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리뛰기

Long jump
육상 경기
멀리뛰기
2007 Military World Games long jump.jpg
2007년 밀리터리 월드 게임 멀리뛰기 선수
세계 기록
남자들 미국Mike Powell 8.95 m (29 피트 4 + 1 인치 4 인치) (1991)
여성들.소비에트 연방 갈리나 치스티야코바 7.52m (24피트 8인치) (1988)
올림픽 기록
남자들미국 Bob Beamon 8.90m (29피트 2+14인치) (1968년)
여성들.미국 재키 조이너 커시 7.40m (24피트 3+14인치) (1988)
세계 선수권 대회 기록
남자들미국 Mike Powell 8.95 m (29 ft 4+14 인치) (1991)
여성들.미국 재키 조이너 커시 7.36m (24피트 1+34인치) (1987년)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기록
남자들쿠바 이반 페드로소 8.62m (28피트 3+14인치) (1999년)
여성들.미국 Brittney Reese 7.23m (23피트 8+12인치) (2012년)
2015년 제28회 하계 유니버시아드 여자 멀리뛰기 결승

멀리뛰기는 선수들이 도약 지점에서 최대한 멀리 도약하기 위해 속도, 힘, 민첩성을 결합하는 육상 경기이다.세단뛰기와 함께, 단체로 거리 점프를 측정하는 두 이벤트를 "수평 점프"라고 한다.이 대회는 고대 올림픽 게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1896년 첫 올림픽 이후 남자에게는 현대 올림픽, 1948년부터 여자에게는 현대 올림픽 종목이다.

규칙.

풍향 표시기 및 런업 트랙을 따라 풍속(여기서 +2.6m/s)을 측정하는 장치

엘리트 레벨에서 경쟁자들은 활주로(일반적으로 러닝 트랙, 크럼 고무 또는 가황 고무코팅전천후 트랙으로 알려져 있음)를 뛰어내려 활주로와 같은 높이로 만들어진 20cm 또는 8cm 크기의 나무 또는 합성 보드에서 가능한 멀리 떨어진 곳에 있는 부드러운 습기가 찬 모래로 채워진 구덩이로 뛰어든다.선수가 파울 라인을 지나 발의 어느 한 부분으로 도약을 시작할 경우, 점프는 파울로 선언되고 거리는 기록되지 않는다.이 현상을 검출하기 위해 기판 바로 뒤에 플라스틱 층을 배치한다.심판과 유사한 임원도 점프를 보고 결정한다.선수는 파울 라인 뒤에서 점프를 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측정된 거리는 항상 파울 라인에 수직이며, 신체 부위나 유니폼에 의해 발생한 모래의 가장 가까운 파단까지 수직이 된다.따라서 파울 라인에 최대한 접근하는 것이 선수에게 가장 유리하다.선수들은 정확한 점프를 돕기 위해 활주로 측면을 따라 두 개의 표시를 할 수 있다.소규모 대회 및 시설에서는 플라스틱이 존재하지 않거나 활주로가 다른 표면이거나 점프 선수가 활주로에 도장 또는 테이프가 부착된 표시에서 점프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소규모 회의에서는 시도 횟수도 4회 또는 3회로 제한될 수 있습니다.

각 선수는 정해진 시도 횟수를 갖는다.이는 보통 3번의 트라이얼로, 3번의 추가 점프는 상위 8번 또는 9번 선수에게 주어진다(그 시설에서 트랙의 레인 수에 따라 다르므로 이벤트는 이벤트를 추적하는 데 동등하다).모든 유효한 시도가 기록되지만 가장 좋은 점수만 결과에 반영됩니다.유효한 점프가 가장 긴 선수(트라이얼 또는 결승 라운드)는 경기가 끝날 때 우승자로 선언된다.정확히 동점일 경우, 동점 선수의 다음 최고 점프를 비교하여 순위를 결정한다.며칠간 열리는 대규모 엘리트 경기(올림픽이나 세계선수권대회 등)에서는 최소 12명의 결승 진출자를 선발하기 위한 예선이 치러진다.동점과 자동 예선 거리가 잠재적인 요인이다.결승에서는 시범 점프 세트가 열리고, 상위 8명의 선수가 결승전에 진출한다(미국 육상 경기 규정과 규정은 [1]185번 규정 참조).

기록을 위해 허용되는 최대 풍력 지원은 초당 2m(4.5mph)입니다.

역사

고대 그리스의 육상 경기에서 사용된 하프텔
선수들과 전투 장면을 보여주는 검은 모양의 티레니아 암포라, 기원전 540년

멀리뛰기는 고대 그리스 올림픽 5종 경기의 유일한 점프 종목이다.올림픽에서 일어난 모든 경기들은 처음에는 전쟁을 위한 훈련의 한 형태로 작용하기로 되어 있었다.멀리뛰기는 아마도 개울이나 [2]협곡과 같은 장애물을 건너는 모습을 반영했기 때문일 것이다.고대 이벤트의 잔존 묘사를 조사한 결과, 현대 이벤트와 달리 선수들은 짧은 러닝 [2]스타트만 허용되었다고 여겨진다.선수들은 양손에 중량을 들고 다녔는데, 이것을 하프테어라고 불렀다.이 무게들은 운동량을 늘리기 위해 선수가 점프할 때 앞으로 휘둘러졌다.일반적으로 점프 선수는 전진 탄력을 높이기 위해 그의 뒤로 무게를 던질 것이라고 믿었지만, 하프테어는 점프 기간 내내 유지되었다.점프의 마지막에 그것들을 아래로 흔들면 선수의 무게 중심이 바뀌어 선수가 다리를 바깥쪽으로 뻗을 수 있게 되어 그의 거리가 늘어난다.점프 자체는 "밟힌 것"으로 만든 것이다.그것은 아마도 경기장 트랙 위에 놓여진 단순한 보드였을 것이고, 그것은 행사가 끝난 후에 제거되었다.점프 선수들은 소위 '스캄마'라고 불리는 곳에 착지할 것이다.이것이 모래로 가득 찬 구덩이였다는 생각은 잘못된 것이다.점프대의 모래는 현대의 [3]발명품이다.스캄마는 그 때를 위해 파헤쳐진 일시적 지역일 뿐 시간이 지나도 남아 있는 것은 아니었다.

멀리뛰기는 많은 기술이 필요했기 때문에 올림픽에서 열린 종목 중 가장 어려운 종목으로 여겨졌다.음악은 종종 점프 중에 연주되었고 Philostratus는 [2]선수에 의한 하프테어의 복잡한 움직임에 리듬을 제공하기 위해 때때로 파이프가 점프를 동반한다고 말한다.필로스트라투스는 "규칙은 점프를 경기 중 가장 어려운 것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플룻을 사용하면 리듬에 맞는 점퍼와 [4]할터를 사용하면 무게 면에서 이점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고대 스포츠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사람은 키오니스라고 불리는 남자였는데, 그는 기원전 656년 올림픽에서 7.05m(23피트 1+12인치)[5]의 점프를 했다.

멀리뛰기에 대한 현대 학자들의 논쟁이 있었다.몇몇은 그것을 세단뛰기로 재현하려고 시도했다.이 사진들은 그 행동에 대한 유일한 증거를 제공하므로 그것이 오늘날의 멀리뛰기와 매우 비슷했다는 것이 더 잘 받아들여진다.일부 사람들이 이것을 세단뛰기라고 부르고 싶어하는 주된 이유는 파일로스라는 [6]사람이 55개의 고대 피트의 점프를 했다고 주장하는 출처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멀리뛰기는 1896년 올림픽이 시작된 이래 현대 올림픽 경기의 일부였다.1914년 해리 이튼 스튜어트 박사는 여성들을 [7]위한 표준화된 육상 경기로 "뛰기 멀리뛰기"를 추천했습니다.하지만, 1948년이 되어서야 여자 멀리뛰기가 올림픽 육상 프로그램에 추가되었다.

기술.

파리 스타드 샤를레티에서 열린 2013 프랑스 육상 선수권대회에서 7종 경기의 일부로 멀리뛰기를 하는 선수

멀리뛰기의 주요 구성요소는 다섯 가지가 있다: 접근 달리기, 마지막 두 걸음, 도약, 공중에서의 액션, 그리고 착지.준비 또는 접근 속도 및 보드에서의 높은 도약은 성공의 기본입니다.속도가 접근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많은 멀리뛰기 선수들도 스프린트에서 성공적으로 경쟁하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이 멀리뛰기/ 스프린트 더블링의 전형적인 예는 칼 루이스의 퍼포먼스이다.

접근

접근법의 목적은 이륙 시 제어된 최대 속도로 점진적으로 가속하는 것이다.물체에 의해 이동되는 거리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속도와 각도 둘 다인 이륙 의 속도이다.엘리트 점프 선수는 보통 20도 이하의 [8]각도로 그라운드를 떠난다. 따라서 점프 선수는 점프의 속도 요소에 집중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이륙할 때 속도가 클수록 질량 중심 궤적이 길어진다.도약 속도의 중요성은 이 종목에서 단거리 선수의 성공 요인이다.

접근의 길이는 보통 운동선수에게 일관된 거리이다.초급 및 중급 레벨에서는 12~19단계, 엘리트 레벨에서는 20~22단계에 가깝습니다.접근에서 정확한 거리와 스텝 수는 점프 선수의 경험, 스프린트 기술, 컨디셔닝 레벨에 따라 달라진다.선수의 목표는 발의 어떤 부분도 선을 넘지 않고 도약대 앞에 최대한 가까이 접근하는 것이기 때문에 접근의 일관성이 중요하다.

마지막 두 단계

마지막 두 단계의 목표는 최대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몸을 이륙 준비시키는 것이다.

마지막 단계는 이전 단계보다 길고, 이륙 전 마지막 단계보다 길다.참가자는 수직 충격에 대비하기 위해 무게 중심을 낮추기 시작한다.이륙을 준비하기 위해 차체가 무게 중심을 올리기 시작했기 때문에 마지막 단계는 더 짧습니다.

마지막 두 단계는 선수가 점프에 들어가는 속도를 결정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벗다

이륙 보드

도약의 목적은 균형과 제어를 유지하면서 선수의 무게 중심을 통해 수직 임펄스를 만드는 것이다.

이 단계는 멀리뛰기의 가장 기술적인 부분 중 하나이다.점프 선수는 발뒤꿈치나 발가락에서 뛰어내리는 것이 점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발을 땅에 평평하게 놓도록 의식해야 한다.보드 힐에서 먼저 이륙하면 제동 효과가 있어 속도가 느려지고 조인트에 무리가 갑니다.발가락에서 뛰어내리면 안정성이 저하되어 다리가 좌굴되거나 점퍼 밑에서 넘어질 위험이 있습니다.또한, 선수는 발 배치에 집중하면서 적절한 신체 위치를 유지하고, 몸통을 똑바로 세우고, 엉덩이를 앞으로, 위로 움직여 보드 접촉에서 발 해제까지의 최대 거리를 확보해야 한다.

도약에는 크게 킥 스타일, 더블 암 스타일, 스프린트 도약, 파워 스프린트 또는 바운드 도약의 네 가지 스타일이 있습니다.

킥 스타일의 도약은 선수가 보드로 완전한 임펄스가 전달되기 전에 적극적으로 다리를 회전시킨 후 피트 안으로 착지하는 것이다.이것은 햄스트링에 큰 힘이 필요하다.이로 인해 점프 선수는 장거리 점프를 하게 됩니다.

양팔

양팔식 도약은 선수가 도약할 때 양팔을 수직 방향으로 움직여 작동한다.이것은 높은 고관절 높이와 큰 수직 임펄스를 만들어 냅니다.

스프린트

단거리 도약은 코칭스태프가 가장 폭넓게 지도하는 스타일이다.이것은 전형적인 싱글 암 액션으로, 풀 스트라이드의 점퍼와 비슷합니다.이것은 이륙을 통해 속도를 유지하는 효율적인 이륙 스타일이다.

