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즈 애슬라니안
Louise Aslanian루이즈 애슬라니안 | |
---|---|
![]() | |
태어난 | 1904년 5월 5일 |
죽은 | 1945년 1월 30일 나치 독일 라벤스브뤼크 수용소 | (40세)
기타 이름 | Լուիզա Ասլանյան LAS(라이트) 매들린(정치인) |
직업 | 노동조합원, 작가, 시인, 정치 활동가 |
조직 | FTP-MOI |
정당 | 프랑스 공산당(1936년) |
움직임 | 프랑스 저항, 반파시즘 |
배우자 | 아르피아 아스라니아어 |
루이즈 애슬라니안(Louise Aslanian, Lass, Armenian: լուաաաաա;;;;;;;;;;;; 1904년 5월 30일 ~ 1945년 1월 30일)은 프랑스-아메니아 공산주의자 및 반파시스트 활동가, 작가, 소설가, 시인, 프랑스 저항의 저명한 인물이었다.
전기
초년기
루이즈 스라피오노브나 아스라니안(그리고리안)은 1904년 5월 5일 타브리즈(이란)에서 아르메니아의 부모인 사피온 그리고리아(네네 샤흐바지안)와 사이에서 태어났다. 루이스는 타브리즈에서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티플리스 러시아 체육관에서 공부를 계속했다. 그녀는 서정적인 시를 쓰면서 러시아어와 프랑스어의 문학 번역을 하면서 학교에서 문학의 재능을 보여주었다. 애슬라니안은 어려서부터 피아노를 치기 시작했다. 타브리즈로 돌아오자마자 1923년 그녀는 변호사 아르피아르 아스라니아인과 결혼했다.
프랑스에서의 삶
1923년 부부는 파리로 이주해 마니아와 아르샬루이스(루이스의 어머니와 누이)를 데리고 갔다. 파리에서 아스라니안은 피아노를 치면서 음악교육을 계속하고 싶었지만 돈이 없어 꿈을 접어야 했다. 그 대신 그녀는 소르본느 문과에 진학했다. 파리에서 그녀는 아르메니아-프랑스 작가 사회의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했고, 신문에서 일했으며, 문학계에서 지인을 얻어 'LAS'라는 필명을 얻었다.
20대 중반에 그녀는 프랑스-아메니아 언론에 "동전 수집", "철 와인 판매자", "습지" 등 몇 편의 단편 소설을 발표했다. 1928년에 그녀는 단편 소설집 "Khan"을 출판했다.
1935년에 그녀의 소설집 "Gtsits durs" ("Beyond the line")는 두 권으로 출판되었다[1].
1936년 아스라니안은 프랑스 공산당에 입당하여 아르메니아 신문 마누치안 '장구'와 협력하기 시작했다. 그녀는 또한 "새로운 삶"이라는 신문에서 일했다. 같은 해에 그녀는 그녀의 소설 "Kaskatsneri Uhquiner" ("의 방법 »)[2]를 두 권으로 출판했다(또한 1959년 아스라니안이 예레반에서 죽은 후 출판되었다).
1937년 라스는 아르메니아(HOC) 지원 위원회의 의장이 되었고 파리 아르메니아 여성 연합의 의장이 되었다. 아스라니안은 아르메니아 작가 연합의 회원이었다.[3]
프랑스 저항군
나치가 프랑스를 점령한 후 아스라니아인들은 1940년 프랑스 저항군에 가담했다. 헨리 카라얀('마누치안 그룹' 멤버)의 회고록에 따르면 루이즈가 1941년 말 결성된 프랑스 공산당 전투장에서 (프랑크 티루르스 외 파르티잔스)의 모집책이었다. 아스라니아인들도 지하 출판사에서 일하며 프랑스 저항군의 전투원들에게 무기를 공급하는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4] 라스는 프랑스 레지스탕스의 여성 사단을 개방하고 북프랑스의 아르메니아 저항군을 담당했다. 아스라니아인은 레지스탕스 활동가들과 관련이 있었다. 미작 마누치안, 멜리네 마누치안, 아르펜 타비티안, 아이크 드피리안, 샤그 타투리안 등. 프랑스 레지스탕스에서는 아스라니안을 "매들린"이라고 불렀다.[3] 레지스탕스 기간 동안, 아스라니아인들은 어린 찰스 아즈나부르에게[5] 수학과 체스를 가르쳤다.
