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 사람들은 신체 운동, 레크리에이션, 여행, 경제적 이유 또는 문화적 이유로 장거리 달리기에 참여할 수 있다.장거리 달리기는 또한 심혈관 [5]건강을 증진시키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달리기는 근육과 심장을 더 효율적으로 [6]작동하도록 자극하는 효소와 호르몬의 활동을 증가시킴으로써 유산소 운동량을 향상시킨다.지구력 달리기는 종종 신체 군사 훈련의 구성요소이며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하다.산업화 이전 시대에는 발 배달원들이 멀리 떨어진 곳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달려갔지만, 전문적인 달리기는 스포츠 분야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된다.전통이나 의식의 한 형태로서 장거리 달리기는 호피족과 타라후마라족 사이에서 알려져 있다.[7][8]거리 달리기는 또한 가족,[9] 친구, 동료들에게 유대감을 주는 운동으로 작용할 수 있고 심지어 국가 [10]건설과도 관련이 있다.장거리 달리기의 사회적 요소는 성능 [11]향상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육상 경기에서 장거리 이벤트는 3km(1.9mi) 이상의 레이스로 정의된다.가장 일반적인 세 가지 유형은 트랙 러닝, 로드 러닝 및 크로스 컨트리 러닝이며, 각각 전천후 트랙, 도로 및 자연 지형이라는 지형별로 정의됩니다.일반적인 장거리 트랙 레이스는 3000m(1.87마일)에서 10,000m(6.2마일)까지이며, 크로스 컨트리 레이스는 보통 5~12km(3~7µ마일)를 주행하는 반면, 로드 레이스는 100km(62mi) 이상으로 상당히 길어질 수 있습니다.미국의 대학 크로스컨트리 경주에서는 남자 8000m,[12] 여자 6000m를 달리기도 한다.하계 올림픽에는 4개의 장거리 달리기 종목이 있다: 3000미터 장애물 경주 (장벽과 물을 뛰어넘는 것도 포함), 5000미터, 10,000미터 그리고 마라톤 (42.195킬로미터, 또는 26마일과 385야드).1980년대 후반부터 케냐인, 모로코인, 에티오피아인이 주요 국제 장거리 [13]대회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이들 국가의 높은 고도는 이러한 달리기 선수들이 더 많은 성공을 거두도록 돕는 것으로 입증되었다.지구력 훈련과 결합된 높은 고도는 동맥을 통한 산소 공급을 증가시키면서 적혈구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동아프리카에서 성공한 주자들의 대부분은 그레이트 리프트 [14]밸리를 따라 달리는 세 개의 산악 지역 출신이다.

역사

선사시대 달리기

헌팅

현대 수렵 채집인 공동체의 인류학적 관찰은 칼라하리 [15]산족, 아메리카 인디언,[16][17] 호주 원주민 사이의 역사적인 사냥 방법으로서 장거리 달리기를 설명했습니다.이 방법에서, 사냥꾼은 한 시간에서 며칠 사이에 동물이 숨을 곳이 없는 지역에서 느리고 꾸준한 속도로 달릴 것이다.뜀박질을 하는 이 동물은 몸을 식히기 위해 숨을 헐떡여야 하지만, 추격전이 진행될수록 다시 뛰기 시작해야 할 충분한 시간이 없을 것이고, 잠시 후 지치고 [18]더위로 쓰러질 것이다.150만 년 전의 초기 인류가 고기를 더 많이 먹고 식물을 덜 먹었으며 [19][20]동물에게 쫓겼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12세 소년 해골의 신체 구조가 제안되었다.

고대사

농업과 문화의 발달로 장거리 달리기는 사냥 외에도 종교적 의식, 군사적, 정치적 목적의 메시지 전달, 스포츠 [18]등 더 많은 목적을 가졌다.

메신저

달리는 전령들은 초기 수메르에서 보고되었으며,[22] 달림으로써 왕국에 문서를 배포한 왕의 신하들뿐만 아니라 군인으로 라시무[21] 명명되었다.고대 그리스는 "낮의 달리기 선수"[23]라는 뜻의 헤메로드로모이라는 이름을 가진 달리는 배달원으로 유명했다.가장 유명한 달리기 배달원 중 한 명은 페이디피데스인데, 전설에 따르면 그는 기원전 490년 마라톤 전투에서 페르시아군에 대한 그리스군의 승리를 알리기 위해 마라톤에서 아테네까지 달렸다고 한다.그는 "우리가 이겼다"[24]는 메시지를 전하면서 쓰러져 죽었다.페이디피데스가 실제로 마라톤에서 아테네까지 달렸는지, 아니면 다른 도시들 사이를 달렸는지, 얼마나 멀었는지, 승리의 [26]메시지를 전달한 사람이 페이디피데스라면 42.195km(26.2마일)의 마라톤은 이 전설에 [25]근거한다.