파워 스프린트 또는 바운딩

파워 스프린트 도약 또는 바운딩 도약은 더 일반적인 엘리트 스타일 중 하나이다.스프린트 스타일과 매우 흡사한 몸매는 완전한 보폭을 가진 스프린터를 닮았다.하지만 한 가지 큰 차이가 있다.도약할 때 뒤로 밀리는 팔(이륙 다리 측면에 있는 팔)은 구부러진 자세를 유지하는 대신 뒤로 완전히 뻗는다.이 추가 연장은 이륙 시 충격을 증가시킨다.

"올바른" 도약 스타일은 선수마다 다르다.

공중에서의 행동과 착륙

Multi-eventerJessica들은 에니스 긴 점프를 하는 도중, 착륙을 준비하고 있다.

멀리뛰기를 위한 세 가지 주요 비행 기술이 있다: 행, 돛, 그리고 히치킥.각 기술은 이륙 후 경험하는 전진 회전과 싸우기 위한 것이지만 기본적으로는 선수의 선호에 달려 있다.일단 몸이 공수되면, 운동선수가 그들이 이동하는 방향과 결과적으로 그들이 구덩이에 착륙할 위치를 바꾸기 위해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유념하는 것이 중요하다.그러나 특정 기술이 선수의 착지에 영향을 미쳐 측정된 거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예를 들어, 선수가 발을 먼저 착지했지만 균형을 제대로 잡지 못해 뒤로 넘어지면 더 낮은 거리가 측정된다.

1970년대에, 몇몇 점프, Tuariki Delamere는 1974년 NCAA선수권 대회에서,가 올림픽 챔피언 랜디 윌리엄스의 점프에 필적을 이용해서 포함한 전방 공중제비를 사용했다.그 요동을 점픘고 그것은 공중에서 바람 저항을 감소시킨다 잠재력 때문에 톡 던지는 것은, 파워 포워드 모멘텀에 대응하고 길을 잃고 다른 기술보다 더 오래 점프를 만들 수 있어요.[9]전면 플립 점프 추후의 두려움 안전하지 않은 때문에 금지되었다.

기록.

비몬이 멕시코시티에서 8.90m 기록을 세운 모래 구덩이

남자 멀리뛰기 세계기록은 IAAF가 기록을 승인하기 시작한 이후 대부분 4명만이 보유하고 있다.1912년 IAAF가 인정한 최초의 기록인 피터 오코너의 7.61m(24피트 11+12인치) 연기는 20년(IAAF 기록으로 9년)에 불과했다.1921년 기록이 깨진 후 제시 오웬스가 미시간 앤아버에서 열린 1935년 빅텐 육상대회에서 8.13m(26피트 8인치)의 기록을 세울 까지 이 기록은 25년 이상 깨지지 않았고 1960년 랄프 보스턴이 를 때까지도 깨지지 않았다.보스턴은 이를 개선했고 이후 7년 동안 이고르 테르-오바네시안과 세 차례 기록을 교환했다.1968년 하계 올림픽에서 밥 비몬은 2292m의 고도에서 8.90m(29피트 2+1⁄4인치)[10]를 뛰었는데, 이는 거의 23년 동안 넘지 않은 기록이며, 역대 두 번째로 긴 풍속 법정 점프 기록으로 남아있다.1991년 8월 30일, 미국의 마이크 파월은 도쿄에서 열린 세계선수권에서 현재의 남자 세계기록을 수립했다.그날 비먼의 기록을 뛰어넘은 루이스와의 극적인 대결이었지만, 그의 점프는 바람에 의한 이었다(따라서 기록상으로는 합법적이지 않다).파월의 기록은 8.95m(29피트 4+14인치)로 30년 넘게 유지되고 있다.

8.95m(29피트 4+14인치)를 넘는 점프가 공식적으로 기록되었다.8.99m(29피트 5+34인치)는 1992년 세스트리에르높은 고도에서 파월(풍력 보조 +4.4)에 의해 기록되었다.이반 페드로소가 세스트리에레에서 8.96m(29피트 4+34인치)의 잠재적 세계 기록을 세웠다."[11]합법적인" 풍속 측정에도 불구하고, 비디오테이프에 한 사람이 풍속계 앞에 서서 판독을 무효로 하는 것이 드러나면서 점프는 검증되지 않았다.앞서 말한 것처럼 루이스는 파월의 최고 허용치를 넘는 바람에 기록을 깨기 직전 8.91m(29피트 2+34인치)를 뛰었다.이 점프는 올림픽이나 세계 선수권 대회, 혹은 일반 경기에서 금메달을 따지 못한 역대 최장 기록으로 남아 있다.

비록 현재 기록이 남자나 여자 멀리뛰기 세계 기록보다 더 오래 서 있지만, 여자들의 세계 기록은 더 꾸준히 향상되었다.종전 기록을 가장 오래 보유한 것은 2차 세계대전 당시 패니 블랭커스-코엔으로 10년 이상 보유했다.같은 대회에서 기록이 동점이 된 경우는 4번, 2번 갱신된 경우는 3번이다.현재의 여자 세계 기록은 1988년 6월 11일 레닌그라드에서 7.52m(24피트 8인치)를 뛴 구소련의 갈리나 치스티야코바가 보유하고 있으며, 이 기록은 현재 34년 이상 유지되고 있다.

대륙 기록

야외의

지역 남자들 여성들.
마크(m) 바람(m/s) 선수 국가 마크(m) 바람(m/s) 선수 국가
아프리카 (표준) 8.65[A] +1.3 루보 만용가 남아프리카 공화국 7.17 +1.1 에세 브룸 나이지리아
아시아 (표준) 8.48 +0.6 모하메드 알 쿠왈리디 사우디아라비아 7.01 +1.4 웨이리 야오 중국
유럽 (표준) 8.86[A] +1.9 로버트 엠미얀 소비에트 연방 7.52 WR +1.4 갈리나 치스티야코바 소비에트 연방
북중미
및 카리브해
(표준)
8.95 WR +0.3 마이크 파월 미국 7.49 +1.3 재키 조이너 커시 미국
7.49[A] +1.7
오세아니아 (표준) 8.54 +1.7 미첼 와트 호주. 7.13 +1.8 브룩 부쉬쿨 호주.
남미 (표준) 8.73 +1.2 어빙 살라디노 파나마 7.26[A] +1.8 마우리렌 마기 브라질

메모들

  • A 높은 고도에서 설정된 마크를 나타냅니다.

실내.

지역 남자들 여성들.
마크(m) 선수 국가 마크(m) 선수 국가
아프리카 (표준) 8.44 루보 만용가 남아프리카 공화국 6.97 아준와 치오마 나이지리아
아시아 (표준) 8.27 쑤슝펑 중국 6.82 양후안 중국
유럽 (표준) 8.71 세바스찬 바이엘 독일. 7.37 WR 하이케 드렉슬러 동독
북중미
및 카리브해
(표준)
8.79 WR 칼 루이스 미국 7.23 브리트니 리스 미국
오세아니아 (표준) 8.25 파브리스 라피에르 호주. 6.81 니콜 보그만 호주.
남미 (표준) 8.42 어빙 살라디노 파나마 6.89 마우리렌 마기 브라질

역대 톱 25

남성(야외)

Ath.# 퍼포먼스 # 마크. 바람(m/s) 선수 국가 날짜. 장소 참조
1 1 8.95 m (29 피트 4+1 인치) +0.3 마이크 파월 미국 1991년 8월 30일 도쿄
2 2 8.90 m (29 피트 2 + 1 인치 4 인치) +2.0 밥 비먼 미국 1968년 10월 18일 멕시코 시티
3 3 8.87m(29피트 1인치) −0.2 칼 루이스 미국 1991년 8월 30일 도쿄
4 4 8.86m(29피트 34인치) +1.9 로버트 엠미얀 소비에트 연방 1987년 5월 22일 차흐카조르
5 8.84 m (29 피트 0 인치) +1.7 루이스 #2 1991년 8월 30일 도쿄
6 8.79 m (28 피트 10 인치) +1.9 루이스 #3 1983년 6월 19일 인디애나폴리스
7 8.76 m (28 피트 8+3 인치) +1.0 루이스 #4 1982년 7월 24일 인디애나폴리스
+0.8 루이스 #5 1988년 7월 18일 인디애나폴리스
5 9 8.74 m (28 피트 8 인치) +1.4 래리 미릭스 미국 1988년 7월 18일 인디애나폴리스
8.74 m (28 피트 8 인치) +2.0 에릭 발더 미국 1994년 4월 2일 엘파소
8.74 m (28 피트 8 인치) −1.2 드와이트 필립스 미국 2009년 6월 7일 유진
8 12 8.73 m (28 피트 7+1 인치) +1.2 어빙 살라디노 파나마 2008년 5월 24일 헹겔로
13 8.72 m (28 피트 7+1 인치) −0.2 루이스 #6 1988년 9월 26일 서울
14 8.71m (28피트 6+3µ4인치) −0.4 루이스 #7 1984년 5월 13일 웨스트우드
+0.1 루이스 #8 1984년 6월 19일 로스앤젤레스
9 14 8.71m (28피트 6+3µ4인치) +1.9 이반 페드로소 쿠바 1995년 7월 18일 살라망카
17 8.70 m (28 피트 6+1 인치) +0.9 Myricks # 1989년 6월 17일 휴스턴
+0.7 파월 #2 1993년 7월 27일 살라망카
+1.6 페드로소 #2 1995년 8월 12일 고테버그
10 20 8.69 m (28 피트 6 인치) +0.5 타제이 게일 자메이카 2019년 9월 28일 도하
21 8.68 m (28 피트 5+1 인치) +1.0 루이스 #9 1992년 8월 5일 바르셀로나
+1.6 페드로소 #3 1995년 6월 17일 리스본
11 21 8.68 m (28 피트 5+1 인치) +1.7 후안 미겔 에체바리아 쿠바 2018년 6월 30일 배드 랑겐살자 [17]
24 8.67 m (28 피트 5+1 인치) +0.4 루이스 #10 1987년 9월 5일 로마
−0.7 루이스 #11 1992년 8월 6일 바르셀로나
12 8.66 m (28 피트 4 + 3 인치) +1.6 루이 차토마스 그리스 2007년 6월 2일 칼라마타
13 8.65 m (28 피트 4+1 인치) +1.3 루보 만용가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7년 4월 22일 포체프스트룸 [18]
14 8.63m (28피트 3+3µ4인치) +0.5 카림 스트리트-톰슨 미국 1994년 7월 4일 린즈
15 8.62 m (28 피트 3+1 인치) +0.7 제임스 벡포드 자메이카 1997년 4월 5일 올란도
16 8.60 m (28 피트 2 + 1 인치) +0.7 밀티아디스 텐토글루 그리스 2021년 5월 26일 칼리테아 [19]
17 8.58 m (28 피트 1 + 3 인치 4 인치 +1.8 재리온 로슨 미국 2016년 7월 3일 유진 [20]
18 8.56 m (28 피트 1 인치) +1.3 야고 라멜라 스페인 1999년 6월 24일 토리노
+0.2 알렉산드르 멘코프 러시아 2013년 8월 16일 모스크바
20 8.54 m (28 피트 0 인치) +0.9 루츠 돔브로스키 동독 1980년 7월 28일 모스크바
+1.7 미첼 와트 호주. 2011년 7월 29일 스톡홀름
22 8.53 m (27 피트 11 + 3 인치 4 인치) +1.2 제이미 제퍼슨 쿠바 1990년 5월 12일 아바나
23 8.52m(27피트 11+1µ4인치) +0.7 사반테 스트링펠로우 미국 2002년 6월 21일 팔로알토
+1.8 제프 헨더슨 미국 2015년 7월 22일 토론토
25 8.51m(27피트 11인치) +1.7 롤랜드 맥기 미국 1995년 5월 14일 상파울루
+1.7 그렉 러더퍼드 영국 2014년 4월 24일 출라 비스타

보조 마크

초속 2.0m 이상의 순풍이 부는 성능은 기록 목적으로 계산되지 않는다.아래는 바람 보조 점프 목록(8.51m 이상)이다.법적 베스트보다 뛰어난 베스트 어시스트 마크만 표시됩니다.

