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스트 디케이드(페루)
Lost Decade (Peru)잃어버린 10년 또는 80년대의 위기(La crisis de los 80)는 1980년대 내내 페루의 경제가 침체되어 10년 말까지 심각한 거시경제 위기로 악화되었다.[1] 중남미 전역의 외채 누적, 일련의 자연재해, 대량 공공지출, 은행과 금융기관의 국유화, 페루의 국제신용시장 폐쇄 등이 10년 동안의 거시경제 하락으로 이어졌다. 금융 위기는 곧 상품, 식량 부족, 대량 실업의 초인플레이션을 통해 공공 영역으로 채택되었다. 10년 말까지 페루의 국내총생산(GDP)은 20% 이상 줄어들었고 빈곤은 55%[2]까지 증가했다.
1980년대는 종종 페루에서 사회적, 경제적 위기의 결과로 "잃어버린 10년"으로 여겨진다. 이 위기의 결과로 페루 사람들의 큰 물결은 미국, 스페인, 이탈리아, 칠레, 베네수엘라, 아르헨티나 같은 나라로 이민을 갔다. 외환위기는 결국 알베르토 후지모리 대통령 취임 1년 동안, 대외채무 위기와 초인플레이션 해소를 시도한 일련의 경제개혁 끝에 진압되었다.[3]
직면한 경제 문제의 또 다른 부분은 페루 정부가 테러 단체, 특히 샤이닝 경로에 대한 투쟁과 그 단체로부터의 폭탄 공격의 피해 재구축(대개 교량, 철도선, 전력 설비를 포함)에 기인했다.[4]
원인들
상품가격하락 및 외채누적
1980년대 상반기 페루의 양대 수출품인 구리·은화 가치는 40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5] 1980년부터 1982년까지 구리 가격은 톤당 거의 3000달러에서 톤당 1300달러로 폭락했다. 1987년까지 구리의 가격은 톤당 1380달러로 오르는 데 그쳤다.[6] 게다가, 엘니뇨는 페루의 어업 경제를 황폐화시켰고, 리마 지역에 파괴적인 홍수와 가뭄을 초래했다. 페루의 수출가치가 하락하기 시작하자 페르난도 벨라운데 대통령은 집권 첫해부터 페루의 국제채무 상환을 제한하기 시작했다. 벨라운드는 주간 고속도로, 철도, 공항을 포함한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에 대한 페루의 투자를 계속 증가시켰고, 홍수 및 가뭄 원조에 대한 지출을 증가시켰으며, 따라서 페루의 연방 지출은 실질적으로 증가했다.
벨라운드는 페루와 남미 전역의 외채 증식 이후 국제통화기금(IMF)이 권고한 일련의 엄격한 긴축조치에 직면했다. 이 같은 조치는 공공지출 감소와 정부 세입 증대를 통해 페루 정부의 적자를 낮추기 위한 것이었다. 벨라운데는 자신의 행정부가 IMF가 권고한 긴축정책을 따르고 있다는 인상을 준 반면, 실제로는 빛나는 길가에 의해 페루의 고지대에서 테러가 증가하기 시작하자 부채 위기를 경시할 것이다. 그 결과 경제 스태그플레이션이 일어나기 시작했고 인플레이션이 60%까지 성장했다.
국제채권자손실
1983년까지 페루는 135억 달러(GDP의 77.8%)의 외채를 누적했고 국내총생산(GDP)은 20%나 붕괴됐다. 벨라운드는 그의 대통령직에 앞서 있었던 군사정권들, 특히 후안 벨라스코 알바라도와 프란시스코 모랄레스 베르무데스의 군사정권은 외국 은행들에 의해 수십억 달러를 빌리도록 설득당했다고 주장했다.