체포, 강제 수용소, 죽음
1944년 7월 26일 두 명의 아스란인은 나치에 의해 프랑스에서 체포되었다. 체포는 그들의 가족과 이웃들이 그들의 거주지 (프랑스 파리, 8 루 데일릭스 10)에 있는 모습에서 일어났다. 그 커플은 프레즈 교도소에 수감되었다.
루이즈의 일기와 원고는 특히 『역사관 드 라 레지스탕스 »』와 『라 슈트 드 파리 »[6]를 포착하여 파기하였다.
1944년 8월 15일, 그들은 툴루즈에서 부헨발트로 끌려갔다. 그 후 아르피아는 도라미텔바우 수용소로 이송되었고 루이스는 라벤스브뤼크로 이송되어 1944년 9월 1일쯤 그곳에 도착했다.[7] 그녀는 캠프 넘버 57440을 배정받았다. 빠르면 1944년 9월 4일 루이스는 부첸발트 위성 캠프였던 라이프치히 인근의 공장 캠프 하사그에서 근무하게 되었다. 여기서 그녀는 4460이라는 번호로 등록되었다. 라스는 리즈 런던과 함께 이 캠프에서 열렸다. 아스탈리아인의 캠프 스탈락 IV-E 주둔에 관한 몇 가지 기록적인 정보가 있다.[8]
강제 수용소에 있는 동안, 아스라니아인은 "고트사라눔"("식물")과 미완성 시 "말라" (그녀의 소중한 4명의 이름: "M" — 엄마 마니아; A — 자매 아르샬루이스; "L" — 그녀, 루이즈; A — 남편 아르피아르)를 썼다.[9] 이 시는 그녀의 친구들 덕분에 보존되었다. 니콜 리츠와 리즈 런던.[10]
1945년 1월 27일, 루이즈가 라벤스브뤼크로 다시 끌려갔고, 그로부터 3일 후 알 수 없는 사정으로 사망했다. 1945년 2월 15일 남편 아르피아가 도라미텔바우 캠프에서 살해되었다.[11]
레거시
일기, 통신뿐 아니라 그녀의 생애 마지막 해의 원고들은 나치에 의해 완전히 파괴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녀의 초기 이야기와 소설만이 나치보다 오래 살았다. 그녀의 편지 몇 조각이 보존되어 있다. 마테나다란의 아라비아 펀드는 아스라니아인이 속해 있던 수피 테마가 있는 동양의 중세 미니어처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다.[12]
그녀의 작품에서, 라스는 그들 자신을 잃은 아르메니아 디아스포라 공동체의 삶에 대해 이야기 했다; 그들의 단결성과 지역 문화를 맹목적으로 따르는 것과 같은 후진적인 관습에 대해서. 그녀는 송환과 아르메니아와의 강한 연결고리와 관련된 독특한 발전 경로를 찾는 과정에서 국가 청렴의 회복을 차별성으로의 회귀로 보았다. 프랑스 공산당의 일원으로서 그녀는 소련의 업적을 선전했다. 그녀의 마지막 시구는 파시즘과의 투쟁과 파시즘에 대한 임박한 승리에 바쳐졌다.
소설
- 1936년 — "의문의 길"[2]
테일즈
- 1920 — "코인 컬렉션" »
- 1920 — "철 와인 판매자 »
- 1920년대 — "습지"
컬렉션
- 1928년 — "한"
- 1935년 — "선을 넘어"[1]
시
- 1944-1945 — "공장에서"
- 1944-1945 — "MALA"
역사 작품
- 1940년대 — "저항의 역사" 이 원고는 1944-1945년에 게슈타포에 의해 파괴된 것으로 간주된다.
