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즈 존슨
Louise Johnson데임 루이즈 존슨 | |
---|---|
![]() | |
태어난 | 루이스 네이피어 존슨 )26 1940년 9월 |
죽은 | 2012년 9월 25일 | (71)
교육 | 윔블던 여자 고등학교 |
모교 |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BSC, 박사) |
로 알려져 있다. | 리소자임과 N-아세틸글루코사민의[1] 구조 발견 |
배우자 | (m.68; 1996년 사망) |
수상 | 대영제국 훈장 데임 지휘관 |
과학 경력 | |
기관 | 옥스퍼드 대학교 |
논문 | N-아세틸글루코사민 및 리소자임과의 관계에 대한 X선 결정학적 연구 (1965) |
박사학위 자문위원 | 데이비드 칠턴 필립스[2] |
기타학술고문 | 프레데릭 M. 리차드[3] |
박사과정 학생 | 데이비드 바퍼드 제니 마틴[필요하다] 데이비드 J. 오웬[4] |
DBE FRS(Dame Louise Napier Johnson, DBE FRS, 1940년 9월 26일 ~ 2012년[5] 9월 25일) 교수는 영국의 생화학자 및 단백질 결정학자였다. 그녀는 1990년부터 2007년까지 옥스퍼드 대학의 분자 생물물리학 교수 데이비드 필립스를 지냈고, 후에 명예 교수로 재직했다.[6]
교육
존슨은 1952년부터 1959년까지 윔블던 여자 고등학교에 다녔는데, 그 곳에서 여학생들은 과학을 공부하고 유용한 직업을 추구하도록 장려되었다. 그녀의 어머니는 1930년대 런던대학에서 생화학과 생리학을 읽었고 과학적인 직업을 추구하기로 한 존슨의 결정을 지지했다. 그녀는 1959년 런던대학에 가서 물리학을 읽었고 여자학교에서 온 그녀는 40학급의 4명의 여자아이들 중 한 명이라는 것을 알고 놀랐다.
그녀는 이론 물리학을 3년 옵션으로 선택했고 2.1학점을 받으며 졸업했다. 핵 에너지 당국 하웰에서 중성자 회절 문제에 관해 일하던 중, 휴가 기간 동안, 그녀는 런던 왕립 연구소에서 일하는 계기 과학자인 울리 아른트 박사를 만났다. 그녀는 그곳에서 일어난 일에 감명을 받았고 1962년에 왕립 연구소로 옮겨 생물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citation needed] 그녀의 대학원 감독관은 데이비드 칠튼 필립스였는데, 그의 팀은 리소자임 결정 구조를 연구하고 있었다.[citation needed] 그녀의 첫 번째 임무는 1년 안에 해결한 X선 회절을 이용하여 설탕 분자인 N-아세틸글루코사민의 구조를 결정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나서 그녀는 리소자임 단백질에 대한 기질 결합에 대한 연구로 옮겨갔고, 팀의 일원으로서 리소자임 효소의 구조를 발견했다; 이것은 X선 결정학에 의해 해결된 세 번째 단백질 구조였고, 첫 번째 효소였다. 그녀는 1965년에 박사학위를 받았다.[2]
경력
박사학위를 받은 후, 그녀는 프레데릭 M의 실험실로 옮겨갔다. 1966년 박사후 연구를 위해 예일대학교의 리차드. 예일대에서 그녀는 프레데릭 M과 함께 팀의 일원으로 일했다. 리차드와 할 와이코프는 그녀가 떠난 직후에 해결된 또 다른 효소 리보누클레이즈의 결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네 번째 단백질 구조가 해결되었다.[7]
예일대에서 박사 후기를 보낸 후, 그녀는 1967년 영국으로 돌아와 옥스퍼드 대학 동물학과의 학과 시승자 자리에 올랐다. 동물학 교수인 J.W.R. 프링글은 동물학에서 분자학으로 확장되는 것으로 보고, 분자생물물리학 교수로 데이비드 필립스를 옥스포드에 데려오는 데 일부 책임이 있었다. 존슨은 가르침과 독립적인 연구를 결합할 수 있었고 리소자임과 다른 효소에 대한 새로운 결정 연구에 대한 연구를 계속했다. 1972년에 그녀는 글리코겐 인산화효소의 결정체를 받았고 이것은 그녀의 연구 경력에 있어서 주요한 장의 시작이었다. 그녀는 리소자임보다 8배나 크고 당시 구조가 해결된 다른 단백질들보다 훨씬 큰 단백질에 대한 상세한 X선 결정학적 분석을 시작했다.