점점 커지는 압력에 직면한 벨라운드는 1984년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에게 자신의 파산한 행정부에 대한 도움을 요청하기 위한 마지막 노력으로 워싱턴을 방문했다. 백악관의 한 보좌관은 '레이건 대통령이 30분밖에 주지 않았다'고 논평하며 은행과 IMF가 윤곽을 드러낸 긴축정책을 벨라운데가 답습할 것을 제안했다.포퓰리즘은 성장하기 시작했고 국제통화기금은 페루 부채 위기의 희생양이 되었다.[7][8][9]
이 위기로 인한 포퓰리즘의 급증은 알란 가르시아 대통령 후보의 경제 제안으로 국제 투자자와 은행과의 페루의 경계를 줄이겠다는 제안을 선호했다. 그의 당선에 이어 가르시아는 리마에 있는 국제통화기금(IMF) 사무소의 폐쇄를 명령하고 페루 내 은행 등 금융기관의 국유화를 지시했다. 가상 디폴트로 간주되는 투자자들은 곧 페루에서 완전히 빠져나왔고 리마 증권거래소는 상당한 하락을 겪었다.
영향들
초인플레이션
통화변동
페루는 1985년부터 1990년까지 두 차례 통화를 바꿨다. 1985년 알란 가르시아 대통령은 페루 발바닥 1000개 가치를 지닌 단명 화폐인 페루 인티를 도입했다. 지폐는 처음에는 10, 50, 100 intis의 값으로 인쇄되었지만, 이후에는 초인플레이션이 계속되어 더 많은 양의 지폐가 인쇄되었다. 페루 인티스는 발행 부수가 끝날 때까지 5만, 10만, 그리고 500만 인티스의 지폐까지 인쇄되었다.
가르시아가 페루인들에게 페루 인티를 유통하고 신뢰하도록 장려하려 함에도 불구하고, 대중은 미국 달러를 교환하고 의존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고, 외환 통제와 페루 정부가 미국 달러와 똑같이 가치가 있는 별도의 통화인 달러 MUC의 사용을 이끌어냈다.인플레이션으로 페루 중앙은행이 파산했다.

1990년 페루의 통화는 인플레이션이 줄어들기 시작하면서 페루 인티에서 페루 누에보 솔로 다시 전환되었다. 페루 인티스와 100만 페루 인티스의 환율로 누에보 바닥을 교환하자는 정부안이 나왔다. 인플레이션이 계속 하락하여 새로운 통화의 유통과 일반 대중과의 신뢰성에 유리하게 기여했다.
페루의 인티스와 원래의 페루 솔은 1991년에 유통되지 않고 쫓겨났다. 2020년 현재 페루의 누에보 솔은 페루의 국화로 남아 있다.
물가인플레
1988년 페루 정부는 한달 평균 143.5%인 1722%의 소비자 물가가 올랐다고 발표했다.[9] 가르시아 행정부의 자급자족형 경제정책은 수입품 가격이 크게 올랐다. 의약품은 600% 가까이 올랐고 석유 가격은 4배 가까이 올랐다. 1988년 9월, 경제학자들은 인플레이션이 초인플레이션이 되었다고 선언했다. 중하류층은 곧 보호주의 정책의 후속 효과를 느끼기 시작했다. 페루는 원자재와 식량 부족을 경험했고 광공업의 오랜 파업으로 수출이 감소해 무역적자가 더욱 커지고 실업률이 증가했다.[10]
연도별 소비자물가상승률
출처:[11]
실업
1980년대 후반 페루의 재정정책은 페루를 국제시장에서 단절시켰다. 수출에서 공산품에 대한 수요가 줄자 제조업계가 인력 해고에 나섰다. 이 기간 동안 임금은 50% 이상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1980년대 후반에 실업률이 6%를 넘어섰는데, 이는 한국의 공식 및 비공식적인 사업 부문이다.[12][13]
거시경제
페루의 2010년 10년 초 국내 총생산은 647억 달러였다. 1990년까지 페루의 국내 총생산은 585억 달러로 평가절하되었다. 한국의 GDP가 1980년대보다 더 높은 수준에 도달하려면 1996년까지 걸릴 것이다.[14] GDP 성장률은 1980년부터 1990년까지 연평균 -0.72%를 기록했지만, 대부분은 불규칙했다. GDP 성장률은 1987년 9.7%로 정점을 찍은 뒤 1989년 -12.3%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1981년 1,203달러로 정점을 찍은 뒤 1988년 729달러로 세계 평균(3772달러)보다 크게 낮아졌다.[15] 1990년에 정부 부채는 GDP의 190%에 달했다.[16]
시민 불안과 혁명 운동
페루 전역의 단체들은 경제 위기를 자본주의 자유 시장 경제의 실패의 증거로 보았다. 사회주의 단체와 공산주의 단체들은 처음에는 벨라운데의 임기를 통해 생겨나기 시작했고, 곧 1985년까지 페루 농촌 인구의 힘과 후원을 증가시키기 시작했는데, 이는 페루의 중하층을 직접적으로 뒤흔든 실업과 초인플레이션으로 악화되었다.