장거리 달리기의 생리

인간은 모든 달리는 동물들 중에서 가장 좋은 거리를 달리는 동물들 중 하나로 여겨진다: 게임 동물들은 짧은 거리에서 더 빠르지만,[20] 인간들보다 지구력이 떨어진다.몸이 네 발로 걷거나 나무에 오르기에 적합한 다른 영장류와 달리, 인간의 몸은 약 200만 년에서 [27]300만 년 전에 직립 보행과 달리기로 진화했다.인체는 다음 속성을 통해 장거리 달리기를 견딜 수 있습니다.

  1. 뼈와 근육 구조: 인간을 포함한 이족 보행 포유동물에서 질량의 중심이 뒷다리나 다리 앞에 있는 네발 포유동물과 달리, 질량의 중심은 다리 바로 위에 있습니다.이것은 특히 다리와 [27]골반에서 다른 뼈와 근육의 요구로 이어집니다.
  2. 신진대사의 열 방출: 인간의 몸 표면에서 땀을 흘려 몸을 식히는 능력은 입이나 코를 통해 을 헐떡이는 것보다 많은 이점을 제공합니다.여기에는 더 큰 증발 표면과 호흡 [20]주기의 독립성이 포함됩니다.

직립 보행과 달리기의 한 가지 차이점은 이동 중의 에너지 소비입니다.걷는 동안, 인간은 [28]달리기에 필요한 에너지의 절반 정도를 사용합니다.진화생물학자들은 오랜 거리를 달리는 인간의 능력이 고기를 먹는 인간이 다른 [29]육식동물들과 경쟁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고 믿는다.지속성 사냥은 사냥꾼들이 달리기, 걷기,[30] 추적을 조합하여 먹이를 지칠 때까지 쫓는 방법입니다.인간은 체온을 낮추기 위해 땀을 흘릴 수 있지만, 그들의 네발짐승 먹이는 숨을 [31]헐떡이기 위해 질주로부터 속도를 늦출 필요가 있다.지속성 사냥은 여전히 남아프리카의 중부 칼라하리 사막에서 수렵 채집자들에 의해 행해지고 있으며 데이비드 아텐보러다큐멘터리 "The Life of Familates" (프로그램 10, "Food For Think")는 쿠두 영양이 [32]쓰러질 때까지 사냥하는 부시맨을 보여주었다.

요인들

에어로빅 용량

유산소 용량(VOMax2)은 운동을 할 때 산소를 최대한 흡수하고 섭취하는 능력이다.장거리 달리기 선수는 보통 최고 유산소 용량의 75-85%에서 성능을 발휘하는 반면, 단거리 달리기 선수는 [33]: 3 최고 용량의 100%에서 성능을 발휘합니다.

유산소 용량은 모든 조직에 도달하기 위해 폐와 폐 사이의 많은 양의 혈액을 운반하는 것에 달려 있습니다.이는 다시 높은 심박출량, 혈액 내 헤모글로빈의 충분한 수준 및 [34]혈액 분배에 최적의 혈관 시스템에 따라 달라집니다.마라톤 선수들과 같은 지구력 운동 선수들이 휴식을 [34]취할 때보다 최대 50배 더 많은 최대 운동에서 근육의 산소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골격근 내의 국소 혈류를 20배 증가시켜야 한다.

엘리트 장거리 달리기 선수들은 종종 더 큰 심장과 더 큰 유산소 용량을 달성할 수 있는 더 낮은 휴식 심박수를 가지고 있다.심장의 크기가 증가하면 더 큰 뇌졸중 볼륨을 얻을 수 있습니다.뇌졸중 부피의 동반 감소는 운동 시작 시 심박수의 초기 증가와 함께 발생합니다.심장 치수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마라토너의 유산소 용량은 제한되고 심박수는 [33]: 4–5 계속 감소합니다.

혈액이 운반할 수 있는 산소의 양은 경주 중에 증가하는 혈액[33][page needed]양과 혈액 속의 헤모글로빈의 양에 따라 달라집니다.[35]

마라톤 주자의 유산소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생리적인 요인으로는 폐확산, 미토콘드리아 효소 활성, 모세관 [33][page needed]밀도 등이 있다.

