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버른의 2인자 윌리엄 램
William Lamb, 2nd Viscount Melbourne더 바이스카운트 멜버른 | |
---|---|
![]() | |
영국의 총리 | |
재직중 1835년 4월 18일 – 1841년 8월 30일 | |
모나크 | |
선행자 | 로버트 필 |
성공자 | 로버트 필 |
재직중 1834년 7월 16일 – 1834년 11월 14일 | |
모나크 | 윌리엄 4세 |
선행자 | 얼 그레이 |
성공자 | 웰링턴 공작 |
야당의 지도자 | |
재직중 1841년 8월 30일 – 1842년 10월 | |
선행자 | 로버트 필 |
성공자 | 존 러셀 경 |
재직중 1834년 11월 14일 – 1835년 4월 18일 | |
선행자 | 웰링턴 공작 |
성공자 | 로버트 필 |
하원 의장 | |
재직중 1835년 4월 18일 – 1841년 8월 30일 | |
선행자 | 웰링턴 공작 |
성공자 | 웰링턴 공작 |
재직중 1834년 7월 16일 – 1834년 11월 14일 | |
선행자 | 얼 그레이 |
성공자 | 웰링턴 공작 |
내무장관 | |
재직중 1830년 11월 22일 – 1834년 7월 16일 | |
선행자 | 로버트 필 |
성공자 | 더 비스카운트 던캐논 |
아일랜드의 장관 | |
재직중 1827년 4월 29일 – 1828년 6월 21일 | |
선행자 | 헨리 굴번 |
성공자 | 프란시스 르베송 가워 경 |
개인내역 | |
태어난 | 영국 런던 | 15 1779년 3월
죽은 | 1848년 11월 24일 영국 허트퍼드셔 주 브로켓 홀 | (69)
휴게소 | 세인트 에델드레다 교회, 해트필드 |
정당 | 휘그 |
배우자 | |
아이들. | 2 |
상위 항목 | |
교육 | 이튼 칼리지 |
모교 | |
서명 | ![]() |
제2의 바이스카운트 멜버른, PC, PC, PC (Ire), FRS (1779년 3월 15일 ~ 1848년 11월 24일)[1]는 헨리 윌리엄 램이라고 불리는 일부 출처들에서 내무장관(1830–1834)과 총리(1835–1841년)를 역임한 영국의 휘그 정치인이었다.[2][3]그의 첫 총리직은 1834년 윌리엄 4세 왕에 의해 해임되면서 끝났는데, 이는 군주에 의해 해임된 마지막 영국 총리였다.5개월 후 그는 다시 임명되어 빅토리아 여왕 시대에 6년 더 복무했다.그는 여왕의 개인 비서 역할을 거의 하면서, 정치적 방법으로 여왕을 지도하는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역사학자들은 멜버른이 처리해야 할 큰 외전이나 국내 문제가 없었고 빅토리아 집권 초기에 여러 가지 정치적 스캔들에 연루되었기 때문에 멜버른의 임기를 총리로서 호의적으로 평가하지 않는다.