자료에 따르면 1986년부터 1991년까지 가르시아와 후지모리 대통령 하에서 총파업과 폭동, 시위 등 전후에 비해 주요 사회 시위가 크게 증가했다. 초인플레이션의 해는 1988년과 1989년으로 페루에서 가장 많은 시위 활동이 있었던 해와 같은 해였다.[17]

빛나는 길과 MRTA와 같은 테러 단체들은 페루 경제를 사회주의로 전환시킴으로써 사회 하층계층에 대한 원조를 약속함으로써 대중의 지지를 증가시켰다. 많은 공산주의 단체들, 특히 빛나는 길은 경제 위기를 혁명을 옹호하는 기회로 이용했다.[19] '빛나는 길'에는 1989년까지 5000여 명의 상근 투사와 5만여 명에 가까운 동조자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됐다. 또한 1980년부터 1992년까지 빛나는 길(Shining Path)이 보여준 각종 폭력적인 공격과 폭탄 테러로 약 3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었다.[20]
특히 빛나는 길은 지도자 아비마엘 구즈만이 지역사회에 철학과 이념을 강의하고 그들의 지지와 헌신을 얻으면서 원주민들 사이에서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이 운동은 1970년 안데스 도시 아야쿠초에서 태어나 1980년 무장 폭동을 일으켰다.[4] 아야쿠초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글을 읽거나 쓸 수 없는 황폐한 토착 마을이었다. 구즈만이 수감되어 있는 동안 행해진 인터뷰에서 그는 "아야쿠초에서 농민들을 만나 발견하는 것이 가장 크고 가장 깊은 필요"라고 말했다.[21] 하급 사회 계층에 대한 생활 조건과 부정을 본 후, 그는 그룹을 결성하기로 결심하고 페루 공산당을 탈당했다. 그는 정부에 항의하기 위해 젊은 사람들과 저소득 지역 주민들 중 많은 사람들을 조직했고, 그들에게 공산주의 사상에 대해 가르쳤고, 그들을 교육 기관에 입학시키기 위해 노력했다.[20] 이를 통해 아야쿠초에서 대규모 지지층을 확보했다.
그 성공은 부분적으로 이 운동이 12년 동안 페루의 모든 지방으로 지속적으로 확산된 데 기인할 수 있다. 이 기구는 (페루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또한 라틴 아메리카 국가 중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지고 있는) 원주민들에 명백하게 초점을 맞추고 있는 가운데,[17] 엘리트주의와 백미주의 페루 문화에 대한 혐오감도 받아들였다. 그것이 페루 전역에 퍼졌고 빛나는 길은 많은 정부 관리들을 암살했기 때문에, 더 많은 시골 지역에서는 연방 정부의 통제가 거의 없었고, 따라서 빛나는 길의 통제를 주었다.[20]
시골과 토착 마을들이 그들의 땅에 빛나는 길을 받아들이지 않았을 때, 그들은 전형적으로 모두 살해되었다. 후기 연구들은 사회적으로 소외되거나 저소득층이었던 페루인들이 불균형적으로 샤이닝 경로로부터의 폭력의 희생자가 되어 사회의 심오한 인종적, 사회적 분열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2] 이로 인해 페루 원주민과 시골에서 리마와 같은 더 많은 도시 지역으로의 이주가 증가하게 되었는데, 전반적으로 너무 압도적이 되어 가르시아의 첫 대통령직 하에서는 피신처를 추구하는 사람들과 리마의 엘리트들을 물리적으로 나눌 수 있는 벽이 세워졌다.[23]
1992년 여름 후지모리의 테러에 대한 "단속"에 따라, 기록적인 자동차 폭탄 테러와 다른 형태의 폭력이 그의 발표에 직접적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기록되었다.[4]