장거리 주자의 달리기 경제는 특정 속도에서 산소에 대한 정상 상태 요구 사항이며, 매우 유사한 유산소 용량을 가진 주자의 성능 차이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이는 종종 분당 체중 킬로그램당 소비되는 산소량(리터 또는 밀리리터)으로 측정됩니다(L/kg/min 또는 mL/kg/min).2016년 현재, 그 생리학적 근거는 불명확하지만, 주행의 누적 연수에 따라 달라지는 것 같았고, 장기간의 개인 연수에서는 [33]: 7 극복할 수 없는 한계에 도달했다.

젖산염 임계값

젖산염 역치에서의 장거리 러너의 속도는 그들의 성능과 강하게 관련된다.젖산염 임계값은 주로 유산소 에너지 사용과 혐기 에너지 사용 간의 교차점이며 화학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기계적 [33]: 5–6 에너지로 전환하는 신체의 능력을 나타내는 좋은 지표로 간주됩니다.대부분의 달리기 선수들에게, 에어로빅 구역은 [36]분당 약 120회의 심장 박동이 있을 때까지 시작되지 않는다.젖산염 역치 훈련은 산소를 [37]흡수하고 운반하는 심혈관계 효율을 높이는 대신 힘과 속도를 높이는 템포 운동을 포함한다.젖산염 역치까지 달리면, 당신의 몸은 젖산을 깨끗하게 하고 근육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그것을 재사용하는데 더 효율적이 될 것입니다.젖산염 임계값이 지구력 [38]성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연료

고강도 달리기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마라톤 주자가 충분한 글리코겐 저장고를 확보해야 한다.글리코겐은 골격근이나 간에서 발견될 수 있다.마라톤 시작 시 낮은 수준의 글리코겐 저장소에서, 이러한 저장소의 조기 고갈은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심지어 완주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유산소 경로를 통한 ATP 생산은 글리코겐 [33]: 56–57 고갈에 의해 더욱 제한될 수 있다.유리 지방산은 글리코겐 저장을 위한 절약 메커니즘 역할을 합니다.지구력 훈련과 함께 이러한 지방산의 인위적인 상승은 마라톤 주자가 더 오랜 시간 동안 더 높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준다.달리기 강도의 지속은 달리기 선수가 나중에 [33]: 51 글리코겐 저장을 보존할 수 있게 해주는 높은 지방산 회전율에 기인한다.

장거리 달리기 선수들은 일반적으로 그들의 훈련과 레이스 [33]: 50–55 준비에서 탄수화물 부하를 연습한다.

체온조절 및 체액손실

노심체온 유지는 마라톤 선수의 경기력과 건강에 매우 중요하다.노심체온 상승을 줄이지 못하면 온열로 이어질 수 있다.체온을 낮추기 위해서는 땀을 통해 신진대사에서 생성된 열을 몸에서 제거해야 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수분 보충이 필요하다.유체 교체는 제한적이지만 차체 내부 온도를 시원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체액 보충은 위의 비효율적인 비움으로 인해 이 강도의 운동 중에 생리적으로 어렵다.부분적인 체액 보충은 마라톤 주자의 몸을 과열시키는 것을 피할 수 있지만 [33]: 69ff 땀 증발로 인한 체액 손실과 보조를 맞추기에는 충분하지 않습니다.환경적 요인은 특히 열 [33]: 73–74 조절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건강에 미치는 영향

장거리 달리기가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대체로 긍정적이다.인체 내 다양한 기관과 시스템이 개선된다: 골밀도는 [39]높아지고 콜레스테롤은 [40]낮아진다.그러나 특정 시점을 넘어서면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일주일에 40마일 (64킬로미터) 이상을 달리는 나이든 남성 달리기 선수(45-55)는 여전히 정상 [41]범위에 있지만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감소한다.마라톤을 하는 것은 남성들의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50% 낮추고,[42] 24시간 동안 코티솔 수치를 두 배 이상 증가시킨다.낮은 테스토스테론은 신체적으로 스포츠에 적응하는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는 과도한 근육이 낮은 테스토스테론을 통해 배출되어 더 효율적인 주자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베테랑, 평생 지구력 운동 선수들은 대조군 그룹보다 심장 흉터가 더 많은 것으로 밝혀졌지만,[43] 원인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관계를 확실히 확립하기 위해 복제 연구와 더 큰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일부 연구에 따르면 일주일에 20마일(32km) 이상 달리기는 [44]비주행자보다 모든 원인 사망률에 대한 위험이 낮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운동량의 [45]증가에 대해 더 긴 수명을 보여주는 대규모 연구와 상충된다.