초년기
1779년 런던에서 귀족 휘그 가문에서 태어난 윌리엄 램은 제1대 바이스카운트 멜버른과 엘리자베스의 아들이었다.그러나 그의 친자아버지는 상당히 닮았다고 여겨지는 제3대 에그레몬트 백작 조지 윈덤의 덕택으로 의심받았고, 그의 거주지인 페트워스 램은 백작이 죽을 때까지 방문자였다. 에그레몬트가 죽었을 때 램은 에그레몬트의 머리맡으로 불려갔다.[4][5][6]그럼에도 불구하고 램은 에그레몬트가 그의 아버지가 되는 것은 '모두 거짓말'이라고 진술했다.[7]
동생 프레데릭과 함께 존 밀러[8] 교수의 상주 제자로 캠브리지 주 트리니티 칼리지 이튼(Eton), 케임브리지(A.A. 1796년, M.A. 1799년[2] 졸업)과 글래스고 대학교(1799년–1801년)에서 교육을 받았다.[9]1797년 링컨의 여관에 입회한 그는 1804년 법원으로 불려갔다.[2]나폴레옹 전쟁의 배경에 반하여 램은 허트포드샤이어 의용 보병대에서 대위(1803)와 소령(1804)을 역임하였다.[10]
그는 1805년(그리고 의용[11] 보병에서 임무를 사임할 때 미들랜드 부대 대장 헤르트포드셔 여만리)의 후계자로 형의 뒤를 이어 영국-이리쉬 귀족인 레이디 캐롤라인 폰슨비와 결혼했다.이듬해 그는 영국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어 레오민스터의 Whig MP로 선출되었다.1806년 선거를 위해 그는 해딩턴 버그스의 의석으로 자리를 옮겼고, 1807년 선거를 위해 그는 성공적으로 포탈링턴을 지지했다.[12]
램은 아내가 바이런 경과 공적인 관계를 가졌다는 것, 즉 바이런 경을 "미치고, 나쁘고, 알기에는 위험하다"는 유명한 성격을 만들어냈다는 이유로 처음 일반에 알려지게 되었다.[13]그 결과 일어난 스캔들은 1812년 영국의 화제였다.1816년 레이디 캐롤라인은 고딕 소설 글레나본(Glenarvon)을 출판했다. 이것은 윌리엄과의 결혼과 그녀의 관계를 무시무시한 방식으로 묘사했고, 이것은 윌리엄을 더욱 당혹스럽게 만들었고, 반면 주요 사회 인물들의 악의에 찬 캐리커처들은 그들을 몇 명의 영향력 있는 적으로 만들었다.결국 두 사람은 화해하게 되었고, 비록 1825년에 헤어졌지만, 1828년 그녀의 죽음은 그에게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
초기 정치
국회의원
1816년, 램은 휘그 그랜지 피츠윌리엄 경에 의해 피터버러로 돌아왔다.그는 네덜란드 영주에게 자신은 영광스러운 혁명의 휘그 원칙에 충실하지만 "현대적인 추가, 보간, 사실, 소설"에는 전념하지 않겠다고 말했다.[12]따라서 그는 의회 개혁에 반대 의사를 밝혔고, 1817년 반란이 일어나자 하베아스 코퍼스의 중단에 찬성했다.[12]
램의 표식은 중간 지점을 찾는 것이었다.휘그인 그는 조지 캐닝과 고데리히 경의 온건한 토리당 정부의 아일랜드 장관직(1827년 4월 29일)을 수락했다.1828년 아버지가 사망하고 카반 카운티 킬모어의 제2대 바이스카운트 멜버른이 되자, 그는 상원의원으로 이사했다.그는 주로 백벤처로서 25년을 하원에서 보냈으며 정치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았다.[14]
내무장관: 1830–1834