빛나는 길과 같은 테러 단체들은 또한 정부가 새로운 위원회와 고문과 처벌의 기준을 부과하도록 이끌었다. 가르시아 대통령직 하에서도 민간인에 대한 고문 사용이 급증했으나 샤이닝 길이 폭력화된 지 5년 만인 1985년이 돼서야 시작됐다.[22] 그것은 페루 사람들에게 너무나 널리 퍼진 이슈와 우려가 되어 페루의 모든 지방의 불평이 유엔에 도움을 청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가르시아의 대통령 직속으로 1987년 페루 수사경찰의 특정 부서(대테러사단)가 건설되었다. 미 국무부가 실시한 보고서에 따르면 페루 경찰은 구금된 800명 이상의 학생들을 고문하고 학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앰네스티도 150명의 죄수 학살에 주목했고, 만약 죄수 한 명이 살아남았다면, 그들은 결국 고문을 당했다. 이번 사건만 해도 페루 경찰의 통제와 정부 하에서 611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테러대책본부의 본래 의도는 테러단체에 의해 피해를 입은 사람들에 대한 정의를 추구하는 것이었지만, 정부 역시 폭력에 가담했다는 것이 명백해졌다.[22]
레거시
이민
금융 위기가 일반 대중에게 미치는 명백한 장기적 영향은 페루에서 대규모의 외부 이주를 시작하도록 공인되어 있다. 1970년대에 페루로부터의 이민은 8만에서 9만 명의 페루인이었지만 1992년까지 이민은 35만 4천 명으로 증가하여 페루에서 미국, 아르헨티나, 스페인을 중심으로 매년 페루에서 빠져나왔다.[24] 페루로부터의 기록적인 이주는 21세기 초에 더 큰 파도를 일으켰는데, 이 때 이민은 거의 91만 명으로 증가했고 2007년에는 120만 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현재 미국에서 페루 출신 미국인의 39%가 평균 연령 46세로 20년 이상 미국에 거주했으며 이는 이민자의 대다수가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에 여행했다는 것을 의미한다.[25]
정치적 영향
후지모리 정권의 신자유주의적 경제개혁에 따른 1990년대 페루의 경제회복은 후지모리파의 대승이었다. 후지모리주의자들은 종종 이 회복을 후지모리의 재정 정책의 결과라고 언급해왔다. 반면, 가르시아와 그의 APRA 파벌은 1980년대 말 그의 임기 동안 경제 위기를 악화시킨 것으로 종종 인정받았다.
빛나는 길 지도자들의 체포는 후지모리 정권 시절 체포되었기 때문에 후지모리 대통령에 대한 개인들에 대한 분노도 불러일으켰다. 전국 TV 생방송에서 수감된 구즈만의 괴물을 '괴물'이라고 부르는 장면을 공개하고 나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4]85%에서 60%까지 그의 인기를 실감케 했다. 1993년, 구즈만은 그의 추종자들에게 페루 정부와 평화적으로 협상할 것을 공개적으로 말했다. 1992년부터 종신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이다.[20] 후지모리의 대통령직까지, 정치적 좌파는 권력을 잃고 회복된 권력을 샤이닝 경로에 의해 정치적으로 개발하거나 관여할 수 없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해당 지역사회의 어떤 정책 입안과 시민 참여에도 타격을 주었다.[17]
참고 항목
참조
- ^ Portocarrero M., Felipe (1989). "La economía peruana en los años 80". Repositorio de la Universidad del Pacífico - UP. ISSN 2223-1757.
- ^ "Historia de dos crisis". Instituto Peruano de Economía (in Spanish). 2017-08-14. Retrieved 2020-08-17.
- ^ Echeverría, Javier Iguiñiz (1987). "PERÚ: CRISIS ECONÓMICA Y DEMOCRACIA". Investigación Económica. 46 (179): 223–253. ISSN 0185-1667.
- ^ Jump up to: a b c d 브룩, 제임스 "페루에서 마오쩌둥 반군의 포악한 지도자 체포" 뉴욕타임즈. 1992년 9월 14일, 초. A. https://www.nytimes.com/1992/09/14/world/fugitive-leader-of-maoist-rebels-is-captured-By-the-police-in-peru.html.