신발 삽입물의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었다.메모리 폼과 유사한 신발 삽입물은 편안할 수 있지만,[46] 장기적으로 발 근육을 약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미니멀리즘 [48]디자인의 경우 특별한 [47]기능이 있거나 기능이 없는 러닝화는 부상을 예방하지 못합니다.오히려 편안한 신발과 표준 러닝 스타일이 더 [49]안전합니다.

스포츠에서

파리에서 열린 2011 그랑프리 드 트라이애슬론 대회 10km 구간에서 남자 선수들이 뛰고 있다.

많은 스포츠 활동은 특히 축구와 럭비 리그와 같은 구기 스포츠에서 장시간 동안 상당한 수준의 달리기를 특징으로 합니다.하지만 지속적인 지구력은 레이싱 스포츠에서만 볼 수 있다.형태와 계주 형태도 존재하지만, 대부분은 개인 스포츠이다.

가장 유명한 장거리 달리기 스포츠는 엄격하게 정의된 코스에서 달리기 경기가 열리고 가장 빨리 완주한 선수가 승리하는 육상 종목으로 분류된다.가장 중요한 유형은 장거리 트랙 달리기, 도로 달리기, 크로스컨트리 달리기입니다.육상 경기와 도로 경주 모두 일반적으로 기록이 있는 반면, 크로스 컨트리 경기는 항상 기록이 있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순위만 중요하다.[50] 러닝, 트레일 러닝, 마운틴 러닝, 타워 러닝과 같은 덜 인기 있는 다른 변형은 [51][52]코스의 일부로 거리에 대한 도전과 상당한 경사 또는 표고 변화를 결합합니다.

멀티스포츠 레이스에는 내구 달리기가 자주 포함됩니다.국제트라이애슬론연맹에 의해 정의된 철인 3종 경기경주 [53]유형에 따라 5km(3.1마일)에서 마라톤 거리(42.195km(26마일, 385야드)까지 주행할 수 있다.관련 스포츠인 2종 경기는 사이클링과 장거리 [54]달리기의 조합이다.이전 버전의 근대 5종 경기는 3, 4km(1.9~2.5mi)의 주행을 포함했지만 2008년 공식 규정이 변경됨에 따라 이제 달리기 구간이 각각 1km(0.6mi)[55]의 세 개의 개별 구간으로 나뉘게 되었다.

규칙과 지형에 따라, 발 방향 지시와 부정 행위와 같은 항해 스포츠는 [56]경기 내에서 내구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다양한 종류의 어드벤처 레이싱은 또한 [57]이러한 방식으로 항해 기술과 지구력을 결합할 수 있습니다.

달리기 대회

트랙 실행

2012년 하계 올림픽 남자 10,000m 결승에서 커브를 도는 주자들.

장거리 트랙 달리기 이벤트의 역사는 그것이 열리는 육상 경기장과 연결된다.타원형 회로는 선수들이 좁은 공간에서 장거리 여행을 할 수 있게 해줍니다.초기 트랙은 보통 평평한 땅 위에 있거나 단순히 잔디로 표시된 영역이었다.달리기 트랙의 스타일은 20세기 동안 정교해졌다: 타원형 달리기 트랙은 400m 거리로 표준화되었고, 1960년대 중반 이후 아스팔트와 고무의 합성 전천후 달리기 트랙으로 대체되었다.1912년 스톡홀름 올림픽이 되어서야 5000m와 10,000m표준 장거리 트랙 종목이 도입되었다.

  • 3000미터 장애물 경주는 달리기뿐만 아니라 장벽과 물웅덩이를 뛰어넘는 경기입니다.허들 종목으로 여겨질 수 있지만 장거리 달리기 종목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장애물은 남성이 914mm(36.0인치), 여성이 762mm(30.0인치)다.
    • 남자 세계 기록은 2004년 9월 3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수립된 카타르의 사이프 사에드 샤힌이 세운 7분 53초 63이다.
    • 여자 세계 기록은 2018년 7월 20일 모나코에서 세워진 케냐의 베아트리체 젭코크가 세운 8분 44.32초이다.
  • 5000m는 전술과 뛰어난 에어로빅 컨디셔닝이 필요한 최고의 종목이다.이러한 이벤트의 훈련은 일주일에 총 60~200km(37~124마일)로 구성될 수 있지만, 훈련 요법은 크게 다릅니다.5000은 종종 초보 주자들에게 인기 있는 엔트리 레벨 레이스입니다.
  • 10,000m는 가장 긴 표준 트랙 경기이다.이런 레이스를 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로드 레이스나 크로스 컨트리 달리기 대회에도 참가합니다.
  • 1시간 달리기는 세계 기록을 쫓는 것 외에는 거의 경합되지 않는 지구력 경주다.
  • 20,000m는 또한 거의 경합되지 않으며, 20,000m의 대부분의 세계 기록은 1시간 경주 중에 수립되었다.