1830년 11월, 휘그족은 그레이 경의 휘하에 권력을 잡았다.멜버른은 내무 장관이었다.1830-32년의 소요 기간 동안 그는 "힘차고 예민하게 행동했고, 그의 개혁적인 동료들이 진심으로 그에게 감사한 것은 이 기능을 위한 것"이었다.[12]1830~31년의 스윙 폭동의 여파로, 그는 토리당 치안 판사의 경계심에 대항하여 군사력에 의존하는 것을 거절했다. 대신, 그는 치안 판사의 평상시 권력이 완전히 집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했고, 폭도와 폭도들의 체포에 대한 특별 순경과 재정적 보상도 함께 주장했다.그는 특별 위원회를 임명하여 약 1,000명의 체포된 사람들을 재판하도록 했으며, 3분의 1은 무죄로 판결되고 5분의 1은 사형선고를 받은 대신 이송되었다.[12]당시 '머시어 라이징'의 시위자였던 딕 펜더린 교수에 대한 무죄판결이 내려진 것과 관련해 여전히 논란이 남아 있다.그는 '예'를 세우기 위해 피해자를 찾았다는 멜버른의 말로만 처형된 것으로 보인다.[15]1831년–32년 개혁에 대한 소동은 통상적인 법률의 시행으로 반박되었다. 다시 멜버른은 반정부 시위를 반대하는 긴급 법안을 통과시키기를 거부했다.[12]
총리: 1834, 1835–1841
1834년 7월 그레이 경이 총리직을 사임한 후, 토리당이 정부를 지원할 만큼 강하지 못했기 때문에 윌리엄 4세는 그를 대신할 또 다른 휘그를 임명할 수밖에 없었다.멜버른은 왕이 받아들일 가능성이 가장 높고 휘그 파티를 함께 열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사람이었다.멜버른은 그레이로부터 왕으로부터 정부 구성을 논의하기 위해 그를 방문해 달라는 편지를 받은 후 망설였다.멜버른은 프리미어 사무실과 동행하는 여분의 일을 즐기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친구들과 파티를 실망시키고 싶지 않았다.찰스 그레빌에 따르면 멜버른은 비서 톰 영에게 이렇게 말했다. "나는 그것이 저주받은 지루한 일이라고 생각한다.나는 무엇을 해야 할지 많은 생각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영은 이렇게 대답했다. "왜, 빌어먹을, 그런 자리는 그리스나 로마인 어느 누구도 차지하지 못했는데, 만약 그것이 3개월만 지속된다면, 영국의 수상[sic]이 되는 것은 가치가 있을 것이다.멜버른은 "하느님 맙소사, 그건 사실이야"라며 "내가 갈게!"[16]
타협은 멜버른의 많은 행동의 열쇠였다.그는 휘그족이 제안한 개혁법 1832년에 반대하면서 가톨릭 해방이 기대했던 평온으로 끝나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17] 혁명의 위협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데 마지못해 동의했다.이후 그는 천주교 해방이 실패했을 뿐만 아니라 개혁법이 국민의 상태를 개선하지 못했다고 주장하며 옥수수법 폐지에 반대했다.[17]멜버른 역시 영국의 노예제 폐지를 '대단한 어리석음'이라고 부르며 노예제도에 대한 강력한 지지자였고, 만약 그가 (많은 휘그들이 원하는 것과는 반대로) 자기 마음대로 했다면 그는 "전혀 아무것도 하지 않았을 것"[18]이라고 말했다.
윌리엄 4세는 휘그 일가의 개혁 방식에 반대하여 11월에 멜버른을 해임하게 되었다.그리고 나서 그는 로버트 필 경 휘하의 토리당에게 정부를 구성할 기회를 주었다.펠이 결과적으로 치러진 총선(1835년 1월)에서 하원 다수당을 얻지 못한 것은 그가 통치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었고, 휘그족은 그해 4월 멜버른 밑에서 다시 집권했다.영국 군주가 자신의 기호에 맞게 정부를 임명하려 한 것은 이번이 마지막이었다.[19]
협박
이듬해 멜버른은 다시 한번 성추문에 휘말렸다.이번에 그는 친한 친구인 사회 미녀이자 작가인 캐롤라인 노튼의 남편으로부터 공갈 미수의 희생양이 되었다.남편은 1400파운드를 요구했고, 거절당하자 멜버른이 아내와 바람을 피웠다고 비난했다.[20]당시 이런 스캔들은 주요 정치인을 탈선시키기에 충분했으므로 멜버른 정부가 무너지지 않은 것은 그의 청렴성에 대한 동시대인들의 존경의 척도다.왕과 웰링턴 공작은 그에게 수상으로 남아 있으라고 권했다.노튼이 법정에서 실패한 후, 멜버른은 정당성을 인정받았지만, 노튼과 만나는 것을 그만두었다.[21]