1973년 그녀는 옥스퍼드 소머빌 대학과 관련된 직책인 대학 강사로 임명되었다. 그녀는 대학의 추가 연구원이 되었고 자넷 본 강사가 되었다. 그녀는 이제 대학원생들과 박사후 연구원들로 구성된 팀을 확장할 수 있었다. 인산화효소 작업은 개발되었고 1978년까지 그 팀은 그것의 구조를 발견했고 그것의 생물학적 통제 특성을 연구할 수 있었다. 글리코겐인산화효소는 근육에서 발견되며, 글리코겐의 에너지 저장소를 동원하여 근육수축을 지속할 수 있는 연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휴식근육에서는 연료의 소모적인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효소를 끄지만 신경이나 호르몬 신호에 반응하여 거의 동시에 효소를 켜 에너지 공급을 발생시킨다. 그녀의 연구는 제어와 촉매 메커니즘의 생물학적 성질의 분자적 기초를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그녀의 팀은 Dresbury의 싱크로트론 방사선 소스에서 생성된 밝은 X선 선원을 사용했는데, 이 선원은 홈 소스로 얻을 수 없는 데이터를 제공했다.[7] 그녀는 1990-2007년 옥스퍼드 대학의 분자 생물물리학 교수 데이비드 필립스였다.
옥스퍼드에서 존슨의 실험실과 많은 다른 단백질 구조 연구를 하였고, 그녀는 100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 항목에 글리코겐 phosphorylase[8]고 세포 주기 CDK/cyclin complexes[9]의 많은 형태뿐만 아니라 최첨단 연구를 진행을 포함한 예금자를 해결했다, 그녀는 옥스포드에서 themsel crystallographers의 세대를 훈련시킨 수많은 직업을 키워 왔다.없vesw는 전 세계의 미래의 지도자들을 훈련시킨다.[10] 톰 블런델과 함께 그녀는 단백질 결정학에 관한 영향력 있는 교과서를 썼다.[11] 그녀는 2003–2008년 다이아몬드 광원 생명과학부장을 지냈고, 2008–2012년 다이아몬드 광원의 펠로우였다. 다이아몬드 광원(Diamond Light Source)은 옥스퍼드셔 하웰에 있는 영국의 국립 싱크로트론 시설이다.[12]
명예
그녀는 2003년에 대영제국 훈장 데임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citation needed] 그녀는 옥스퍼드 코퍼스 크리스티 칼리지의 펠로였고 옥스퍼드 소머빌 칼리지의 명예 펠로였다.[13] 그녀는 다음과 같은 많은 명예 학위를 받았다. Hon DSc University of St Andrews, 1992; Hon DSc University of Bath, 2004; Hon DSc Imperial College London, 2009; Hon DSc University of Cambridge, 2010. 그녀는 1990년에 왕립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2000년 제3세계과학아카데미 부원, 2011년 미국 국립과학아카데미 외국인 사원으로 선출되었다.[14][15]
사생활
루이즈 네이피어 존슨은 1940년 9월 26일 우스터주 사우스뱅크 요양원에서 당시 영국 공군에 복무하던 양모 브로커 조지 에드먼드 존슨(1904~1992)과 부인 엘리자베스 미나 네 킹(1914~1992)의 세 딸 중 둘째로 태어났다. 이 가족은 당시 우스터 인근 러시윅의 화이트 코티지(White Countain)에 살고 있었다.[16]
존슨은 1968년 파키스탄 이론물리학자 압두스 살람과 결혼했다.[5] 이후 그는 1979년 전기약통화에 관한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그들에게는 1974년에 태어난 아들과 1982년에 태어난 딸이라는 두 아이가 있었다. 존슨의 남편은 1996년에 죽었다. 그녀는 2012년 9월 25일 71세의 나이로 영국 케임브리지에서 사망했다.[17][5][18]
참조
- ^ Johnson, L. N.; Phillips, D. C. (1964). "Crystal Structure of N-Acetylglucosamine". Nature. 202 (4932): 588. Bibcode:1964Natur.202..588J. doi:10.1038/202588a0. PMID 14195059. S2CID 4277260.