로드 러닝

2009년 요코하마 마라톤의 폐쇄도로를 달리는 여자 선수.

장거리 도로 달리기는 주로 포장 도로타맥 도로 코스에서 진행되지만, 주요 이벤트는 주경기장 트랙에서 끝나는 경우가 많다.일반적인 레크리에이션 스포츠일 뿐만 아니라, 스포츠의 엘리트 레벨, 특히 마라톤 경주는 육상 경기의 가장 인기 있는 측면 중 하나이다.도로경주는 사실상 모든 거리가 가능하지만 가장 흔하고 잘 알려진 종목은 마라톤, 하프 마라톤, 10km 달리기이다.

도로 달리기는 18세기 경 귀족의 마차와 함께 달렸고, 주인을 위해 먼 거리에서 심부름을 했던 하인들의 활동에서 그 뿌리를 찾는다.도보경주는 승자를 가리기 위해 다른 귀족과 그들의 하인을 겨루는 귀족들 사이의 내기에서 발전했다.하인들이 특별히 운동 능력을 바탕으로 고용되면서 스포츠는 전문화되었고 도박 경기를 위한 훈련에 그들의 삶을 바치기 시작했다.19세기 후반의 아마추어 스포츠 운동은 전문적인 도박 모델에 기초한 경쟁을 경시했다.1896년 하계 올림픽은 근대 마라톤이 탄생하면서 보스턴 마라톤(1997년 처음 개최)과 1940년대 창설된 비와호 마라톤, 후쿠오카 마라톤 등 연례 공공행사를 통해 도로 달리기의 성장으로 이어졌다.1970년대 미국의 달리기 붐은 로드 달리기를 일반적인 취미로 만들었고 엘리트 [58]층에서 로드 달리기의 인기를 높였다.

마라톤은 IAAF 세계육상선수권대회하계올림픽에서 열리는 유일한 도로주행대회이지만 2년마다 열리는 세계하프마라톤선수권대회도 있다.마라톤은 또한 IPC 세계육상선수권대회하계 패럴림픽에서 열리는 유일한 로드 러닝 경기이기도 하다.세계마라톤메이저 시리즈베를린, 보스턴, 시카고, 런던, 도쿄, 뉴욕시엘리트급 6개 마라톤 대회를 포함한다.도쿄 마라톤은 가장 최근에 세계 마라톤 메이저에 추가되었다.[59]

일본에서 시작된 역전대회는 마라톤의 계주 변주곡으로 전형적인 개인 스포츠인 도로 달리기와는 대조적이다.

크로스컨트리 달리기

크로스컨트리 달리기는 잔디, 삼림지, 이나 산 의 노천 코스에서 경기가 열리기 때문에 육상 경기에서 가장 자연스러운 형태의 장거리 달리기다.트랙과 도로 경주의 비교적 평평한 코스와는 대조적으로 크로스 컨트리는 보통 진흙 구간, 통나무, 흙더미와 같은 장애물을 포함합니다.이러한 요인의 결과로, 날씨는 경주 조건에 필수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크로스컨트리는 개인전이자 단체전이기 때문에 주자는 개인전이고 팀전에는 득점방식을 사용한다.경기는 보통 4km(2.5mi) 이상의 레이스로 가을과 겨울에 열린다.크로스컨트리의 가장 성공한 선수들은 장거리 육상 경기와 도로 경기에도 자주 출전한다.

2012년 유럽 크로스컨트리 선수권 대회 눈 위를 달리는 여자

이 스포츠의 역사는 종이 추적 게임, 즉 토끼와 사냥개들과 연결되어 있는데, 이 게임에서 달리기 선수들은 종이의 흔적을 남긴 선두 주자를 쫓기 위해 먼 거리를 이동하곤 했다.1838년 영국에서 열린 크릭 런은 조직적인 크로스 컨트리 경기의 첫 번째 기록이었다.이 스포츠는 19세기 영국, 그 당시 미국 학교에서 인기를 얻었고 [60]1903년 최초의 국제 크로스 컨트리 선수권 대회로 절정에 달했다.매년 열리는 IAAF 세계 크로스컨트리 선수권 대회는 1973년에 시작되었고, 이것은 이 스포츠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경기로 남아있다.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오세아니아, 북미, 남미에서 열리는 대륙간 크로스컨트리 대회가 많이 열린다.이 스포츠는 특히 영국과 미국에서 학업 수준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프로 수준에서, 가장 중요한 대회는 IAAF 크로스 컨트리 허가 회의의 기치 아래 있습니다.