하지만 역사가 보이드 힐튼은 "멜버른의 사생활이 문제가 있었다는 것은 반박할 수 없는 사실이다.귀족 부인들과의 체벌은 해가 되지 않았고 고아 소녀들에게 가해진 채찍질도 자선의 대상으로 삼은 것은 아니었다."[22]
빅토리아 여왕
멜버른은 빅토리아 여왕이 왕위에 올랐을 때 총리였다(1837년 6월).겨우 열여덟 살이었던 그녀는 어머니인 켄트 공작부인과 어머니의 조언자인 존 콘로이 경의 지배적인 영향에서 막 벗어나고 있을 뿐이었다.그 후 4년 동안 멜버른은 그녀에게 정치술을 가르쳤고, 두 사람은 친구가 되었다.빅토리아는 그를 아버지(그녀는 생후 8개월에 죽었고), 멜버른의 아들은 어린 나이에 죽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23]멜버른은 윈저 캐슬에 있는 개인 아파트를 얻었고, 빅토리아가 40세 연상인 멜버른과 결혼할 것이라는 근거 없는 소문이 한동안 돌았다.빅토리아 튜터링은 멜버른 경력의 클라이맥스였는데, 수상은 하루 4~5시간씩 방문하여 그녀에게 편지를 쓰면서 보냈고, 그녀는 열성으로 응답했다.[24]
멜버른 경의 빅토리아 과외는 두 가지 심각한 정치적 피해 지경에 이르렀다. 첫째, 레이디 플로라 헤이스팅스 사건,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베드 챔버 위기가 뒤따랐다.빅토리아의 명성은 1839년 궁중 음모에서 어머니의 시녀 중 한 명인 헤이스팅스가 존 콘로이 경에 의해 혼외임신이라는 소문이 널리 퍼진 복부성장을 일으켰을 때 타격을 받았다.[25]빅토리아는 멜버른 경이 그랬던 것처럼 그 소문을 믿었다.[25]빅토리아가 멜버른에게 자신의 의혹을 말하자 그는 그녀의 머릿속에 빅토리아의 어머니 켄트 공작부인이 콘로이와의 친밀함을 질투하고 있다고 심었고, 그로 인해 빅토리아는 흥분하고 그 문제에 대해 더욱 단호해졌다.[26]처음에 멜버른은 헤이스팅스의 신체 변화에 대해 "조용한 주의"를 제안했다.[26]그러나 법정 의사인 제임스 클라크 경은 헤이스팅스를 진찰하고 일반적으로 그녀가 임신하지 않았다고 결론을 내린 후, 멜버른은 완전히 헤이스팅스가 임신중임에도 불구하고 처녀성의 출현에 대해 한 즉흥적인 논평을 듣고 임신중임에 틀림없다고 설득당했다.멜버른은 즉시 여왕에게 알렸다.빅토리아가 그에게 헤이스팅스가 "너무 아팠기 때문에 한동안 사람들 앞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고 말하자 멜버른은 여왕이 '심각한 웃음'이라고 표현한 것을 두고 "심각한 웃음"이라고 되뇌었다.'" [27]
차티즘은 1838년 인민헌장에서 그 이름을 따왔으며, 의회 개혁을 위한 노동자 계층 운동이었다.차티스트들은 또한 1834년의 새로운 가난한 법에 대항하여 싸웠다.1839년 6월 노동자 130만명이 서명한 청원서가 하원에 제출되었으나, 하원의원들은 청원자들의 말을 듣지 않기로 투표하였다.
1837–1838년의 반란으로 인해 영국령 더럼 경의 북아메리카 문제에 관한 보고서와 1840년 새로운 정치적 실체인 캐나다 주를 설립한 영국령 북아메리카 법으로 직접 이어졌다.
멜버른 휘그 내각은 1839년 10월 1일 영국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중국에 원정군을 파견하기로 결정했다.제1차 아편전쟁은 1839년부터 1842년까지 중국과 영국 사이에 벌어졌는데, 그 전쟁의 결과 중 하나는 홍콩을 영국에 양도하고 영국의 왕관 식민지가 되는 것이었다.
제1차 영국-아프간 전쟁은 1839년에서 1842년 사이에 일어났다.분쟁 초기에는 동인도 회사군이 아프간 에미르의 군대를 격파하고 1839년 카불을 점령했다.