  • 마이크 파월은 1992년 7월 21일 이탈리아 세스트리에레에서 8.99(+4.4)를 뛰었다.
  • 후안 미겔 에체바리아는 2019년 3월 10일 쿠바 아바나에서 8.92(+3.3)를 뛰었다.
  • 루이스는 1991년 8월 30일 일본 도쿄에서 8.91(+2.9)을 뛰었다.
  • 이반 페드로소는 1992년 5월 21일 쿠바 아바나에서 8.79(+3.0)를 뛰었다.
  • 파브리스 라피에르는 2010년 4월 18일 호주 퍼스에서 8.78(+3.1)을 뛰었다.
  • 제임스 벡포드는 1995년 5월 19일 텍사스 오데사에서 8.68(+4.9)을 뛰었다.
  • 덴디 후작은 2015년 6월 25일 오리건주 유진에서 8.68(+3.7)을 뛰었다.
  • 1992년 7월 21일 이탈리아 세스트리에레에서 조 그린은 8.66(+4.0)을 뛰었다.
  • 1994년 6월 18일 테네시주 녹스빌에서 카림 스트리트-톰슨은 8.64포인트(+3.5) 뛰었다.
  • 마이크 콘리는 1986년 6월 20일 오리건주 유진에서 8.63(+3.9)을 뛰었다.
  • 제프 헨더슨은 2016년 7월 3일 오리건주 유진에서 8.59(+2.9)를 뛰었다.
  • 제이슨 그라임스는 1982년 6월 27일 노스캐롤라이나주 더럼에서 8.57(+5.2)을 뛰었다.
  • 케빈 딜워스는 2002년 4월 27일 마르티니크 포트 드 프랑스에서 8.53 (+4.9)을 뛰었다.
  • 이그니셔스 가이사는 2006년 8월 9일 모리셔스 밤부스에서 8.51포인트(+3.7) 뛰었다.

여성(야외)

Ath.# 퍼포먼스 # 마크. 바람(m/s) 선수 국가 날짜. 장소 참조
1 1 7.52m(24피트 8인치) +1.4 갈리나 치스티야코바 소비에트 연방 1988년 6월 11일 레닌그라드
2 2 7.49 m (24 피트 6+3 인치) +1.3 재키 조이너 커시 미국 1994년 5월 22일 뉴욕 시
2 7.49 m (24 피트 6+3 인치) +1.7 조이너 커시 #2 1994년 7월 31일 세스트리에르
3 4 7.48m(24피트 6+1µ4인치) +1.2 하이케 드렉슬러 동독 1988년 7월 9일 노이브란덴부르크
4 7.48m(24피트 6+1µ4인치) +0.4 드렉슬러 #2 1992년 7월 8일 로잔
6 7.45 m (24 피트 5+1 인치) +0.9 드렉슬러 #3 1986년 6월 21일 탈린
+1.1 드렉슬러 #4 1986년 7월 3일 드레스덴
+0.6 조이너 커시 #3 1987년 8월 13일 인디애나폴리스
+1.0 치스티야코바 #2 1988년 6월 11일 레닌그라드
+1.6 치스티야코바 #3 1988년 8월 12일 부다페스트
11 7.44 m (24 피트 4 + 3 인치) +2.0 드렉슬러 #5 1985년 9월 22일 베를린
4 12 7.43 m (24 피트 4+1 인치) +1.4 아니쇼아라 쿠슈미르 루마니아 1983년 6월 4일 부쿠레슈티
5 13 7.42m(24피트 4인치) +2.0 타티아나 코토바 러시아 2002년 6월 23일 앤시
14 7.40m(24피트(3+1µ4인치) +1.8 드렉슬러 #6 1984년 7월 26일 드레스덴
+0.7 드렉슬러 #7 1987년 8월 21일 포츠담
+0.9 조이너 커시 #4 1988년 9월 29일 서울
17 7.39 m (24 피트 2 + 3 인치) +0.3 드렉슬러 #8 1985년 8월 21일 취리히
6 17 7.39 m (24 피트 2 + 3 인치) +0.5 옐레나 벨레브스카야 소비에트 연방 1987년 7월 18일 브리안스크
17 7.39 m (24 피트 2 + 3 인치) 조이너 커시 #5 1988년 6월 25일 샌디에이고
20 7.37m(24피트 2인치) +1.8 드렉슬러 9호 1991년 7월 31일 세스트리에르
7 20 7.37m(24피트 2인치) 이네사 크라베츠 우크라이나 1992년 6월 13일 Kyiv
22 7.36 m (24 피트 1 + 3 인치) +0.4 조이너 커시 #6 1987년 9월 4일 로마
+1.8 벨레브스카야 #2 1988년 6월 11일 레닌그라드
+1.8 Drechsler #10 1992년 5월 28일 예나
25 7.35m(24피트 1+1µ4인치) +1.9 치스티야코바 #4 1990년 6월 20일 브라티슬라바
8 7.33m(24피트 12인치) +0.4 타티아나 레베데바 러시아 2004년 7월 31일 툴라
9 7.31 m (23 피트 11 + 3 인치 4 인치) +1.5 올레나 흐로포트노바 소비에트 연방 1985년 9월 12일 알마아타
+1.9 마리온 존스 미국 1998년 5월 31일 유진
+1.7 브리트니 리스 미국 2016년 7월 2일 유진 [22]
12 7.30m (23피트 11+14인치) −0.8 말라이카 미함보 독일. 2019년 10월 6일 도하 [23]
13 7.27m(23피트 10인치) −0.4 이리나 시마기나 러시아 2004년 7월 31일 툴라
14 7.26 m (23 피트 9 + 3 인치) +1.8 마우리렌 마기 브라질 1999년 6월 25일 보고타
15 7.24 m (23 피트 9 인치) +1.0 라리사 베레즈나 소비에트 연방 1991년 5월 25일 그라나다
16 7.21 m (23 피트 7+3 인치) +1.6 헬가 래드케 동독 1984년 7월 26일 드레스덴
+1.9 류드밀라 콜차노바 러시아 2007년 5월 27일 소치
18 7.20 m (23 피트 7+1 인치) −0.3 발리 요네스쿠 루마니아 1982년 8월 1일 부쿠레슈티
+2.0 이레나 오젠코 소비에트 연방 1986년 9월 12일 부다페스트
+0.8 옐레나 신추코바 소비에트 연방 1991년 6월 20일 부다페스트
+0.7 이리나 무샤일로바 러시아 1994년 7월 14일 상트페테르부르크
22 7.17m (23피트 6+14인치) +1.8 이리나 발류케비치 소비에트 연방 1987년 7월 18일 브리안스크
+0.6 티아나 바르톨레타 미국 2016년 8월 17일 리우데자네이루 [24]
+1.1 에세 브룸 나이지리아 2021년 5월 29일 출라 비스타 [25]
25 7.16m (23피트 5+34인치) 욜란다 첸 소비에트 연방 1988년 7월 30일 모스크바
7.16m (23피트 5+34인치) −0.1 엘바 굴본 자메이카 2004년 5월 22일 멕시코 시티
7.16m (23피트 5+34인치) +1.6 소스틴 모구에나라 독일. 2016년 5월 29일 와인하임

보조 마크

초속 2.0m 이상의 순풍이 부는 성능은 기록 목적으로 계산되지 않는다.아래는 풍력 보조 점프 목록(7.16m 이상)이다.법적 베스트보다 뛰어난 베스트 어시스트 마크만 표시됩니다.

  • 하이케 드렉슬러는 1992년 7월 21일 이탈리아 세스트리에레에서 7.63(+2.1)을 뛰었다.
  • 율리마르 로하스는 2021년 6월 13일 스페인 라 누시아에서 7.27초(+2.7) 뛰었다.
  • 타라 데이비스는 2022년 7월 9일 캘리포니아 출라 비스타에서 7.24포인트(+2.8) 뛰었다.
  • 피오나 메이는 1995년 7월 29일 이탈리아 세스트리에레에서 7.23(+4.3)을 뛰었다.
  • 아나스타시아 미로추크 이바노바는 2012년 7월 6일 벨라루스 그로드노에서 7.22(+4.3)를 뛰었다.
  • 수센 티드케는 1993년 7월 28일 이탈리아 세스트리에레에서 7.19초(+3.7)를 뛰었다.
  • 에바 무르코바는 1984년 8월 26일 체코슬로바키아 니트라에서 7.17(+3.6) 점프했다.

남성(실내)

Ath.# 퍼포먼스 # 마크. 선수 국가 날짜. 장소 참조
1 1 8.79 m (28 피트 10 인치) 칼 루이스 미국 1984년 1월 27일 뉴욕 시
2 2 8.71m (28피트 6+3µ4인치) 세바스찬 바이엘 독일. 2009년 3월 8일 토리노
3 3 8.62 m (28 피트 3+1 인치) 이반 페드로소 쿠바 1999년 3월 7일 마에바시
4 8.60 m (28 피트 2 + 1 인치) 페드로소 #2 1997년 2월 16일 리에빈
4 5 8.59 m (28 피트 2 인치) 미겔 파테 미국 2002년 3월 1일 뉴욕 시
6 8.56 m (28 피트 1 인치) 루이스 #2 1982년 1월 16일 이스트러더퍼드
5 7 8.56 m (28 피트 1 인치) 야고 라멜라 스페인 1999년 3월 7일 마에바시
8 8.55 m (28 피트 12 인치) 루이스 #3 1982년 2월 26일 뉴욕 시
루이스 #4 1984년 2월 11일 이스트러더퍼드
6 8 8.55 m (28 피트 12 인치) 밀티아디스 텐토글루 그리스 2022년 3월 18일 베오그라드 [27]
11 8.54 m (28 피트 0 인치) 루이스 #5 1983년 1월 28일 뉴욕 시
12 8.51m(27피트 11인치) 페드로소 #3 1995년 3월 11일 바르셀로나
페드로소 #4 1997년 3월 8일 파리
14 8.50m(27피트 10+12인치) 루이스 #6 1984년 2월 24일 뉴욕 시
루이스 #7 1985년 1월 25일 뉴욕 시
16 8.49m(27피트 10+1µ4인치) 루이스 #8 1981년 2월 20일 포트워스
7 16 8.49m(27피트 10+1µ4인치) 로버트 엠미얀 소비에트 연방 1987년 2월 21일 리에빈
16 8.49m(27피트 10+1µ4인치) 루이스 #9 1992년 2월 5일 스톡홀름
19 8.48 m (27 피트 9 + 3 인치 4 인치 루이스 #10 1981년 3월 13일 디트로이트
20 8.47 m (27 피트 9+1 인치) 루이스 #11 1983년 2월 18일 샌디에이고
21 8.46m(27피트 9인치) 페드로소 #5 1996년 2월 18일 리에빈
8 22 8.46m(27피트 9인치) 후안 미겔 에체바리아 쿠바 2018년 3월 2일 버밍엄
23 8.45 m (27 피트 8+1 인치) 루이스 #12 1983년 2월 27일 이스트러더퍼드
9 24 8.45 m (27 피트 8+1 인치) 주본 해리슨 미국 2021년 3월 12일 파예트빌
10 25 8.44 m (27 피트 8+1 인치) 래리 미릭스 미국 1984년 2월 24일 뉴욕 시
마이크 파월 미국 1993년 2월 5일 부다페스트
루보 만용가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8년 3월 2일 버밍엄
13 8.43 m (27 피트 7 + 3 인치 4 인치) 스타니슬라프 타라센코 러시아 1994년 1월 26일 모스크바
에릭 발더 미국 1994년 3월 11일 인디애나폴리스
15 8.42 m (27 피트 7+1 인치) 어빙 살라디노 파나마 2008년 2월 13일 아테네
덴디 후작 미국 2018년 3월 2일 버밍엄
17 8.41m(27피트 7인치) 키릴 소수노프 러시아 1997년 3월 8일 파리
조 그린 미국 1997년 3월 8일 파리
사반테 스트링펠로우 미국 2004년 2월 13일 파예트빌
20 8.40m (27피트 6+12인치) 제임스 벡포드 자메이카 1996년 2월 9일 마드리드
21 8.39m(27피트 6+1µ4인치) 재리온 로슨 미국 2014년 3월 14일 앨버커키
22 8.38 m (27 피트 5 + 3 인치 4 인치) 비탈리 슈쿨라토프 러시아 2000년 1월 30일 사마라
토비아스 몬틀러 스웨덴 2022년 3월 18일 베오그라드 [27]
24 8.37m(27피트 5+12인치 조안 리노 마르티네스 스페인 2005년 3월 6일 마드리드
25 8.36m(27피트 5인치) 이그니셔스 가이사 가나 2006년 2월 2일 스톡홀름