크로스컨트리 경기는 1912년부터 1924년까지 육상 프로그램에 포함되었던 올림픽에서는 더 이상 개최되지 않지만, 1912년 하계 올림픽 이후 근대 5종 경기 중 하나로 개최되고 있다.

코스추가적인 도전으로 상당한 오르막 및/또는 내리막 구간을 포함하는 전통적인 크로스 컨트리의 변형으로 간주할 수 있다.

어드벤처 러닝

어드벤처 러닝이라는 용어는 느슨하게 정의되어 있으며 주행 표면에 관계없이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모든 형태의 장거리 달리기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여기에는 강 건너기, 스크램블링, 눈, 극도의 고온 또는 저온, 고도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그것은 경쟁적인 형태와 비경쟁적인 형태를 모두 가지고 있으며, 후자는 개인의 레크리에이션이나 사회적 경험을 위한 것이다.그 결과, 코스는 경치 좋은 장소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고, 참가자에게 성취감을 줄 수 있는 장애물이 특징입니다.그것은 모험 [61][62]경주의 달리기 구간과 유사하다.

초장거리: 장시간의 이벤트와 성과

장거리 달리기를 위한 많은 이벤트, 기록 및 업적이 육상 경기와 관계 없이 존재한다.여기에는 멀티데이 레이스, 울트라 마라톤, 극한 조건에서의 장거리 레이스 또는 수백 또는 수천 마일 측정 레이스가 포함됩니다.

그 밖에도 대륙 횡단이나 세계 일주(주자 목록 참조)와 같이 독특한 성격의 달리기 목표를 달성한 개인에게는 정기적인 이벤트가 아닌 기록과 독립적 성과가 존재합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주 및 참고 자료