웨탕기 조약은 1840년 2월 6일 영국 왕관과 마오리 족장 대표들에 의해 체결되었다.1840년 11월 빅토리아 여왕에 의해 왕실 헌장이 서명되어 뉴질랜드를 크라운 식민지로 설립하였다.[28]
룰앤사퇴직
![]() | 이 섹션은 검증을 위해 추가 인용구가 필요하다.(2017년 1월) (이 를 과 시기 |
1839년 5월 7일 멜버른은 사임 의사를 밝혔다.이것은 베드 챔버의 위기로 이어졌다.로버트 필 총리 지명자는 빅토리아가 자신의 측근을 구성하고 있는 휘그 하원의원의 부인들과 딸들을 해임해 줄 것을 요청하면서, 빅토리아는 권력이 없는 정당에 대한 호의적인 기미를 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여왕은 펠이 여왕의 모든 부인들의 사임을 요청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몰랐지만 멜버른의 지원을 받아 이를 거절했고, 따라서 펠은 새 정부 구성을 거부했고 멜버른은 총리직을 유지하도록 설득되었다.[29]
그의 정부의 행위 중에는 자본 범죄의 감소, 지방 정부의 개혁, 그리고 가난한 법률의 개혁이 있었다.이것은 가난한 사람들에게 구제를 허용하는 조건을 제한하고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노동 주택에 의무적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citation needed]
1841년 2월 25일 멜버른은 왕립학회 회원으로 입학하였다.[30]
보수당 하원의원 존 스튜어트-워틀리가 발의한 불신임 투표에 이어 멜버른 정부가 몰락했고, 그는 1841년 8월 30일 총리직을 사임했다.[31]
만년: 1841–1848

1841년 8월 멜버른이 영구적으로 사임한 후 빅토리아는 정치적 문제에 대해 그에게 계속 편지를 썼지만, 시간이 흐른 후 그들의 편지가 아무런 문제 없이 우호적이고 비정치적이 되어 부적절하다고 여겨졌다.[32]빅토리아가 새로운 남편 앨버트 왕자에게 점점 더 의존하면서 멜버른의 역할이 희미해진다는 것이 관찰되었다.[citation needed]멜버른은 쇠약해졌지만 정치에서 떠난 지 14개월 만인 1842년 10월 23일 뇌졸중으로 살아남았다.[33]은퇴 후, 그는 허트포드샤이어의 브로켓 홀에서 살았다.그는 1848년[34] 11월 24일 집에서 사망했으며, 헤르트포드셔 주 해트필드의 세인트 에델드레다 교회에서 가까운 곳에 묻혔다.[35]성 바울 성당에 그의 기념비가 있다.[36]
그의 죽음과 함께 그의 아들 조지 아우구스투스 프레데릭(1807–1836)과 미숙녀(1809년생, 출생시 사망)가 모두 그를 앞지르게 되면서 그의 작위는 동생 프레데릭에게 넘어갔다.[citation needed]
레거시
- 호주 빅토리아 주의 수도인 멜버른은 1837년 3월 그의 영예로 이름이 지어졌다.그는 당시 영국의 수상이었다.[37][38]
- 남극 대륙의 스트라토볼카노인 멜버른 산도 1841년 영국 해군 장교 겸 탐험가 제임스 클라크 로스에 의해 그의 영예로 명명되었다.[39]
문학에서.
1836년에 출판된 레티티아 엘리자베스 랜든의 시 멜버른 경은 그녀가 스스로 어떤 정치적 논평을 허락한 드문 사례 중 하나이다.
![]() | Wikisource는 이 기사와 관련된 원본 텍스트를 가지고 있다: |
대중문화에서
- 스크린에서 멜버른 경은 여러 배우들에 의해 그려졌다.
메모들
- ^ 웨스트민스터 자유 내의 세인트 제임스 교구의 출생과 세례 목록. 1761-1786. 1779년 4월 11일.
- ^ a b c "Lamb, the Hon. Henry William (LM796HW)". A Cambridge Alumni Database. University of Cambridge.
- ^ Arnold-Baker, Charles (2001). The Companion to British History. Psychology Press. p. 875. ISBN 9780415185837. Retrieved 9 July 2019.
- ^ "LAMB, Hon. William (1779-1848), of Brocket Hall, Herts. History of Parliament Online".
