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현실에서 길을 잃음

Lost in the New Real
새로운 현실에서 길을 잃음
Arjen Anthony Lucassen - Lost in the New Real.jpg
클라우디오 베르가민의 커버 아트
스튜디오 앨범
방출된2012년 4월 23일 (유럽)
2012년 5월 8일 (미국)[1]
장르.
길이90:20
라벨.
프로듀서아르젠 앤서니 루카센
아르젠 앤서니 루카센 연대기
슬픔의 웅덩이, 기쁨의 파도
(1994)
새로운 현실에서 길을 잃음
(2012)
Arjen Anthony Lucassen의 프로젝트 연표
근대의 희생자
(2010)
새로운 현실에서 길을 잃음
(2012)
만물의 이론
(2013)

Lost in the New Real》 (아르젠 앤서니 루카센의 Lost in the New Real)은 네덜란드작곡가, 프로듀서, 가수, 멀티 인스트루멘털리스트 아르젠 앤서니 루카센이 2012년 4월 23일에 발매한 두 번째 솔로 앨범이다.이 앨범은 루카센이 프로그레시브 메탈/ 오페라 프로젝트 에어레온으로 명성을 얻기 전 앤서니라는 이름으로 18년 전에 발매된 1993년 Pools of Sorrow, Waves of Joy 이후 첫 솔로 앨범이다.루카센은 모든 곡을 작곡하고 리드 보컬을 부르며 기타, 베이스, 키보드를 포함한 대부분의 악기를 직접 연주합니다.

Ayreon과 마찬가지로 콘셉트 앨범입니다.모든 것이 바뀐 먼 미래에 부활한 현대인 L씨(성우: 루카센)의 이야기를 따라간다.이 이야기는 아이리온 스토리라인의 일부가 아니지만, 같은 허구의 세계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미스터 L의 캐릭터는 이전에 01011001의 곡 "The Truth is Here"에 등장했고, 커버 아트는 아이리온 앨범 Universal Migrator Part 1: The Dream [1]Sequencer를 포함하고 있다.이 앨범에는 하우어가 [2]주연을 맡은 블레이드 러너에 등장하는 익명의 허구 거짓말탐지기 같은 장치와 관련하여 L씨의 심리 고문인 Voight-Kampff로 배우 Rutger Hauer가 부른 음성도 눈에 띈다.

뮤직비디오는 "핑크 비틀즈 인 어 퍼플 제플린"과 "E-police"를 위해 공개되었다.루카센은 또한 "Lost in the New Real"의 뮤직비디오를 공개했는데, 이 뮤직비디오는 실질적으로 앨범 소개의 역할을 하기도 했다.

줄거리.

의 이야기는 21세기 말기 질병으로 인해 임상적으로 사망하는 순간에 냉동 보존된 L씨의 이야기를 따라간다.이 앨범은 Mr. L이 먼 미래의 어느 시점에 부활하면서 시작되는데, 그 때 그의 병을 치료할 수 있을 만큼 기술이 발달했다.L씨는 무엇이 진짜이고 무엇이 가짜인지 더 이상 알 수 없을 정도로 급격히 변화한 세상에 살고 있음을 깨닫는다.

L씨의 임명된 심리 고문인 Voight-Kampff(하우어)는 그가 이 이상한 새로운 세상에 정서적으로 적응하도록 돕는 일을 맡고 있다.청취자는 L씨가 뉴 리얼의 진지함과 코믹함을 동시에 안고 있는 감정의 여정을 따라가, [3]그 속에서 의미 있는 장소를 찾을 수 있을지 필사적으로 고민한다.

Ayreon과의 접속

Lost in the New Real은 아이리온과 같은 우주와 시간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몇 가지 요소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루카센은 아이리온의 전설(거스를 수 없었다)은 아직 별개의 이야기라고 주장하지만, "아이리온의 전설과 연관이 있다"고 말했다.The The Theory of Everything이 Ayreon에게 신선한 출발이었기 때문에, Lost in the New Real은 1995년 The Final Experiment에서 시작된 가상의 우주와 스토리라인에서 일어난 마지막 루카센 앨범이었고, 2017년 The Source가 출시되기 전까지, 스토리라인의 전편에 해당한다.

커버 아트는 이전에 3장의 Ayreon 앨범에 수록되어 있던 디바이스인 Dream Sequencer를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Universal Migrator Part 1: The[1] Dream Sequencer의 커버와 동일하게 보입니다.

Mr. L은 이미 01011001의 아이리온 노래 "The Truth Is in Here"에 출연해 루카센의 목소리도 맡았다.그 노래는 아마도 로스트 리얼 사건 이전인 현재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진실은 여기 있다'에서 L씨는 '최종 실험', '전기성 으로', '인간 방정식' 등 여러 아이리온 이야기를 언급하고 있었다.