  1. ^ 50번의 놀라운 올림픽 순간 No31: Pavo Nurmi 1924년 5,000m 우승
  2. ^ Grine, Frederick E. et al (2006년 10월).2013년 11월 1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최초의 인간 - 호모속기원과 초기 진화.스토니브룩 대학교.2013년 4월 11일 취득.
  3. ^ Stipp, David (4 June 2012). "All Men Can't Jump". Slate.
  4. ^ Parker-pope, Tara (26 October 2009). "The Human Body Is Built for Distance". The New York Times.
  5. ^ Herreman, Kari (12 September 2013). "What Are the Health Benefits of Running Half Marathons?". runnersgoal.com. Retrieved 1 March 2017.
  6. ^ Weil MEd, CDE, Richard (14 May 2015). "Running: Health and Disease Prevention - What are the Fitness Benefits of Running?". medicinenet com. Retrieved 1 March 2017.
  7. ^ Hopi의 역사와 문화에서 달리기.호피 문화 보존 사무소/북부 애리조나 대학.2013년 4월 11일 취득.
  8. ^ 로너건, J.E.타라후마라 의식에서의 노예의 생태 테스귀나다.국제 제스처 연구 학회2013년 4월 11일 취득.
  9. ^ 러닝 라이프에서 가족을 빼놓지 않는 방법.여성 달리기(2016년 3월 9일).2017년 2월 19일 취득.
  10. ^ 217.1km 달리기가 어떻게 일본의 국민적 유대 의식이 되었는가. 스테이츠맨(2016년 1월 18일).2017년 2월 19일 취득.
  11. ^ 사회적 유대 및 연습: 상호 관계에 대한 증거입니다.PlosOne(2016년 8월 28일).2017년 2월 19일 취득.
  12. ^ "Should you think about running in college?".
  13. ^ Roth, Stephen (2011). Exercise Genomics. p. 186.
  14. ^ "Why Are Kenya And Ethiopia So Good At Long-Distance Running?". Mpora. Retrieved 22 May 2018.
  15. ^ 비예르, 젠스칼라하리.힐 앤 왕, 1960년
  16. ^ 베넷, 웬델 클락, 로버트 모리 징그."멕시코 북부의 인디언 부족인 타라후마라"(1935년).
  17. ^ 솔라스, W. J. 1924년고대 사냥꾼들과 그들의 현대 대표자들.뉴욕: 맥밀런
  18. ^ a b 시어스, 에드워드 셀던시대를 거슬러 올라가다.맥팔랜드, 2001년
  19. ^ 워커, A.와 리키, R. (1993)나리오코톰 호모 에렉투스 스켈레톤.
  20. ^ a b c 캐리어, D.R., 카푸어, A.K., 키무라, T., 니켈스, M.K., 사트완티, 스콧, E.C., So, J.K., & Trinkaus, E. (1984년)인간의 질주와 인간 진화의 에너지 역설.현재인류학, 제25권, 제4호(1984년 8월 - 10월), 페이지 483-495.
  21. ^ 아시리아어 사전 L (시카고:동양학회), 1973년 104~108년
  22. ^ 딘 앤더슨 라몬트, 고대 수메르에서 달리는 현상' 스포츠사 저널 제22권, 제3호(1995년 가을).
  23. ^ 앤디 밀로이가 쓴 24시간 레이스의 역사.2013년 8월 13일 http://www.ultralegends.com/history-of-the-24hr-race/에서 Wayback Machine에서 2014년 3월 7일 아카이브되었습니다.
  24. ^ Hammond, N. G. L. (1968). "The Campaign and the Battle of Marathon". The Journal of Hellenic Studies. 88: 13–57. doi:10.2307/628670. JSTOR 628670.
  25. ^ Lovett, C. (1997년)올림픽 마라톤: 가장 스토리가 많은 레이스의 100주년 역사.http://www.marathonguide.com/history/olympicmarathons/prologue.cfm 에서 취득했습니다.
  26. ^ 헤메로드로모이:고대 초장거리 달리기고전세계, 제68권, 제3호(1974년 11월), 페이지 161-169.
  27. ^ a b 러브조이, C.O. (1988)인간 보행의 진화.Scientific American (0036-8733), 259(5), 82페이지.
  28. ^ Margaria, R.; Cerretelli, P.; Aghemo, P.; Sassi, G. (1963). "Energy cost of running".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8 (2): 367–370. doi:10.1152/jappl.1963.18.2.367. PMID 13932993.
  29. ^ Lieberman, D. E.; Bramble, D. M. (2007). "The evolution of marathon running: Capabilities in humans". Sports Medicine. 37 (4–5): 288–290. doi:10.2165/00007256-200737040-00004. PMID 17465590. S2CID 11286114.
  30. ^ Frey, Rodney [1] "호모 에렉투스, 집요한 사냥과 진화", 2002
  31. ^ 캐리어, 데이비드, R."인간 달리기와 인류 진화의 에너지 패러독스.현재인류학, Vol.25, § 4, 1984년 8월-10월
  32. ^ "사상을 위한 음식", BBCi, 포유류의 삶, 프로그램 10
  33. ^ a b c d e f g h i j k Zinner, Christoph; Sperlich, Billy, eds. (2016). Marathon Running: Physiology, Psychology, Nutrition and Training Aspects. Springer. ISBN 9783319297286.
  34. ^ a b Sarelius, I; Pohl, U (August 2010). "Control of muscle blood flow during exercise: local factors and integrative mechanisms". Acta Physiologica. 199 (4): 349–65. doi:10.1111/j.1748-1716.2010.02129.x. PMC 3157959. PMID 20353492.
  35. ^ Mairbäurl, Heimo (12 November 2013). "Red blood cells in sports: effects of exercise and training on oxygen supply by red blood cells". Frontiers in Physiology. 4: 332. doi:10.3389/fphys.2013.00332. PMC 3824146. PMID 24273518.
  36. ^ "Lactate Threshold: What It Is And How Do You Leverage It In Training? Competitor.com". Competitor.com. 17 March 2014. Retrieved 22 May 2018.
  37. ^ "Benefits of Lactate Threshold Training for Distance Runners". Minneapolis Running. 23 March 2015. Retrieved 22 May 2018.
  38. ^ Faude, Oliver; Kindermann, Wilfried; Meyer, Tim (2009). "Lactate threshold concepts: how valid are they?". Sports Medicine (Auckland, N.Z.). 39 (6): 469–490. doi:10.2165/00007256-200939060-00003. ISSN 0112-1642. PMID 19453206. S2CID 31839157.