여성(실내)

Ath.# 퍼포먼스 # 마크. 선수 국가 날짜. 장소 참조
1 1 7.37m(24피트 2인치) 하이케 드렉슬러 동독 1988년 2월 13일 비엔나
2 7.32m(24피트 0인치) 드렉슬러 #2 1987년 2월 27일 뉴욕 시
3 7.30m (23피트 11+14인치) 드렉슬러 #3 1988년 3월 5일 부다페스트
2 3 7.30m (23피트 11+14인치) 갈리나 치스티야코바 소비에트 연방 1989년 1월 28일 리페츠크
5 7.29 m (23 피트 11 인치) 드렉슬러 #4 1986년 1월 25일 베를린
6 7.25 m (23 피트 9+1 인치) 치스티야코바 #2 1985년 2월 16일 키시네프
7 7.24 m (23 피트 9 인치) 드렉슬러 #6 1988년 2월 20일 베를린
치스티야코바 #3 1988년 3월 5일 부다페스트
3 7 7.24 m (23 피트 9 인치) 이바나 스파노비치 세르비아 2017년 3월 5일 베오그라드
10 7.23m (23피트 8+12인치) 치스티야코바 #4 1988년 2월 10일 볼고그라드
4 10 7.23m (23피트 8+12인치) 브리트니 리스 미국 2012년 3월 11일 이스탄불
12 7.22m (23피트 8+14인치) 리스 #2 2016년 3월 18일 포틀랜드
5 13 7.20 m (23 피트 7+1 인치) 라리사 베레즈나 소비에트 연방 1989년 2월 4일 고멜
14 7.19 m (23 피트 7 인치) 드렉슬러 #7 1994년 3월 6일 신델핑겐
15 7.18m (23피트 6+12인치) 드렉슬러 #8 1986년 2월 22일 마드리드
드렉슬러 9호 1991년 2월 17일 도르트문트
6 17 7.17m (23피트 6+14인치) 올레나 흐로포트노바 소비에트 연방 1985년 2월 16일 키시네프
17 7.17m (23피트 6+14인치) Drechsler #10 1986년 2월 15일 센프텐베르크
19 7.15m (23피트 5+1µ4인치) Drechsler #11 1994년 2월 13일 마에바시
20 7.13m (23피트 4+12인치) 치스티야코바 #5 1988년 2월 21일 모스크바
Drechsler #12 1987년 2월 21일 리에빈
7 20 7.13m (23피트 4+12인치) 재키 조이너 커시 미국 1994년 3월 5일 애틀랜타
23 7.12 m (23 피트 4+1 인치) 흐로포트노바 #2 1985년 3월 2일 키시네프
치스티야코바 #6 1987년 2월 14일 모스크바
Drechsler #13 1987년 2월 21일 리에빈
8 7.09 m (23 피트 3 인치) 헬가 래드케 동독 1985년 2월 24일 베를린
이네사 크라베츠 우크라이나 1992년 2월 1일 모스크바
10 7.07 m (23 피트 2 + 1 µ4 인치) 말라이카 미함보 독일. 2020년 2월 14일 베를린
11 7.05m (23피트 1+1µ2인치) 욜란다 첸 소비에트 연방 1989년 2월 4일 고멜
12 7.03m (23피트 34인치) 던 버렐 미국 2001년 3월 10일 리스본
13 7.01 m (22 피트 11 + 3 인치 4 인치) 니졸레 메드베데바 소비에트 연방 1987년 1월 25일 빌니우스
옐레나 벨레브스카야 소비에트 연방 1987년 2월 14일 모스크바
타티아나 코토바 러시아 2002년 1월 17일 옴스크
다리아 클리시나 러시아 2013년 3월 2일 고테버그
17 7.00 m (22 피트 11 + 1 인치) 류드밀라 갈키나 러시아 2001년 2월 16일 모스크바
나이데 고메스 포르투갈 2008년 3월 9일 발렌시아
19 6.99 m (22 피트 11 인치) 에바 무르코바 체코슬로바키아 1985년 3월 2일 피레우스
미렐라 둘게루 루마니아 1993년 1월 23일 바쿠
6.99 m (22 피트 11 인치) 자나이 드로치 미국 2011년 2월 27일 앨버커키
6.99 m (22 피트 11 인치) 크리스타벨 네티 캐나다 2015년 2월 19일 스톡홀름
23 6.98 m (22 피트 10 + 3 인치 4 인치) 타티아나 레베데바 러시아 2004년 3월 7일 부다페스트
스베틀라나 비류코바 러시아 2014년 1월 12일 모스크바
25 6.97m(22피트 10+14인치) 아준와 치오마 나이지리아 1997년 2월 5일 에르푸르트
로레인 우겐 영국 2017년 3월 5일 베오그라드

올림픽 메달리스트

남자들

게임. 골드 실버 브론즈
1896년 아테네
세부 사항
엘러리 클라크
미국
로버트 개럿
미국
제임스 코널리
미국
1900년 파리
세부 사항
앨빈 크렌즐레인
미국
마이어 프린스타인
미국
패트릭 리히
영국
1904년 세인트루이
세부 사항
마이어 프린스타인
미국
대니얼 프랭크
미국
로버트 스탱글랜드
미국
1908년 런던
세부 사항
프랭크 아이언스
미국
대니얼 켈리
미국
캘빈 브리커
캐나다
1912년 스톡홀름
세부 사항
앨버트 구터슨
미국
캘빈 브리커
캐나다
게오르크 오베르그
스웨덴
1920 앤트워프
세부 사항
윌리엄 피터슨
스웨덴
칼 존슨
미국
에릭 아브라함슨
스웨덴
1924년 파리
세부 사항
드하트 허바드
미국
에드워드 구르딘
미국
스베레 한센
노르웨이
1928년 암스테르담
세부 사항
에드 햄
미국
실비오 카토르
아이티
알 베이츠
미국
1932년 로스앤젤레스
세부 사항
에드 고든
미국
램버트 레드
미국
주헤이난부
일본.
1936년 베를린
세부 사항
제시 오웬스
미국
루즈롱
독일.
타지마 나오토
일본.
1948년 런던
세부 사항
윌리 스틸
미국
빌 브루스
호주.
허브 더글러스
미국
1952년 헬싱키
세부 사항
제롬 비플
미국
메레디스 구르딘
미국
외돈 뵐데시
헝가리
1956년 멜버른
세부 사항
그레고리 벨
미국
존 베넷
미국
조르마 발카마
핀란드
1960년 로마
세부 사항
랄프 보스턴
미국
보 로버슨
미국
이고르테르오바네시안
소비에트 연방
1964년 도쿄
세부 사항
린 데이비스
영국
랄프 보스턴
미국
이고르테르오바네시안
소비에트 연방
1968년 멕시코시티
세부 사항
밥 비먼
미국
클라우스 비어
동독
랄프 보스턴
미국
1972년 뮌헨
세부 사항
랜디 윌리엄스
미국
한스 바움가르트너
서독
아니 로빈슨
미국
1976년 몬트리올
세부 사항
아니 로빈슨
미국
랜디 윌리엄스
미국
프랑크 바르텐베르크
동독
1980년 모스크바
세부 사항
루츠 돔브로스키
동독
프랭크 파스첵
동독
발레리 피들루즈니
소비에트 연방
1984년 로스앤젤레스
세부 사항
칼 루이스
미국
게리 허니
호주.
조반니 에반젤리스티
이탈리아
1988년 서울
세부 사항
칼 루이스
미국
마이크 파월
미국
래리 미릭스
미국
1992년 바르셀로나
세부 사항
칼 루이스
미국
마이크 파월
미국
조 그린
미국
1996년 애틀랜타
세부 사항
칼 루이스
미국
제임스 벡포드
자메이카
조 그린
미국
2000년 시드니
세부 사항
이반 페드로소
쿠바
자이 타우리마
호주.
로만 슈렌코
우크라이나
2004년 아테네
세부 사항
드와이트 필립스
미국
존 모피트
미국
조안 리노 마르티네스
스페인
2008년 베이징
세부 사항
어빙 살라디노
파나마
고드프리 코초 모코에나
남아프리카 공화국
이브라힘 카메조
쿠바
2012년 런던
세부 사항
그렉 러더퍼드
영국
미첼 와트
호주.
윌 클레이
미국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세부 사항
제프 헨더슨
미국
루보 만용가
남아프리카 공화국
그렉 러더퍼드
영국
2020년 도쿄
세부 사항
밀티아디스 텐토글루
그리스
후안 미겔 에체바리아
쿠바
마이켈 마소
쿠바

메달표

순위국가골드실버브론즈
1 미국 (미국)22151047
2 영국 (GBR)2024
3 동독 (GDR)1214
4 쿠바 (CUB)1124
5 스웨덴 (SWE)1023
6 그리스 (GRE)1001
파나마 (PAN)1001
8 호주. (AUS)0404
9 독일. (GER)0202
남아프리카 공화국 (RSA)0202
11 캐나다 (캔)0112
12 아이티 (HAI)0101
자메이카 (막힘)0101
14 소비에트 연방 (URS)0033
15 일본. (일본어)0022
16 핀란드 (핀)0011
헝가리 (훈)0011
이탈리아 (ITA)0011
노르웨이 (NOR)0011
스페인 (ESP)0011
우크라이나 (영국)0011
합계(21개국)29292987

여성들.

게임. 골드 실버 브론즈
1948년 런던
세부 사항
올가 갸르마티
헝가리
노에미 시모네토
아르헨티나
앤-브리트 레이먼
스웨덴
1952년 헬싱키
세부 사항
이벳 윌리엄스
뉴질랜드
알렉산드라 추디나
소비에트 연방
셜리 콜리
영국
1956년 멜버른
세부 사항
엘비에타 크르제시스카
폴란드
윌리 화이트
미국
나데즈다 크니키나드발리슈빌리
소비에트 연방
1960년 로마
세부 사항
베라 크레프키나
소비에트 연방
엘비에타 크르제시스카
폴란드
힐드런 클로스
독일 유나이티드 팀
1964년 도쿄
세부 사항
메리 랜드
영국
이레나 키르센슈타인
폴란드
타티아나 샤첼카노바
소비에트 연방
1968년 멕시코시티
세부 사항
비오리카 비스코폴레아누
루마니아
쉴라 셔우드
영국
타티아나 탈리셰바
소비에트 연방
1972년 뮌헨
세부 사항
하이데 로젠달
서독
다이애나 요르고바
불가리아
에바 슈라노바
체코슬로바키아
1976년 몬트리올
세부 사항
안젤라 보이트
동독
캐시 맥밀런
미국
리디야 알페예바
소비에트 연방
1980년 모스크바
세부 사항
타티아나 콜파코바
소비에트 연방
브리지트 우작
동독
타티아나 스카치코
소비에트 연방
1984년 로스앤젤레스
세부 사항
아니오아라쿠미르탄시우
루마니아
발리 요네스쿠
루마니아
수 헌쇼
영국
1988년 서울
세부 사항
재키 조이너 커시
미국
하이케 드렉슬러
동독
갈리나 치스티야코바
소비에트 연방
1992년 바르셀로나
세부 사항
하이케 드렉슬러
독일.
이네사 크라베츠
통합팀
재키 조이너 커시
미국
1996년 애틀랜타
세부 사항
아준와 치오마
나이지리아
피오나 메이
이탈리아
재키 조이너 커시
미국
2000년 시드니
세부 사항
하이케 드렉슬러
독일.
피오나 메이
이탈리아
타티아나 코토바
러시아
2004년 아테네
세부 사항
타티아나 레베데바
러시아
이리나 시마기나
러시아
타티아나 코토바
러시아
2008년 베이징
세부 사항
마우리렌 마기
브라질
블레싱 오카그바레
나이지리아
첼시 해먼드
자메이카
2012년 런던
세부 사항
브리트니 리스
미국
엘레나 소콜로바
러시아
자나이 드로치
미국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세부 사항
티아나 바르톨레타
미국
브리트니 리스
미국
이바나 스파노비치
세르비아
2020년 도쿄
세부 사항
말라이카 미함보
독일.
브리트니 리스
미국
에세 브룸
나이지리아