- 1940년대 — "파리의 몰락". 이 원고는 1944-1945년에 게슈타포에 의해 파괴된 것으로 간주된다.
참고 항목
참조
- ^ a b 프랑스 국립도서관 카탈로그에 실린 이야기 모음집(프랑스어로)
- ^ a b 프랑스 국립도서관 카탈로그에 실린 소설 '의문의 길'(프랑스어로)
- ^ a b «갈스티안, K. S. "제2차 세계대전에 아르메니아인이 유럽에 참전했다는 어려움" 2005년 5월, 페이지 134-135 »(러시아어)
- ^ «레저항. 라피체 루즈 앙리 카라얀: re노르트그루프 é타이트 d카랑주 유럽" » L'Humanité, 21 Février, 2004(프랑스어로)
- ^ 샤를 아즈나부르: "미작 엣 멜리네 마누치안 에타이엔트 데 아미" » L'Humanité, 20 Février, 2014년(프랑스어로)
- ^ 보제리치안 D. "아르메니아 프랑 타이어러의 추억", 출판사 G. 도니키안 & 필스", 베이루트, 1974년, 페이지 28(아르메니아어로)
- ^ 『Le LIVERE-MEM des déportés de France arrétés par mesure de répression et dans 1940—1945 », Tome I, Fornation pour la mémoire de la déportation, «Tirésias », 2004, p.105-108(프랑스어로)
- ^ Im Archiv des Internationalen Suchdienstes (ITS) in Bad Arolsen (KL Ravensbrück: Ordner 2, Bl. 157, Namensliste v. 4.9.1944; Ordner 6, Namensliste v. 1.2.1945; Ordner 7, Namensliste v. 9.10.1944; KL Buchenwald: Ordner 265, Bl. 177 (Rs), Namensliste 대 26.10.1944; Ordner 274, Bl. 25, Namensliste 대 17.2.1945)(독일어로)
- ^ "Manouchian M. "Manouchian: A Prisoner Of Freedom", Publishing house "Aras", Istanbul, 2010, pp. 114-1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March 2018. Retrieved 17 March 2018.
- ^ 디디에 대닉스, « 미사크 », 페린, 2009년 ISBN 978-2266-20025-7, p.170(프랑스어)
- ^ 추방된 사람들의 기억기금 목록(프랑스어로)
- ^ 아미르베키얀, R. "동부 중세 미니어처(마테나다란, 예레반 컬렉션)" 이란과 코카서스, 제11권, 제11조, 제61-87호.(영어)
외부 링크
- 프랑스 저항군의 아르메니아인(프랑스어)
- 나치 강제 수용소 아롤센 자료실(영어)
- [[:HY:լսս ( իսաա ասա) )ս)) )ս)) ))))) 누구누구인가? 아르메니아인 전기 백과사전, 제1권, 예레반, 2005년 (아르메니아어)]
- 제2차 세계 대전 중 아르메니아 여성들의 공헌 (아르메니아어로)
- E. G. 미나산 "아르메니아 영웅적 여성", 2016년 예레반 주립대학교 출판사, 페이지 420-421 (아르메니아어)
- 호바키미얀, B. M. "아르메니아 필명사전" 2005년 예레반 주립대학 출판사, 페이지 185 (아르메니아어)
- 아르메니아(아르메니아어)의 문화 가치관에 있는 루이즈 애슬라니안(DAT. 1936년 5월 22일, DAT)의 편지 조각
- 디아스포라(Diaspora)의 전자 도서관, 단편 「Khan」(아르메니아어로)
- 디아스포라(Diaspora)부 전자도서관, 이야기 "스왑"(아르메니아어로)
- USSR의 주 저장소에 있는 개인 보관 기금(러시아어)
- 가장 유명한 아르메니아 여성은 군 인사(러시아어)이다.
- 아르메니아 모르츠가 프랑스어(프랑스어)를 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