- ^ 페트워스- 1660년부터 현재까지, The Window Press, 2006, 페이지 62–63
- ^ Dick Leonard. Nineteenth-Century British Premiers. pp. 163–179. doi:10.1057/9780230227255_12. ISBN 9780230227255. Retrieved 14 October 2018.
- ^ 멜버른 경, 1779–1848, L. G. 미첼,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1997, 페이지 6–7
- ^ Torrens, William McCullach (1878). Memoirs of the Right Honourable William, Second Viscount Melbourne. Vol. 1. London: Macmillan. p. 39. Retrieved 28 June 2019.
- ^ Lehmann, William C. (1960). John Millar of Glasgow 1735–1801.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37–38. Retrieved 28 June 2019.
- ^ [1] R.G.에 의한 의회 기사.쏘른
- ^ LT-Col J.D.세인즈베리, 더 허트포드셔 여만리: 일러스트레이티드 히스토리 1794–1920, 웰윈: 하트 북스/허트포드셔 여만리와 포병 역사 신탁, 1994, ISBN 0-948527-03-X, 페이지 35.
- ^ a b c d e f 피터 맨들러, "램, 윌리엄, 제2의 바이스카운트 멜버른(1779–1848)," 옥스포드 국립 전기 사전,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2004년 9월; 온라인 에든, 2008년 1월, 2009년 12월 27일에 접속했다.
- ^ "Ireland: Poetic justice at home of Byron's exiled lover". The Sunday Times. London. 17 November 200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July 2012. Retrieved 21 February 2010.
'Mad, bad and dangerous to know' has become Lord Byron’s lasting epitaph. Lady Caroline Lamb coined the phrase after her first meeting with the poet at a society event in 1812.
- ^ 헨리 던클리, 멜버른 경 p 135
- ^ "Wales Online:Trade unions to mark the legacy of Dic Penderyn and the Merthyr Uprising on 70-mile memorial walk: Robin Turner 2 August 2013: Accessed 12 August 2017".
- ^ Cecil, David (2001). The Young Melbourne & Lord M. W&N. p. 321. ISBN 9781842124970.
- ^ a b 세실, 데이비드, 멜버른, (인디아나폴리스, 1954), 페이지 422
- ^ 멜버른 경, 1779–1848, L. G. 미첼,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1997, 페이지 198
- ^ Newbould, I. D. C. (1976). "William IV and the Dismissal of the Whigs, 1834". Canadian Journal of History. 11 (3): 311–30. doi:10.3138/cjh.11.3.311.
- ^ Wroath, John (1998). Until They Are Seven, The Origins of Women's Legal Rights. Waterside Press. ISBN 1-872-870-57-0.
- ^ 데이비드 세실, 멜버른 (1954) ch 11
- ^ Boyd Hilton, A Mad, Bad and Dangerous People? 잉글랜드 1783–1846(2006), 페이지 500.
- ^ "History of William Lamb, 2nd Viscount Melbourne – GOV.UK". gov.uk. Retrieved 30 September 2016.
- ^ 세실, 멜버른 ch 14
- ^ a b 히베르트, 페이지 77-78; 웨이트라우브, 119-121
- ^ a b 웨이트라우브, 119번지
- ^ 히브버트, 페이지 79
- ^ "New Zealand officially becomes British colony". NZ History.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23 December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May 2017. Retrieved 25 July 2017.
- ^ "BBC - Radio 4 - This Sceptred Isle - The Bedchamber Crisis and Afghanistan". www.bbc.co.uk. Retrieved 14 July 2021.
- ^ "Lists of Royal Society Fello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January 2007. Retrieved 15 December 2006.
- ^ "Confidence in the Ministry—Adjourned Debate (Fifth Day)". Parliamentary Debates (Hansard). Vol. 58. House of Commons. 4 June 1841. col. 1121–47. Retrieved 20 February 2016.
- ^ 와인트라우브(1997), 페이지 131.
- ^ "Lord Melbourne Biography & Facts".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13 May 2020.
-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8권, 제11판
- ^ Hibbard, Scott David. "William Lamb, 2nd Viscount Melbourne". geni.com. geni.com. Retrieved 24 January 2017.