- ^ Diehl, Jackson (1982-11-02). "Economic Crisis in Peru Threatens Belaunde's Development Projects". Washington Post. ISSN 0190-8286. Retrieved 2020-07-19.
- ^ "Copper". Market Index. Retrieved 2020-07-19.
- ^ Riding, Alan (1984-12-30). "Debt Is Undermining Democracy in Peru".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2020-07-19.
- ^ "Peru Asks IMF to Close Its Office There". Los Angeles Times. 1986-04-04. Retrieved 2020-07-19.
- ^ Jump up to: a b "Peru's Inflation Put at 1,722%". The New York Times. Associated Press. 1989-01-04. ISSN 0362-4331. Retrieved 2020-07-19.
- ^ PERÚ, NOTICIAS EL COMERCIO (2014-04-04). "Mirada de fondo: El fin de la hiperinflación peruana, por Iván Alonso NOTICIAS EL COMERCIO PERÚ". El Comercio Perú (in Spanish). Retrieved 2020-07-23.
- ^ "Inflation, consumer prices (annual %) - Peru Data". data.worldbank.org. Retrieved 2020-07-29.
- ^ "Unemployment, total (% of total labor force) (modeled ILO estimate) - Peru Data". data.worldbank.org. Retrieved 2020-08-10.
- ^ Riding, Alan (1989-05-14). "Peru Fights to Overcome Its Past".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2020-08-10.
- ^ "GDP (constant 2010 US$) - Peru Data". data.worldbank.org. Retrieved 2020-08-10.
- ^ "GDP per capita (current US$) - Peru, World Data". data.worldbank.org. Retrieved 2020-08-10.
- ^ "Central government debt, total (% of GDP) - Peru Data". data.worldbank.org. Retrieved 2020-08-10.
- ^ Jump up to: a b c 라이스, 로버타 "페루" 새로운 시위 정치에서: 중남미 신자유주의 시대의 원주민 동원, 87 101. 2012년 애리조나 대학 출판부. 2021년 2월 15일에 접속. http://www.jstor.org/stable/j.ctt181hxtw.11.
- ^ 라이스, 로버타 "페루" 새로운 시위 정치에서: 중남미 신자유주의 시대의 원주민 동원, 87 101. 2012년 애리조나 대학 출판부. 2021년 2월 15일에 접속. http://www.jstor.org/stable/j.ctt181hxtw.11.
- ^ "Looking back on Peru's Shining Path". The Economist. ISSN 0013-0613. Retrieved 2020-08-10.
- ^ Jump up to: a b c d "구즈만, 아비마엘(곤살로 동지)." 테러 참조 도서관. Encyclopedia.com. (2021년 1월 12일). https://www.encyclopedia.com/books/encyclopedias-almanacs-transcripts-and-maps/guzMan-abimael-comradegonzalo
- ^ 아비마엘 구즈만(Abimael Guzman)의 '독점' 발언. 세계문제 156, 1위(1993): 52+. 게일 인 컨텍스트: 세계사(2021년 2월 15일 접속) https://link.gale.com/apps/doc/A14627511/WHIC?u=lafa59078&sid=WHIC&xid=f2c412b5.
- ^ Jump up to: a b c 에레라, 나탈리, 톰 페그램. "페루." Carver Richard와 Handley Lisa가 쓴 <고문 방지법>은 299-334로 효과가 있다. 리버풀: 리버풀 대학 출판부, 2016. 2021년 2월 15일에 접속. http://www.jstor.org/stable/j.ctt1gpcbdt.16.
- ^ Janetsky, M. (2019) 리마의 '수치의 벽'과 장벽 건설 기술 대서양이요.https://www.theatlantic.com/international/archive/2019/09/peru-lima-wall/597085/#:~:text=%20 경계%20은 곧 %20%20이 오고, %20%20%20개 자치구를 통해 %20scar%20이 된다.
- ^ "Net migration - Peru Data". data.worldbank.org. Retrieved 2020-07-27.
- ^ "Hispanics of Peruvian Origin in the United States, 2013". Pew Research Center's Hispanic Trends Project. 2015-09-15. Retrieved 2020-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