메달표

순위국가골드실버브론즈
1 독일. (GER)4004
2 미국 (미국)34310
3 소비에트 연방 (URS)2169
4 루마니아 (ROU)2103
5 러시아 (RUS)1225
6 동독 (GDR)1214
7 폴란드 (POL)1203
8 영국 (GBR)1124
9 나이지리아 (NGR)1113
10 브라질 (BRA)1001
헝가리 (훈)1001
뉴질랜드 (NZL)1001
13 이탈리아 (ITA)0202
14 아르헨티나 (ARG)0101
불가리아 (BUL)0101
우크라이나 (영국)0101
17 체코슬로바키아 (TCH)0011
자메이카 (막힘)0011
세르비아 (SRB)0011
스웨덴 (SWE)0011
합계(20개국)19191957

세계 선수권 메달리스트

남자들

선수권 대회 골드 실버 브론즈
1983년 헬싱키
세부 사항
칼 루이스 (USA ) 제이슨 그라임스 (USA ) 마이크 콘리 (USA )
1987년 로마
세부 사항
칼 루이스 (USA ) 로버트 엠미얀 (URS ) 래리 미릭스 (USA )
1991년 도쿄
세부 사항
마이크 파월 (USA ) 칼 루이스 (USA ) 래리 미릭스 (USA )
1993년 슈투트가르트
세부 사항
마이크 파월 (USA ) 스타니슬라프 타라센코 (RUS ) 비탈리 키릴렌코 (UKR )
1995년 예테보리
세부 사항
이반 페드로소 (CUB ) 제임스 벡포드 (JAM ) 마이크 파월 (USA )
1997년 아테네
세부 사항
이반 페드로소 (CUB ) 에릭 발더 (USA ) 키릴 소수노프 (RUS )
1999년 세비야
세부 사항
이반 페드로소 (CUB ) 야고 라멜라 (ESP ) 그레고르 캉카르 (SLO )
2001년 에드먼턴
세부 사항
이반 페드로소 (CUB ) 사반테 스트링펠로우 (USA ) 카를로스 칼라도 (POR )
2003년 생드니
세부 사항
드와이트 필립스 (USA ) 제임스 벡포드 (JAM ) 야고 라멜라 (ESP )
2005년 헬싱키
세부 사항
드와이트 필립스 (USA ) 이그니셔스 가이사 (GHA ) 토미 이블래 (FIN )
2007년 오사카
세부 사항
어빙 살라디노 (PAN ) 앤드류 하우 (ITA ) 드와이트 필립스 (USA )
2009년 베를린
세부 사항
드와이트 필립스 (USA ) 고드프리 코초 모코에나 (RSA ) 미첼 와트 (AUS )
2011년 대구
세부 사항
드와이트 필립스 (USA ) 미첼 와트 (AUS ) 은고니자셰 마쿠샤 (ZIM )
2013년 모스크바
세부 사항
알렉산드르 멘코프 (RUS ) 이그니셔스 가이사 (NED ) 루이스 리베라 (MEX )
2015 베이징
세부 사항
그렉 러더퍼드 (GBR ) 파브리스 라피에르 (AUS ) 왕젠안 (CHN )
2017년 런던
세부 사항
루보 만용가 (RSA ) 재리온 로슨 (USA ) 루스왈 사마이 (RSA )
2019년 도하
세부 사항
타제이 게일 (JAM ) 제프 헨더슨 (USA ) 후안 미겔 에체바리아 (CUB )
2022 유진
세부 사항
왕젠안 (CHN ) 밀티아디스 텐토글루 (GRE ) 사이먼 에함머 (SUI )

메달표

순위국가골드실버브론즈
1 미국 (미국)86519
2 쿠바 (CUB)4015
3 자메이카 (막힘)1203
4 러시아 (RUS)1113
남아프리카 공화국 (RSA)1113
6 중국 (CHN)1012
7 영국 (GBR)1001
파나마 (PAN)1001
9 호주. (AUS)0213
10 스페인 (ESP)0112
11 가나 (GHA)0101
그리스 (GRE)0101
이탈리아 (ITA)0101
네덜란드 (NED)0101
소비에트 연방 (URS)0101
16 핀란드 (핀)0011
멕시코 (MEX)0011
포르투갈 (POR)0011
슬로베니아 (SLO)0011
스위스 (SUI)0011
우크라이나 (영국)0011
짐바브웨 (ZIM)0011
합계(22개국)18181854

여성들.

선수권 대회 골드 실버 브론즈
1983년 헬싱키
세부 사항
헤이케 도테 (GDR ) 아니오아라 쿠미르 (ROU ) 캐롤 루이스 (USA )
1987년 로마
세부 사항
재키 조이너 커시 (USA ) 옐레나 벨레브스카야 (URS ) 하이케 드렉슬러 (GDR )
1991년 도쿄
세부 사항
재키 조이너 커시 (USA ) Heike Drechsler (GER) Larysa Berezhna (URS)
1993 Stuttgart
details
Heike Drechsler (GER) Larysa Berezhna (UKR) Renata Nielsen (DEN)
1995 Gothenburg
details
Fiona May (ITA) Niurka Montalvo (CUB) Irina Mushailova (RUS)
1997 Athens
details
Lyudmila Galkina (RUS) Niki Xanthou (GRE) Fiona May (ITA)
1999 Seville
details
Niurka Montalvo (ESP) Fiona May (ITA) Marion Jones (USA)
2001 Edmonton
details
Fiona May (ITA) Tatyana Kotova (RUS) Niurka Montalvo (ESP)
2003 Saint-Denis
details
Eunice Barber (FRA) Tatyana Kotova (RUS) Anju Bobby George (IND)
2005 Helsinki
details
Tianna Madison (USA) Eunice Barber (FRA) Yargelis Savigne (CUB)
2007 Osaka
details
Tatyana Lebedeva (RUS) Lyudmila Kolchanova (RUS) Tatyana Kotova (RUS)
2009 Berlin
details
Brittney Reese (USA) Tatyana Lebedeva (RUS) Karin Melis Mey (TUR)
2011 Daegu
details
Brittney Reese (USA) Olga Kucherenko (RUS) Ineta Radēviča (LAT)
2013 Moscow
details
Brittney Reese (USA) Blessing Okagbare (NGR) Ivana Španović (SRB)
2015 Beijing
details
Tianna Bartoletta (USA) Shara Proctor (GBR) Ivana Španović (SRB)
2017 London
details
Brittney Reese (USA) Darya Klishina (ANA) Tianna Bartoletta (USA)
2019 Doha
details
Malaika Mihambo (GER) Maryna Bekh-Romanchuk (UKR) Ese Brume (NGR)
2022 Eugene
details
Malaika Mihambo (GER) Ese Brume (NGR) Leticia Oro Melo (BRA)

Medal table

RankNationGoldSilverBronzeTotal
1 United States (USA)80311
2 Germany (GER)3104
3 Russia (RUS)2529
4 Italy (ITA)2114
5 France (FRA)1102
6 East Germany (GDR)1012
Spain (ESP)1012
8 Nigeria (NGR)0213
9 Ukraine (UKR)0202
10 Cuba (CUB)0112
Soviet Union (URS)0112
12 Great Britain (GBR)0101
Greece (GRE)0101
Romania (ROU)0101
Authorised Neutral Athletes (ANA)0101
15 Serbia (SRB)0022
16 Brazil (BRA)0011
Denmark (DEN)0011
India (IND)0011
Latvia (LAT)0011
Turkey (TUR)0011
Totals (20 nations)18181854

World Indoor Championships medalists

Men

Games Gold Silver Bronze
1985 Paris[A]
details
Jan Leitner (TCH) Gyula Pálóczi (HUN) Giovanni Evangelisti (ITA)
1987 Indianapolis
details
Larry Myricks (USA) Paul Emordi (NGR) Giovanni Evangelisti (ITA)
1989 Budapest
details
Larry Myricks (USA) Dietmar Haaf (FRG) Mike Conley (USA)
1991 Seville
details
Dietmar Haaf (GER) Jaime Jefferson (CUB) Giovanni Evangelisti (ITA)
1993 Toronto
details
Iván Pedroso (CUB) Joe Greene (USA) Jaime Jefferson (CUB)
1995 Barcelona
details
Iván Pedroso (CUB) Mattias Sunneborn (SWE) Erick Walder (USA)
1997 Paris
details
Iván Pedroso (CUB) Kirill Sosunov (RUS) Joe Greene (USA)
1999 Maebashi
details
Iván Pedroso (CUB) Yago Lamela (ESP) Erick Walder (USA)
2001 Lisbon
details
Iván Pedroso (CUB) Kareem Streete-Thompson (CAY) Carlos Calado (POR)
2003 Birmingham
details
Dwight Phillips (USA) Yago Lamela (ESP) Miguel Pate (USA)
2004 Budapest
details
Savanté Stringfellow (USA) James Beckford (JAM) Vitaliy Shkurlatov (RUS)
2006 Moscow
details
Ignisious Gaisah (GHA) Irving Saladino (PAN) Andrew Howe (ITA)
2008 Valencia
details
Godfrey Khotso Mokoena (RSA) Chris Tomlinson (GBR) Mohammed Al-Khuwalidi (KSA)
2010 Doha
details
Fabrice Lapierre (AUS) Godfrey Khotso Mokoena (RSA) Mitchell Watt (AUS)
2012 Istanbul
details
Mauro Vinícius da Silva (BRA) Henry Frayne (AUS) Aleksandr Menkov (RUS)
2014 Sopot
details
Mauro Vinícius da Silva (BRA) Li Jinzhe (CHN) Michel Tornéus (SWE)
2016 Portland
details
Marquis Dendy (USA) Fabrice Lapierre (AUS) Huang Changzhou (CHN)
2018 Birmingham
details
Juan Miguel Echevarría (CUB) Luvo Manyonga (RSA) Marquis Dendy (USA)
2022 Belgrade
details
Miltiadis Tentoglou (GRE) Thobias Montler (SWE) Marquis Dendy (USA)

Medal table

RankNationGoldSilverBronzeTotal
1 Cuba (CUB)6118
2 United States (USA)51713
3 Brazil (BRA)2002
4 Australia (AUS)1214
5 South Africa (RSA)1203
6 Germany (GER)1102
7 Czechoslovakia (TCH)1001
Ghana (GHA)1001
Greece (GRE)1001
10 Sweden (SWE)0213
11 Spain (ESP)0202
12 Russia (RUS)0123
13 China (CHN)0112
14 Cayman Islands (CAY)0101
Great Britain (GBR)0101
Hungary (HUN)0101
Jamaica (JAM)0101
Nigeria (NGR)0101
Panama (PAN)0101
20 Italy (ITA)0044
21 Portugal (POR)0011
Saudi Arabia (KSA)0011
Totals (22 nations)19191957