  39. ^ Hagihara, Yoshinobu; Nakajima, Arata; Fukuda, Satoshi; Goto, Sumio; Iida, Haruzo; Yamazaki, Masashi (October 2009). "Running exercise for short duration increases bone mineral density of loaded long bones in young growing rats". The Tohoku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219 (2): 139–143. doi:10.1620/tjem.219.139. ISSN 1349-3329. PMID 19776531.
  40. ^ Gordon, Benjamin; Chen, Stephen; Durstine, J. Larry (July 2014). "The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on the traditional lipid profile and beyond". Current Sports Medicine Reports. 13 (4): 253–259. doi:10.1249/JSR.0000000000000073. ISSN 1537-8918. PMID 25014391. S2CID 10408945.
  41. ^ MacKelvie, K; Taunton, J; McKay, H; Khan, K (August 2000). "Bone mineral density and serum testosterone in chronically trained, high mileage 40–55 year old male runners".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34 (4): 273–278. doi:10.1136/bjsm.34.4.273. ISSN 0306-3674. PMC 1724199. PMID 10953900.
  42. ^ França, Sheyla Carla A.; Neto, Barros; Leite, Turíbio; Agresta, Marisa Cury; Lotufo, Renato Fraga M.; Kater, Claudio E. (December 2006). "Divergent responses of serum testosterone and cortisol in athlete men after a marathon race". Arquivos Brasileiros de Endocrinologia & Metabologia. 50 (6): 1082–1087. doi:10.1590/S0004-27302006000600015. ISSN 0004-2730. PMID 17221115.
  43. ^ Wilson, Mathew G.; O'Hanlon, Rory; Prasad, Sanjay; Deighan, Amanda; MacMillan, Philip; Oxborough, David; Godfrey, Richard J.; Smith, Gill; Maceira, Alicia (17 February 2011). "Diverse patterns of myocardial fibrosis in lifelong, veteran endurance athletes".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10 (6): 1622–6. doi:10.1152/japplphysiol.01280.2010. ISSN 8750-7587. PMC 3119133. PMID 21330616.
  44. ^ Design, ISITE. "OASIS". www.abstractsonline.com. Retrieved 14 June 2017.
  45. ^ Wen, Chi Pang; Wai, Jackson Pui Man; Tsai, Min Kuang; Yang, Yi Chen; Cheng, Ting Yuan David; Lee, Meng-Chih; Chan, Hui Ting; Tsao, Chwen Keng; Tsai, Shan Pou (1 October 2011). "Minimum amount of physical activity for reduced mortality and extended life expectancy: a prospective cohort study". Lancet. 378 (9798): 1244–1253. doi:10.1016/S0140-6736(11)60749-6. ISSN 1474-547X. PMID 21846575. S2CID 9538733.
  46. ^ Richard A. Lovett (9 June 2014). "A Guide to Running Shoe Inserts". Runner's World. Retrieved 14 April 2018.
  47. ^ Arnold, John. "Expensive running shoes don't prevent injuries, but comfortable ones might". The Conversation. Retrieved 14 April 2018.
  48. ^ Craig Payne (28 January 2017). "RCT of traditional running shoes vs minimalist running shoes".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45 (5): 1162–1170. doi:10.1177/0363546516682497. PMID 28129518. S2CID 25996480. Retrieved 14 April 2018.
  49. ^ "The evidence-based solution for choosing running shoes". evidencebasedliving.human.cornell.edu. Retrieved 14 April 2018.
  50. ^ 경기 규정 2012-13.IAAF 2013-04-13에 회수되었습니다
  51. ^ 60초 가이드: Fall Running Archived 2014년 8월 8일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러너즈 월드(2008년 3월 25일).2013-04-13에 취득.
  52. ^ Goodhart, Benjie (2008년 6월 3일)유일한 방법은 위로 가는 거야수호자.2013-04-13에 취득.
  53. ^ 철인 3종 경기 시작국제트라이애슬론연맹(2012년 12월 28일).2013-04-13에 취득.
  54. ^ 2013년 2월 13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Duaslon대해서.USA 트라이애슬론2013-04-13에 취득.
  55. ^ 지점, John (2008년 11월 26일)현대 5종 경기에서는 펜타가 조금 줄었다.뉴욕타임스.2013-04-13에 취득.
  56. ^ 커밍스, 제슬린(2007년 6월 29일).러너 오리엔테이션 - 개요About.com 를 참조해 주세요.2013-04-13에 취득.
  57. ^ 어드벤처 레이싱 베이직 2012년 9월 3일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어드벤처 스포츠 온라인.2013-04-13에 취득.
  58. ^ 로드런 소개 2012년 10월 23일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IAAF 2010년 5월 27일 회수.
  59. ^ Belson, Ken (2 November 2012). "Tokyo Will Be Added as Sixth Major Marathon".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1 March 2017 – via NYTimes.com.
  60. ^ 크로스 컨트리– 소개 2011년 2월 27일 Wayback Machine에 아카이브.IAAF 2010년 5월 27일 회수.
  61. ^ 결과. 길을 잃지 마세요.2020-02-10 회수.
  62. ^ 어드벤처 레이싱 호출에 응답합니다.도망치는 여자들2020-02-10 회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