이 책자에서, "우리의 불완전한 종족"은 "외계 지성에 대한 지속적인 탐색에서, SETI는 마침내 일종의 이진 코드일 수 있는 신호를 감지했다"고 설명한다.우리와 접촉하려는 외계 생명체일까, 아니면 기이한 우연일까?이것은 01011001에 대한 언급으로, 몇 개의 아이리온 앨범에 등장하는 가상의 종족인 The Forever가 바이너리 코드의 형태로 조난 신호를 보낸다.

배경과 녹음

2011년 6월 13일, 루카센은 그의 다음 앨범이 솔로 앨범이 될 것이라고 발표하며, "저는 약 10년 동안 저 혼자 노래하면서 솔로 앨범을 녹음하고 싶었습니다.하지만 지금이 바로 그 때고, 저는 매우 영감을 느낍니다!"그는 그의 새 앨범을 "다양한 앨범"으로 정의하고 루터 하우어가 내레이터가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하우어는 루카센이 가장 좋아하는 [4]공상과학 영화인 1982년 컬트 영화 블레이드 러너에 출연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2012년 2월 8일 루카센의 웹사이트는 하우어가 "아젠과의 협업을 즐겼다"며 유럽과 [2]미국에서의 발매일을 알렸으며, 2012년 2월 23일 앨범 제목과 커버 아트가 [1]공개되었다.

프로페셔널 등급
점수 확인
원천순위
About.com[5]
주크박스:메탈[6]
미르 판타지키

접수처

미르 판타지키지는 로스트 뉴 리얼을 10점 만점에 10점으로 평가하며 "콘셉티즘의 걸작", "록의 고전적인 꽃"으로 평가했으며, 이후 2012년 최고의 공상과학/판타지 컨셉 앨범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트랙 리스트

모든 트랙은 Arjen Anthony Lucassen이 작곡했다.

CD 1[3]
No.제목길이
1.'더 뉴 리얼'6:24
2.핑크 비틀즈 인 퍼플 제플린3:36
3."부모 생육 허가서"5:03
4.'내가 1604세가 되면'2:30
5.'전자경찰'4:07
6."Don't switch me off" (스위치 오프 안 함)4:06
7.닥터 슬럼버 영원의 집3:51
8.옐로스톤 기념일3:31
9.'돼지가 나는 곳'3:47
10."새로운 현실에서 헤매다"10:19
11.'새로운 현실의 이면' (비디오)13:45
총 길이:47:00(표준)
CD 2[3]
No.제목길이
1.'불완전한 종족'6:27
2."머신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핑크 플로이드 커버)4:45
3."그럼 신은 없는 건가요?"4:41
4.'심령전쟁의 베테랑'(블루 외이스터 컬트 표지)4:34
5."소셜 은둔자'3:55
6.'Battle of Evermore' (레드 제플린 표지)5:28
7.'우주호텔'3:49
8."Some Other Time" (앨런 파슨스 프로젝트 표지)4:06
9."현실 영역에 진입했습니다"3:24
10.'나는 슬라임' (프랭크 자파 표지)2:53
11.'아트의 이면' (비디오)13:35
총 길이:43:20 (표준)

인사

뮤지션

  • Arjen Anthony Lucassen – 리드 보컬("Mr. L", 기타, 베이스, 키보드, 기타 악기
  • Rutger Hauer – 구어 보컬 ('Voight Campff')
  • Wilmer Waarbroek – "Parental Procreation Permit"에 대한 보컬, 불평
  • Ed Warby – 드럼
  • Rob Snijders – 드럼
  • Ben Mathot – 바이올린
  • 마아이케 페테르세 – 첼로
  • Jeroen Gossens – 플루트
  • Elvya Dulcimer – "The Battle of Evermore"의 여성 보컬, 망치 달린 둘시머
  • Gjalt Lucassen – "나는 슬라임" 메가폰

생산.

레퍼런스

  1. ^ a b c d "Arjen's solo album title and cover art revealed". Arjen A. Lucassen official website. 23 February 2012. Retrieved 23 February 2012.
  2. ^ a b "Rutger Hauer to guest on Arjen's solo album". Arjen A. Lucassen official website. 8 February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September 2012. Retrieved 10 February 2009.
  3. ^ a b c "Lost in the new Real page". Arjen A. Lucassen official websi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April 2012. Retrieved 1 April 2012.
  4. ^ "New project – Arjen Lucassen solo album – Arjen Lucassen". arjenlucassen.com. Retrieved 4 January 2018.
  5. ^ About.com 2012
  6. ^ "Jukebox:Metal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