Women

Games Gold Silver Bronze
1985 Paris[A]
details
Helga Radtke (GDR) Tatyana Rodionova (URS) Nijolė Medvedeva (URS)
1987 Indianapolis
details
Heike Drechsler (GDR) Helga Radtke (GDR) Yelena Belevskaya (URS)
1989 Budapest
details
Galina Chistyakova (URS) Marieta Ilcu (ROU) Larysa Berezhna (URS)
1991 Seville
details
Larysa Berezhna (URS) Heike Drechsler (GER) Marieta Ilcu (ROU)
1993 Toronto
details
Marieta Ilcu (ROU) Susen Tiedtke (GER) Inessa Kravets (UKR)
1995 Barcelona
details
Lyudmila Galkina (RUS) Irina Mushailova (RUS) Susen Tiedtke-Greene (GER)
1997 Paris
details
Fiona May (ITA) Chioma Ajunwa (NGR) Agata Karczmarek (POL)
1999 Maebashi
details
Tatyana Kotova (RUS) Shana Williams (USA) Iva Prandzheva (BUL)
2001 Lisbon
details
Dawn Burrell (USA) Tatyana Kotova (RUS) Niurka Montalvo (ESP)
2003 Birmingham
details
Tatyana Kotova (RUS) Inessa Kravets (UKR) Maurren Maggi (BRA)
2004 Budapest
details
Tatyana Lebedeva (RUS) Tatyana Kotova (RUS) Carolina Klüft (SWE)
2006 Moscow
details
Tatyana Kotova (RUS) Tianna Madison (USA) Naide Gomes (POR)
2008 Valencia
details
Naide Gomes (POR) Maurren Maggi (BRA) Irina Simagina (RUS)
2010 Doha
details
Brittney Reese (USA) Naide Gomes (POR) Keila Costa (BRA)
2012 Istanbul
details
Brittney Reese (USA) Janay DeLoach (USA) Shara Proctor (GBR)
2014 Sopot
details
Éloyse Lesueur (FRA) Katarina Johnson-Thompson (GBR) Ivana Španović (SRB)
2016 Portland
details
Brittney Reese (USA) Ivana Španović (SRB) Lorraine Ugen (GBR)
2018 Birmingham
details
Ivana Španović (SRB) Brittney Reese (USA) Sosthene Moguenara (GER)
2022 Belgrade
details
Ivana Vuleta (SRB) Ese Brume (NGR) Lorraine Ugen (GBR)

Medal table

RankNationGoldSilverBronzeTotal
1 Russia (RUS)5319
2 United States (USA)4408
3 Soviet Union (URS)2136
4 Serbia (SRB)2114
5 East Germany (GDR)2103
6 Portugal (POR)1113
Romania (ROU)1113
8 France (FRA)1001
Italy (ITA)1001
10 Germany (GER)0224
11 Nigeria (NGR)0202
12 Great Britain (GBR)0134
13 Brazil (BRA)0123
14 Ukraine (UKR)0112
15 Bulgaria (BUL)0011
Poland (POL)0011
Spain (ESP)0011
Sweden (SWE)0011
Totals (18 nations)19191957
  • A Known as the World Indoor Games

Season's bests

National records

Men (outdoor)

NR's equal or superior to 8.00 m:

Nation Mark Athlete Date Place
United States 8.95 m (29 ft 4+14 in) Mike Powell 30 August 1991 Tokyo
Soviet Union/
Armenia
8.86 m (29 ft 34 in) A Robert Emmiyan 22 May 1987 Tsakhkadzor
Panama 8.73 m (28 ft 7+12 in) Irving Saladino 24 May 2008 Hengelo
Cuba 8.71 m (28 ft 6+34 in) Iván Pedroso 18 July 1995 Salamanca
Jamaica 8.69 m (28 ft 6 in) Tajay Gayle 28 September 2019 Doha
Greece 8.66 m (28 ft 4+34 in) Louis Tsatoumas 2 June 2007 Kalamata
South Africa 8.65 m (28 ft 4+12 in) A Luvo Manyonga 22 April 2017 Potchefstroom
Spain 8.56 m (28 ft 1 in) Yago Lamela 24 June 1999 Turin
Russia 8.56 m (28 ft 1 in) Aleksandr Menkov 16 August 2013 Moscow
East Germany/
Germany
8.54 m (28 ft 0 in) Lutz Dombrowski 28 July 1980 Moscow
Australia 8.54 m (28 ft 0 in) Mitchell Watt 29 July 2011 Stockholm
United Kingdom 8.51 m (27 ft 11 in) Greg Rutherford 24 April 2014 Chula Vista
Saudi Arabia 8.48 m (27 ft 9+34 in) Mohamed Al-Khuwalidi 2 July 2006 Sotteville-lès-Rouen
Italy 8.47 m (27 ft 9+14 in) Andrew Howe 30 August 2007 Osaka
China 8.47 m (27 ft 9+14 in) Li Jinzhe 29 June 2014 Bad Langensalza
8.47 m (27 ft 9+14 in) A Wang Jianan 16 June 2018 Guiyang
Senegal 8.46 m (27 ft 9 in) Cheikh Touré 15 June 1997 Bad Langensalza
Mexico 8.46 m (27 ft 9 in) Luis Rivera 12 July 2013 Kazan
Yugoslavia/
Serbia
8.45 m (27 ft 8+12 in) Nenad Stekić 25 July 1975 Montreal
Switzerland 8.45 m (27 ft 8+12 in) Simon Ehammer 28 May 2022 Götzis
Sweden 8.44 m (27 ft 8+14 in) A Michel Tornéus 10 July 2016 Monachil
Ghana 8.43 m (27 ft 7+34 in) Ignisious Gaisah 14 July 2006 Rome
France 8.42 m (27 ft 7+14 in) Salim Sdiri 12 June 2009 Pierre-Bénite
Bahamas 8.41 m (27 ft 7 in) Craig Hepburn 17 June 1993 Nassau
Brazil 8.40 m (27 ft 6+12 in) Douglas de Souza 15 February 1995 São Paulo
Slovenia 8.40 m (27 ft 6+12 in) Gregor Cankar 18 May 1997 Celje
Morocco 8.40 m (27 ft 6+12 in) Yahya Berrabah 2 October 2009 Beirut
Zimbabwe 8.40 m (27 ft 6+12 in) Ngonidzashe Makusha 9 June 2011 Des Moines
Japan 8.40 m (27 ft 6+12 in) Shotaro Shiroyama 17 August 2019 Fukui
Romania 8.37 m (27 ft 5+12 in) Bogdan Tudor 9 July 1995 Bad Cannstatt
Portugal 8.36 m (27 ft 5 in) Carlos Calado 20 June 1997 Lisbon
India 8.36 m (27 ft 5 in) Murali Sreeshankar 3 April 2022 Tenhipalam
Ukraine 8.35 m (27 ft 4+12 in) Sergey Layevskiy 16 July 1988 Dnipropetrovsk
Roman Shchurenko 25 July 2000 Kyiv
Chinese Taipei 8.34 m (27 ft 4+14 in) Nai Hui-fang 14 May 1993 Shanghai
Venezuela 8.34 m (27 ft 4+14 in) A Víctor Castillo 30 May 2004 Cochabamba
Bermuda 8.34 m (27 ft 4+14 in) Tyrone Smith 5 May 2017 Houston
Bulgaria 8.33 m (27 ft 3+34 in) Ivaylo Mladenov 3 June 1995 Seville
Belarus 8.33 m (27 ft 3+34 in) A Aliaksandar Hlavatski 7 August 1996 Sestriere
Egypt 8.31 m (27 ft 3 in) Hatem Mersal 30 June 1999 Oslo
Cayman Islands 8.31 m (27 ft 3 in) Kareem Streete-Thompson 1 July 2000 Bad Langensalza
Czech Republic 8.31 m (27 ft 3 in) Radek Juška 27 August 2017 Taipei City
Hungary 8.30 m (27 ft 2+34 in) László Szalma 7 July 1985 Budapest
Austria 8.30 m (27 ft 2+34 in) Andreas Steiner 4 June 1988 Innsbruck
Netherlands 8.29 m (27 ft 2+14 in) Ignisious Gaisah 16 August 2013 Moscow
Poland 8.28 m (27 ft 1+34 in) A Grzegorz Marciniszyn 14 July 2001 Mals
Mauritius 8.28 m (27 ft 1+34 in) Jonathan Chimier 24 August 2004 Athens
Canada 8.28 m (27 ft 1+34 in) Damian Warner 29 May 2021 Götzis
Uruguay 8.28 m (27 ft 1+34 in) Emiliano Lasa 1 May 2022 São Paulo
Nigeria 8.27 m (27 ft 1+12 in) Yusuf Alli 8 August 1989 Lagos
Botswana 8.27 m (27 ft 1+12 in) Gable Garenamotse 20 August 2006 Rhede
Finland 8.27 m (27 ft 1+12 in) Kristian Pulli 11 June 2020 Espoo
Algeria 8.26 m (27 ft 1 in) Issam Nima 28 July 2007 Zaragoza
Moldova 8.25 m (27 ft 34 in) Sergey Podgainiy 18 August 1990 Kishinev
Belgium 8.25 m (27 ft 34 in) Erik Nys 6 July 1996 Hechtel
Denmark 8.25 m (27 ft 34 in) Morten Jensen 3 July 2005 Gothenburg
Trinidad and Tobago 8.25 m (27 ft 34 in) A Andwuelle Wright 5 July 2019 Queretaro
Namibia 8.24 m (27 ft 14 in) A Stephan Louw 12 January 2008 Germiston
Georgia 8.24 m (27 ft 14 in) Bachana Khorava 29 May 2021 Tbilisi
Croatia 8.23 m (27 ft 0 in) Siniša Ergotić 5 June 2002 Zagreb
6 September 2003 Córdoba
South Korea 8.22 m (26 ft 11+12 in) Kim Deok-hyeon 10 June 2016 Ried
Puerto Rico 8.19 m (26 ft 10+14 in) A Elmer Williams 11 August 1989 Bogotá
Tajikistan 8.18 m (26 ft 10 in) Vasiliy Sokov 5 July 1988 Tallinn
Iran 8.17 m (26 ft 9+12 in) Mohammad Arzandeh 7 July 2012 Tehran
Kyrgyzstan 8.16 m (26 ft 9+14 in) Shamil Abbyasov 2 August 1981 Leningrad
Kazakhstan 8.16 m (26 ft 9+14 in) Sergey Vasilenko 18 June 1988 Alma Ata
Ecuador 8.16 m (26 ft 9+14 in) A Hugo Chila 23 November 2009 Sucre
Albania 8.16 m (26 ft 9+14 in) NWI Izmir Smajlaj 8 May 2021 Tirana
Lithuania 8.15 m (26 ft 8+34 in) Povilas Mykolaitis 4 June 2011 Kaunas
Sri Lanka 8.15 m (26 ft 8+34 in) W. P. Amila Jayasiri 16 August 2016 Diyagama
Qatar 8.13 m (26 ft 8 in) Abdulrahman Al-Nubi 21 September 2003 Manila
Kenya 8.12 m (26 ft 7+12 in) A Jacob Katonon 23 September 1995 Johannesburg
Hong Kong 8.12 m (26 ft 7+12 in) Chan Ming Tai 7 May 2016 Hong Kong
Guyana 8.12 m (26 ft 7+12 in) Emanuel Archibald 11 May 2019 Kingston
Uzbekistan 8.10 m (26 ft 6+34 in) Aleksandr Pototskiy 4 June 1992 Bryansk
Konstantin Sarnatskiy 11 October 1994 Hiroshima
Estonia 8.10 m (26 ft 6+34 in) Erki Nool 27 May 1995 Götzis
Peru 8.10 m (26 ft 6+34 in) A Jorge McFarlane 23 November 2009 Sucre
8.10 m (26 ft 6+34 in) José Luis Mandros 7 May 2022 Ibiza
Norway 8.10 m (26 ft 6+34 in) A Ingar Kiplesund 17 August 2019 Monachil
Grenada 8.09 m (26 ft 6+12 in) Eugene Licorish 5 May 1989 Port of Spain
Indonesia 8.09 m (26 ft 6+12 in) Sapwaturrahman 26 August 2018 Jakarta
Ethiopia 8.09 m (26 ft 6+12 in) A NWI Omod Okugn 10 March 2022 Asella
Turkey 8.08 m (26 ft 6 in) Mesut Yavaş 24 June 2000 Istanbul
Saint Vincent and the Grenadines 8.08 m (26 ft 6 in) Clayton Latham 29 July 2008 Hamburg
Chile 8.08 m (26 ft 6 in) Daniel Pineda 21 April 2012 Santiago de Chile
Latvia 8.08 m (26 ft 6 in) Elvijs Misāns 12 July 2016 Saldus
Dominica 8.08 m (26 ft 6 in) Tristan James 29 May 2022 Chula Vista
Ireland 8.07 m (26 ft 5+12 in) Ciaran McDonagh 21 August 2005 La Chaux-de-Fonds
Turks and Caicos Islands 8.06 m (26 ft 5+14 in) Ifeanyichukwu Otuonye 9 June 2018 Chula Vista
New Zealand 8.05 m (26 ft 4+34 in) Bob Thomas 20 January 1968 Whangārei
Slovakia 8.05 m (26 ft 4+34 in) Róbert Széli 6 July 1988 Budapest
Thailand 8.05 m (26 ft 4+34 in) Supanara Sukhasvasti 10 July 2011 Kobe
Azerbaijan 8.03 m (26 ft 4 in) Vladimir Tsepelyov 17 September 1978 Tbilisi
Libya 8.03 m (26 ft 4 in) Mohamed Bishty 25 May 1985 Chania
Cameroon 8.03 m (26 ft 4 in) A NWI Marcel Mayack 2 March 2019 Bafoussam
Antigua and Barbuda 8.02 m (26 ft 3+12 in) Lester Benjamin 12 May 1984 Baton Rouge
Kuwait 8.02 m (26 ft 3+12 in) Saleh Al-Haddad 5 May 2009 Al-Kuwait
Malaysia 8.02 m (26 ft 3+12 in) Andre Anura 7 December 2019 New Clark City
Tunisia 8.01 m (26 ft 3+14 in) Anis Gallali 22 August 1998 Dakar
Iceland 8.00 m (26 ft 2+34 in) Jón Arnar Magnússon 26 August 1994 Reykjavík
Burkina Faso 8.00 m (26 ft 2+34 in) Franck Zio 21 June 1998 Viry-Chatillon
Togo 8.00 m (26 ft 2+34 in) A Téko Folligan 15 September 1999 Johannesburg
Liberia 8.00 m (26 ft 2+34 in) Cadeau Kelley 18 April 2009 Ypsilanti