- ^ Jump up to: a b Johnson, Louise Napier (1965). An X-ray crystallographic study of N-acetylglucosamine and its relation to lysozyme. london.ac.uk (PhD thesis). University of London. OCLC 1006071943.
- ^ "Fred Richards on Academic Tree".
- ^ Owen, David Jonathan (1994). Molecular studies on phosphorylase kinase. solo.bodleian.ox.ac.uk (DPhil thesis). University of Oxford. OCLC 55697925. EThOS uk.bl.ethos.240633.
- ^ Jump up to: a b c "ICTP – In Memoriam". Ictp.it. 26 September 194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November 2012. Retrieved 6 October 2012.
- ^ Sansom, M. (2012). "Louise Johnson (1940–2012)". Nature. 490 (7421): 488. Bibcode:2012Natur.490..488S. doi:10.1038/490488a. PMID 23099399.
- ^ Jump up to: a b L.N. Johnson의 논문과 함께 출판되지 않은 자전적 노트인 "Clever Women"은 옥스퍼드 대학 보들리언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 ^ Barford, D.; Johnson, L. N. (1989). "The allosteric transition of glycogen phosphorylase". Nature. 340 (6235): 609–616. Bibcode:1989Natur.340..609B. doi:10.1038/340609a0. PMID 2770867. S2CID 132865.
- ^ Honda, R.; Lowe, E. D.; Dubinina, E.; Skamnaki, V.; Cook, A.; Brown, N. R.; Johnson, L. N. (2005). "The structure of cyclin E1/CDK2: Implications for CDK2 activation and CDK2-independent roles". The EMBO Journal. 24 (3): 452–463. doi:10.1038/sj.emboj.7600554. PMC 548659. PMID 15660127.
- ^ "Louise Johnson Remembered". Department of Biochemistry, University of Oxford. Retrieved 20 April 2015.
- ^ Blundell, TL; Johnson, LN (1976), Protein Crystallography, Academic Press, ISBN 978-0121083502
- ^ 다이아몬드 광원.
- ^ University of Oxford (September 2009). "Professors Emeritus". University of Oxford Calendar 2009–2010. Oxford University Press. p. 203. ISBN 978-0-19-956692-1.
- ^ L.N. Johnson의 논문과 함께 2012년 L.N. Johnson의 옥스퍼드 대학교 보들리언 도서관에 보관된 서비스 오더
- ^ Staff (8 October 2012). "Obituaries: Professor Dame Louise Johnson". London: The Telegraph. Retrieved 22 October 2012.
- ^ 엘스페스 F. Garman, "Johnson, Dame Louise Napier (1940–2012)", 옥스퍼드 국립 전기 사전 (Oxford, 영국: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2016년 2월 21일 회수했다.
- ^ 랜싯 부고 2018년 1월 16일 회수
- ^ Tom Blundell (10 October 2012). "Dame Louise Johnson obituary guardian.co.uk". The Guardian. London. Retrieved 10 October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