- ^ "성 바울 성당의 추억" 싱클레어, W. 462: 런던; 채프먼 & 홀, 1909.
- ^ Anonymous. "Short history of Melbourne". Only Melbourne. Only Melbourne. Retrieved 24 January 2017.
- ^ "History of the City of Melbourne" (PDF). City of Melbourne. November 1997. pp. 8–10. Retrieved 28 January 2017.
- ^ Ross, James Clark (2011) [1847]. A Voyage of Discovery and Research in the Southern and Antarctic Regions, During the Years 1839–43. Vol.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205. ISBN 9781108030854 – via Google Books.
- ^ "Victoria (TV Series 2016– )". IMDb. Retrieved 27 October 2018.
논문집
- Lloyd Charles Sanders, ed. (1889). Lord Melbourne's papers. London: Longmans, Green, and Company.
참고 문헌 목록
- Cecil, David (1954). Melbourne. London: Constable. 그의 심리에 초점을 맞춘 주요 전기.
- Cecil, David (1939). The Young Melbourne: And the Story of His Marriage with Caroline Lamb.
- Dunkley, Henry ("VERAX") (1890). Lord Melbourne.
- 히베르트, 크리스토퍼(2000년) 빅토리아 여왕: 개인사, 런던:하퍼콜린스, ISBN 0-00-638843-4
- Mandler, Peter (1 January 2008) [1 September 2004]. "Lamb, William, second Viscount Melbourne (1779–1848)".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nline ed.).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ref:odnb/15920. Retrieved 27 December 2009. (구독 또는 영국 공공도서관 회원 필요)
- Marshall, Dorothy (1975). Lord Melbourne. Weidenfeld & Nicolson. ISBN 978-0297767732.
- Mitchell, L. G. (1997). Lord Melbourne, 1779–1848.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205920.
- Newbould, I. D. C. (December 1976). "William IV and the Dismissal of the Whigs, 1834". Canadian Journal of History. 11 (3): 311–330. doi:10.3138/cjh.11.3.311.
- Newbould, Ian D. C. (1980). "Whiggery and the Dilemma of Reform: Liberals, Radicals, and the Melbourne Administration, 1835-9". Bulletin of the Institute of Historical Research. 53 (128): 229–241. doi:10.1111/j.1468-2281.1980.tb01745.x.
- Weintraub, Stanley (1997). Albert : uncrowned king. London: John Murray. ISBN 0-7195-5756-9. OCLC 36727394.
- Weintraub, Stanley (1987). Victoria : biography of a queen. London: Allen & Unwin. ISBN 978-0-04-923084-2. OCLC 15016119.
- Ziegler, Philip (1987). Melbourne: A Life of William Lamb, 2nd Viscount Melbourne. London: HarperCollins. ISBN 978-0-00-217957-7.
추가 읽기
- Hilton, Boyd (2006). A Mad, Bad, and Dangerous People? England 1783–1846. Oxford: Clarendon Press. ISBN 978-0199218912.
- Cameron, R. H. (1976). "The Melbourne Administration, the Liberals and the Crisis of 1841". Durham University Journal. 69 (1).
- 세실, 데이비드."멜본과 개혁의 해"History Today (1954년 8월) 4#8 페이지 529–536.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윌리엄 램, 제2의 바이스카운트 멜버른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 Wikiquote는 다음과 관련된 인용구를 가지고 있다: William Lamb, 2 Viscount Melbern. |
- Hansard 1803–2005: William Lamb의 의회 헌금
- Encyclopædia Britannica. Vol. 18 (11th ed.). 1911. p. 90. .
- 다우닝 스트리트 웹사이트에서 멜버른의 윌리엄 램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 히스토리카의 헤리티지 미니 비디오 다큐멘터리 드라마 "책임 있는 정부"(아도베 플래시 플레이어)
- "Archival material relating to William Lamb, 2nd Viscount Melbourne". UK National Archives.
- 런던의 국립 초상화 갤러리에 있는 멜버른 2대 번화가 윌리엄 램의 초상화
- 윌리엄의 악명 높은 아내 캐롤라인 부인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