Women (outdoor)

NR's equal or superior to 6.75 m:

Nation Mark Athlete Date Place
Soviet Union/
Russia
7.52 m (24 ft 8 in) Galina Chistyakova 11 June 1988 Leningrad
United States 7.49 m (24 ft 6+34 in) Jackie Joyner-Kersee 22 May 1994 New York City
7.49 m (24 ft 6+34 in) A 31 July 1994 Sestriere
East Germany/
Germany
7.48 m (24 ft 6+14 in) Heike Drechsler 9 July 1988 Neubrandenburg
8 July 1992 Lausanne
Romania 7.43 m (24 ft 4+12 in) Anișoara Cușmir 4 June 1983 Bucharest
Belarus 7.39 m (24 ft 2+34 in) Yelena Belevskaya 18 July 1987 Bryansk
Kazakhstan 7.31 m (23 ft 11+34 in) Olena Khlopotnova 12 September 1985 Alma Ata
Brazil 7.26 m (23 ft 9+34 in) A Maurren Maggi 26 July 1999 Bogotá
Ukraine 7.24 m (23 ft 9 in) Larysa Berezhna 25 May 1991 Granada
Lithuania 7.20 m (23 ft 7+14 in) Irena Oženko 12 September 1986 Budapest
Nigeria 7.17 m (23 ft 6+14 in) Ese Brume 29 May 2021 Chula Vista
Jamaica 7.16 m (23 ft 5+34 in) A Elva Goulbourne 22 May 2004 Mexico City
Australia 7.13 m (23 ft 4+12 in) Brooke Buschkuehl 9 July 2022 Chula Vista
Portugal 7.12 m (23 ft 4+14 in) Naide Gomes 29 July 2008 Monaco
Italy 7.11 m (23 ft 3+34 in) Fiona May 22 August 1998 Budapest
Serbia 7.10 m (23 ft 3+12 in) Ivana Španović 11 September 2016 Belgrade
Austria 7.09 m (23 ft 3 in) Ludmila Ninova 5 June 1994 Seville
British Virgin Islands 7.08 m (23 ft 2+12 in) Chantel Malone 27 March 2021 Miramar
United Kingdom 7.07 m (23 ft 2+14 in) Shara Proctor 28 August 2015 Beijing
Kyrgyzstan 7.06 m (23 ft 1+34 in) Tatyana Kolpakova 31 July 1980 Moscow
Spain 7.06 m (23 ft 1+34 in) Niurka Montalvo 23 August 1999 Seville
France 7.05 m (23 ft 1+12 in) Eunice Barber 14 September 2003 Monaco
Greece 7.03 m (23 ft 34 in) Niki Xanthou 18 August 1997 Bellinzona
Czechoslovakia/
Slovakia
7.01 m (22 ft 11+34 in) Eva Murková 26 May 1984 Leningrad
China 7.01 m (22 ft 11+34 in) Yao Weili 4 June 1993 Jinan
Bulgaria 7.00 m (22 ft 11+12 in) Silvia Khristova-Moneva 3 August 1986 Sofia
Cuba 6.99 m (22 ft 11 in) Lissette Cuza 3 June 2000 Jena
Sweden 6.99 m (22 ft 11 in) Erica Johansson 5 July 2000 Lausanne
Canada 6.99 m (22 ft 11 in) Christabel Nettey 29 May 2015 Eugene
Poland 6.97 m (22 ft 10+14 in) Agata Karczmarek 6 August 1988 Lublin
Puerto Rico 6.96 m (22 ft 10 in) A Madeline de Jesús 24 July 1988 Mexico City
Denmark 6.96 m (22 ft 10 in) Renata Nielsen 5 June 1994 Seville
Trinidad and Tobago 6.96 m (22 ft 10 in) Tyra Gittens 14 May 2021 College Station
South Africa 6.93 m (22 ft 8+34 in) Karin Melis Mey 7 July 2007 Bad Langensalza
7 June 2008
Colombia 6.93 m (22 ft 8+34 in) Caterine Ibargüen 9 September 2018 Ostrava
Latvia 6.92 m (22 ft 8+14 in) Ineta Radēviča 28 July 2010 Barcelona
Czech Republic 6.89 m (22 ft 7+14 in) Jarmila Strejčková 18 September 1982 Prague
Ghana 6.89 m (22 ft 7+14 in) Deborah Acquah 2 April 2022 College Station
Venezuela 6.88 m (22 ft 6+34 in) Yulimar Rojas 13 June 2021 La Nucia
Turkey 6.87 m (22 ft 6+14 in) Karin Melis Mey 31 July 2009 Leverkusen
Estonia 6.87 m (22 ft 6+14 in) Ksenija Balta 8 August 2010 Tallinn
Hungary 6.86 m (22 ft 6 in) Tünde Vaszi 7 August 2001 Edmonton
Japan 6.86 m (22 ft 6 in) Kumiko Imura 6 May 2006 Osaka
Belgium 6.86 m (22 ft 6 in) Nafissatou Thiam 18 August 2019 Birmingham
Finland 6.85 m (22 ft 5+12 in) Ringa Ropo-Junnila 11 August 1990 Lahti
Uzbekistan 6.85 m (22 ft 5+12 in) Darya Reznichenko 28 June 2021 Tashkent
Switzerland 6.84 m (22 ft 5+14 in) Irène Pusterla 20 August 2011 Chiasso
India 6.83 m (22 ft 4+34 in) Anju Bobby George 27 August 2004 Athens
Bahamas 6.83 m (22 ft 4+34 in) Bianca Stuart 26 June 2015 Nassau
Guyana 6.81 m (22 ft 4 in) Jennifer Inniss 18 June 1983 Indianapolis
São Tomé and Príncipe 6.81 m (22 ft 4 in) Agate de Sousa 5 June 2022 Chorzów
Cyprus 6.80 m (22 ft 3+12 in) Maroula Lambrou 25 March 1985 Limassol
Barbados 6.80 m (22 ft 3+12 in) Akela Jones 29 May 2021 Chula Vista
Slovenia 6.78 m (22 ft 2+34 in) Nina Kolarič 29 June 2008 Ptuj
Netherlands 6.78 m (22 ft 2+34 in) Dafne Schippers 26 July 2014 Amsterdam
Syria 6.77 m (22 ft 2+12 in) Ghada Shouaa 26 May 1996 Götzis
South Korea 6.76 m (22 ft 2 in) Jung Soon-ok 4 June 2009 Daegu
Sierra Leone 6.75 m (22 ft 1+12 in) Eunice Barber 5 June 1998 Lyon

Men (indoor)

NR's equal or superior to 8.00 m:

Nation Mark Athlete Date Place
United States 8.79 m (28 ft 10 in) Carl Lewis 27 January 1984 New York City
Germany 8.71 m (28 ft 6+34 in) Sebastian Bayer 8 March 2009 Turin
Cuba 8.62 m (28 ft 3+14 in) Iván Pedroso 7 March 1999 Maebashi
Spain 8.56 m (28 ft 1 in) Yago Lamela 7 March 1999 Maebashi
Greece 8.55 m (28 ft 12 in) Miltiadis Tentoglou 18 March 2022 Belgrade
Soviet Union/
Armenia
8.49 m (27 ft 10+14 in) Robert Emmiyan 21 February 1987 Liévin
South Africa 8.44 m (27 ft 8+14 in) Luvo Manyonga 2 March 2018 Birmingham
Russia 8.43 m (27 ft 7+34 in) Stanislav Tarasenko 26 January 1994 Moscow
Panama 8.42 m (27 ft 7+14 in) Irving Saladino 13 February 2008 Athens
Jamaica 8.40 m (27 ft 6+12 in) James Beckford 9 February 1996 Madrid
Sweden 8.38 m (27 ft 5+34 in) Thobias Montler 18 March 2022 Belgrade
Ghana 8.36 m (27 ft 5 in) Ignisious Gaisah 2 February 2006 Stockholm
Ukraine 8.33 m (27 ft 3+34 in) Roman Shchurenko 16 February 2002 Brovary
Bulgaria 8.30 m (27 ft 2+34 in) Ivaylo Mladenov 28 February 1994 Piraeus
Romania 8.30 m (27 ft 2+34 in) Bogdan Țăruș 29 January 2000 Bucharest
Italy 8.30 m (27 ft 2+34 in) Andrew Howe 4 March 2007 Birmingham
Slovenia 8.28 m (27 ft 1+34 in) Gregor Cankar 7 March 1999 Maebashi
Brazil 8.28 m (27 ft 1+34 in) Mauro Vinícius da Silva 9 March 2012 Istanbul
8 March 2014 Sopot
France 8.27 m (27 ft 1+12 in) Salim Sdiri 28 January 2006 Mondeville
China 8.27 m (27 ft 1+12 in) Su Xiongfeng 11 March 2010 Nanjing
Nigeria 8.26 m (27 ft 1 in) Charlton Ehizuelen 7 March 1975 Bloomington
United Kingdom 8.26 m (27 ft 1 in) A Greg Rutherford 5 February 2016 Albuquerque
Switzerland 8.26 m (27 ft 1 in) Simon Ehammer 29 January 2022 Aubière
Georgia 8.25 m (27 ft 34 in) Bachana Khorava 7 February 2016 Tbilisi
Australia 8.25 m (27 ft 34 in) Fabrice Lapierre 20 March 2016 Portland
Hungary 8.24 m (27 ft 14 in) László Szalma 22 February 1986 Madrid
Saudi Arabia 8.24 m (27 ft 14 in) Mohammed Al-Khuwalidi 16 February 2008 Doha
Finland 8.24 m (27 ft 14 in) Kristian Pulli 5 March 2021 Toruń
Netherlands 8.23 m (27 ft 0 in) Emiel Mellaard 5 February 1989 The Hague
Portugal 8.22 m (26 ft 11+12 in) Carlos Calado 26 January 2002 Espinho
Zimbabwe 8.21 m (26 ft 11 in) Ngonidzashe Makusha 27 February 2009 Blacksburg
Japan 8.19 m (26 ft 10+14 in) Yuki Hashioka 18 March 2021 Osaka
Czechoslovakia/
Czech Republic
8.18 m (26 ft 10 in) Milan Gombala 16 February 1992 Prague
Denmark 8.18 m (26 ft 10 in) Morten Jensen 8 February 2006 Gothenburg
Poland 8.18 m (26 ft 10 in) Marcin Starzak 8 March 2009 Turin
Adrian Strzałkowski 7 March 2014 Sopot
Bahamas 8.18 m (26 ft 10 in) LaQuan Nairn 18 February 2022 Fayetteville
Senegal 8.17 m (26 ft 9+12 in) Cheikh Touré 15 February 1998 Bordeaux
Peru 8.17 m (26 ft 9+12 in) A José Luis Mandros 20 February 2022 Cochabamba
Cayman Islands 8.16 m (26 ft 9+14 in) Kareem Streete-Thompson 11 March 2001 Lisbon
Lithuania 8.13 m (26 ft 8 in) Povilas Mykolaitis 11 February 2005 Kaunas
Puerto Rico 8.12 m (26 ft 7+12 in) Mike Francis 6 March 1992 Manhattan
Latvia 8.11 m (26 ft 7+14 in) Artūrs Āboliņš 10 March 2006 Fayetteville
Belarus 8.10 m (26 ft 6+34 in) Aleksandr Glavatskiy 15 January 1994 Gomel
Uruguay 8.10 m (26 ft 6+34 in) A Emiliano Lasa 20 February 2022 Cochabamba
Kyrgyzstan 8.09 m (26 ft 6+12 in) Shamil Abbyasov 8 February 1985 Moscow
Turkey 8.09 m (26 ft 6+12 in) Mesut Yavaş 3 March 2000 Ames
Moldova 8.09 m (26 ft 6+12 in) Alexandr Cuharenco 3 February 2012 Chișinău
Belgium 8.08 m (26 ft 6 in) Erik Nys 12 February 1995 Ghent
Croatia 8.08 m (26 ft 6 in) Siniša Ergotić 8 February 2003 Budapest
Albania 8.08 m (26 ft 6 in) Izmir Smajlaj 4 March 2017 Belgrade
Burkina Faso 8.06 m (26 ft 5+14 in) Franck Zio 3 February 1996 Liévin
Guyana 8.05 m (26 ft 4+34 in) Mark Mason 25 January 1991 Johnson City
Mauritius 8.05 m (26 ft 4+34 in) Jonathan Chimier 22 February 2004 Aubière
Canada 8.05 m (26 ft 4+34 in) Damian Warner 18 March 2022 Belgrade
Serbia 8.03 m (26 ft 4 in) Strahinja Jovančević 3 March 2019 Glasgow
Tajikistan 8.02 m (26 ft 3+12 in) Vasiliy Sokov 4 February 1989 Gomel
Morocco 8.02 m (26 ft 3+12 in) Younés Moudrik 2 February 2001 Erfurt
14 March 2001 Madrid
1 February 2002 Erfurt
Yahya Berrabah 13 February 2010 Valencia
French Polynesia 8.02 m (26 ft 3+12 in) Raihau Maiau 4 February 2016 Nantes
Botswana 8.01 m (26 ft 3+14 in) Gable Garenamotse 3 February 2002 Cardiff
Mexico 8.01 m (26 ft 3+14 in) Luis Rivera 7 March 2014 Sopot
Azerbaijan 8.00 m (26 ft 2+34 in) Vladimir Tsepelyov 6 February 1983 Vilnius
Venezuela 8.00 m (26 ft 2+34 in) A Victor Castillo 5 February 2005 Flagstaff
Ireland 8.00 m (26 ft 2+34 in) Ciaran McDonagh 14 January 2006 Blacksburg

Women (indoor)

NR's equal or superior to 6.75 m:

Nation Mark Athlete Date Place
East Germany/
Germany
7.37 m (24 ft 2 in) Heike Drechsler 13 February 1988 Vienna
Soviet Union/
Russia
7.30 m (23 ft 11+14 in) Galina Chistyakova 28 January 1989 Lipetsk
Serbia 7.24 m (23 ft 9 in) Ivana Španović 5 March 2017 Belgrade
Ukraine 7.20 m (23 ft 7+14 in) Larysa Berezhna 4 February 1989 Gomel
Kazakhstan 7.17 m (23 ft 6+14 in) Olena Khlopotnova 16 February 1985 Kishinev
United States 7.13 m (23 ft 4+12 in) Jackie Joyner-Kersee 5 March 1994 Atlanta
Lithuania 7.01 m (22 ft 11+34 in) Nijolė Medvedeva 25 January 1987 Vilnius
Belarus 7.01 m (22 ft 11+34 in) Yelena Belevskaya 14 February 1987 Moscow
Portugal 7.00 m (22 ft 11+12 in) Naide Gomes 9 March 2008 Valencia
Czechoslovakia/
Slovakia
6.99 m (22 ft 11 in) Eva Murková 2 March 1985 Piraeus
Romania 6.99 m (22 ft 11 in) Mirela Dulgheru 23 January 1993 Bacău
Canada 6.99 m (22 ft 11 in) Christabel Nettey 19 February 2015 Stockholm
Nigeria 6.97 m (22 ft 10+14 in) Chioma Ajunwa 5 February 1997 Erfurt
Sweden 6.92 m (22 ft 8+14 in) Carolina Klüft 7 March 2004 Budapest
Khaddi Sagnia 25 February 2018 Glasgow
Greece 6.91 m (22 ft 8 in) Niki Xanthou 16 February 1997 Liévin
Bulgaria 6.91 m (22 ft 8 in) Magdalena Khristova 19 February 1988 Stockholm
Italy 6.91 m (22 ft 8 in) Fiona May 1 March 1998 Valencia
Larissa Iapichino 20 February 2021 Ancona
France 6.90 m (22 ft 7+12 in) Éloyse Lesueur 2 March 2013 Gothenburg
Brazil 6.89 m (22 ft 7+14 in) Maurren Maggi 9 March 2008 Valencia
Spain 6.88 m (22 ft 6+34 in) Niurka Montalvo 10 March 2001 Lisbon
Estonia 6.87 m (22 ft 6+14 in) Ksenija Balta 7 March 2009 Turin
Sierra Leone 6.86 m (22 ft 6 in) Eunice Barber 15 February 1998 Bordeaux
South Africa 6.85 m (22 ft 5+12 in) Karin Melis Mey 21 February 2008 Stockholm
China 6.82 m (22 ft 4+12 in) Yang Juan 13 March 1992 Beijing
Bahamas 6.82 m (22 ft 4+12 in) Daphne Saunders 26 February 1994 Gainesville
Hungary 6.82 m (22 ft 4+12 in) Tünde Vaszi 29 January 1999 Chemnitz
Latvia 6.82 m (22 ft 4+12 in) Aiga Grabuste 8 February 2015 Tbilisi
Australia 6.81 m (22 ft 4 in) Nicole Boegman 12 March 1995 Barcelona
Austria 6.81 m (22 ft 4 in) Ludmila Ninova 14 February 1996 Moscow
Venezuela 6.81 m (22 ft 4 in) Yulimar Rojas 17 February 2022 Liévin
Barbados 6.80 m (22 ft 3+12 in) Akela Jones 11 March 2016 Birmingham
11 February 2022 Clemson
Cuba 6.79 m (22 ft 3+14 in) Yargelis Savigne 3 February 2007 Stuttgart
Belgium 6.79 m (22 ft 3+14 in) Nafissatou Thiam 1 March 2020 Liévin
Finland 6.78 m (22 ft 2+34 in) Ringa Ropo-Junnila 19 February 1991 Stockholm
Denmark 6.77 m (22 ft 2+12 in) Renata Nielsen 12 March 1995 Barcelona

See also

Notes and references

  1. ^ "USATF – 2006 Competition Rules". USA Track & Fiel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October 2009. Retrieved 29 October 2006.
  2. ^ a b c Swaddling, Judith (1999). The Ancient Olympic Games. University of Texas Pres. ISBN 0292777515.
  3. ^ Miller, p. 66
  4. ^ Miller, p. 67
  5. ^ "Ancient Origins". The Times/The Sunday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March 2007. Retrieved 29 October 2006.
  6. ^ Miller, p. 68
  7. ^ Tricard, Louise Mead (1 July 1996). American Women's Track & Field: A History, 1895 Through 1980. McFarland & Company. pp. 60–61. ISBN 0-7864-0219-9.
  8. ^ Nag, Utathya (30 April 2022). "Long jump: Know how it works, rules, history and world records". olympic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May 2022. Retrieved 14 June 2022.
  9. ^ Reid, Ron (29 July 1974). "The Flip That Led To A Flap". Sports Illustrate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February 2014.
  10. ^ Ward-Smith, A. J. (1986). "Altitude and wind effects on long jump performance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world record established by Bob Beamon". Journal of Sports Sciences. 4 (2): 89–99. doi:10.1080/02640418608732104. PMID 3586109.
  11. ^ Pedroso may lose record. The Victoria Advocate (4 August 1995).
  12. ^ "Men's Outdoor Long Jump Records". worldathletics.org. World Athletics. Retrieved 1 February 2020.
  13. ^ "Women's Outdoor Long Jump Records". worldathletics.org. World Athletics. Retrieved 1 February 2020.
  14. ^ "Men's Indoor Long Jump Records". worldathletics.org. World Athletics. Retrieved 17 September 2020.
  15. ^ "Women's Indoor Long Jump Records". worldathletics.org. World Athletics. Retrieved 17 September 2020.
  16. ^ a b Long Jump – men – senior – outdoor. IAAF. Retrieved on 25 January 2014.
  17. ^ Mulkeen, Jon (30 June 2018). "Echevarria extends long jump world lead to 8.68m in Bad Langensalza". IAAF. Retrieved 12 July 2018.
  18. ^ "086 Final Men Senior LongJump". asaseniors.co.za. 22 April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June 2017. Retrieved 22 April 2017.
  19. ^ "Tentoglou bounds out to 8.60m in Kallithea". European Athletics. 26 May 2021. Retrieved 16 June 2022.
  20. ^ Jordan, Roy (4 July 2016). "Six world leads on third day of US Olympic Trials". IAAF. Retrieved 4 July 2016.
  21. ^ a b Long Jump – women – senior – outdoor. IAAF. Retrieved on 25 January 2014.
  22. ^ Jordan, Roy (3 July 2016). "Reese's big leap highlights early action at US Olympic Trials". IAAF. Retrieved 3 July 2016.
  23. ^ "Doha 2019 – Women – Long Jump – Final – Results" (PDF). IAAF. 6 October 2019. Retrieved 7 October 2019.
  24. ^ "Rio 2016 – Women – Long Jump – Final – Results" (PDF). Rio 2016 official website. 17 August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 September 2016. Retrieved 18 August 2016.
  25. ^ Mulkeen, Jon (30 May 2021). "Brume and Malone break records in Chula Vista". worldathletics.org. World Athletics. Retrieved 20 June 2021.
  26. ^ a b "Long Jump – men – senior – indoor". worldathletics.org. World Athletics. Retrieved 6 December 2021.
  27. ^ a b "Belgrade 2022 – Men – Long Jump – Results" (PDF). World Athletics. 18 March 2022. Retrieved 18 March 2022.
  28. ^ a b "Long Jump – women – senior – indoor". worldathletics.org. World Athletics. Retrieved 13 December 2021.
  29. ^ "US long jumper Shinnick retroactively recognised as world record-breaker World Athletics". www.worldathletics.org. World Athletics. Retrieved 28 June 2021.
  30. ^ "BOSTON LEAPS 27-5; Breaks Own Record -- Connolly Hits 233-2 in Hammer Throw". The New York Times. 30 May 1960. Retrieved 16 September 2021.

Cited sources

Further reading

External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