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웰 S.갈색
Lowell S.로웰 S.갈색 | |
---|---|
태어난 | 1934 |
국적 | 미국인의 |
모교 |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
수상 | 구겐하임 재단 펠로 NSF 수석 박사 후 동료 NSF 박사후 동료 NSF 전임자 동료 |
과학 경력 | |
필드 | 양자장 이론 |
기관 | 예일 대학교 워싱턴 대학교 로스 알라모스 국립 연구소 |
박사학위 자문위원 | 줄리언 슈윙거 |
로웰 S. 브라운(Brown, 1934년 출생)은 미국의 이론 물리학자, 로스 알라모스 국립 연구소의 은퇴한 스태프 과학자 및 실험실 동료, 워싱턴 대학교 물리학과 명예교수다.그는 하버드 대학교 줄리안 슈윙거의 학생이었고 존 사이먼 구겐하임 기념 재단 펠로우쉽의 수혜자였다.브라운은 5천 건 이상의 인용문을 받은 양자장 이론에 관한 책을 저술했으며,[1] 그는 1만 1천 건이 넘는 인용문을 누적한 150건 이상의 논문을 저술하거나 공동 저술했다.[2]
교육과 경력
로웰 S.브라운은 1956년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에서 물리학 석사 학위를, 1961년 하버드대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줄리안 슈윙거 밑에서 양자장 이론을 연구하는 국립과학재단 프리덕터 펠로십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3]
브라운은 로마의 이스티투토 디 피시카 델 유니버설리타와 런던의 임페리얼 과학기술대학에서 박사후 펠로우십을 마친 후 1968년까지 예일대학교 부교수로 입사했다.브라운은 대부분의 경력 동안 워싱턴 대학 교수(1969-2001)를 지냈다.그 후, 그는 뉴 멕시코의 로스 알라모스 국립 연구소의 과학자였다(2001-2014).그는 현재 로스 알라모스의 객원 과학자다.
브라운은 1971-1972년에 다시 임페리얼 칼리지를 방문하여 국립과학재단 선임 박사학위 펠로우십에서 연구를 계속하였다.1979년[4] 존 사이먼 구겐하임 기념재단 펠로우십을 수상하고 스위스 제네바 유럽원자력연구기구(CERN)와 뉴저지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에서 연구를 맡았다.
과학적 기여
브라운의 연구는 대부분 기초 입자물리학, 천체물리학, 일반상대성이론, 플라즈마물리학, 원자물리학, 핵물리학에 적용된 양자장 이론을 포함하고 있다.
그의 저서 '양자장론'(1994)은 호평을 받았다.Pierre Ramond의 Science 리뷰는 브라운의 책이 "현대의 양자장 이론의 학생들을 위한 도구상자와 유사할 뿐만 아니라, 주제에 대한 기민한 선택으로 특징지어진다"고 말했다.매우 철저하고 진귀한 취급... 매우 흥미롭고 독창적인 교과서입자나 응축물리학자가 되고자 하는 사람에게 이 책을 강력히 추천한다."[5]
강렬한 레이저 광선과 전자(Brown & Kibble 1964)의 상호작용에 관한 브라운의 연구는 40여 년이 지난 지금도 인용되고 있다.
천체물리학 및 일반상대성이론에서, 임의의 고전적 중력장(1977)에 결합된 다양한 분야의 스트레스-에너지 텐서(1977)에 관한 그의 연구는 주목할 만하다: 치수연속법과 적절한 시간표현법을 사용하며, 이러한 방법으로 스칼라장 및 아노장에 대한 고유한 중력 이상을 계산했다.벡터 필드에 대한 악성(Brown & Cassidy 1977)
Brown과 공동작업자는 전자-양전자 소멸(Basham et al. 1978)에서 에너지-에너지 상관관계를 계산했는데, 이 상관관계는 강한 상호작용 QCD 결합 상수를 측정하는 한 가지 방법을 제공한다.
브라운은 전도 평면 사이의 응력-에너지 텐서(stress-energy stensor)를 계산한 최초의 사람이었다(Brown & Maclay 1969비행기에서 평가한 스트레스 텐서는 카시미어의 힘을 산출한다.
그는 수소 원자의 고전적 한계(1973년)를 처음으로 보여 주었다.[6]그는 원형 궤도로 이동하면서 천천히 퍼지는 대 퀀텀 수 파장 패킷을 구성했다.
워싱턴 대학에서 한스 데멜트는 페닝 함정에 매우 안정적인 궤도로 단일 전하 입자를 포착했다.게니움이라고 불리는 이 배열은 데멜트가 노벨상을 받은 정교한 정밀도로 전자의 자기 모멘트를 측정할 수 있게 했다.브라운은 이 새로운 실험 절차에 매료되었고 동료들과 함께 건니움의 세부적인 작업을 조사하는 많은 논문을 썼다.그의 작품은 페닝 트랩을 사용하는 다른 실험자들의 핸드북이 된 장문의 리뷰 기사(Brown & Gabrielse 1986년)로 절정에 달했다.
브라운은 또한 핵융합에 대한 플라즈마 효과에 대해 연구했으며(Brown & Sawyer 1997), 플라즈마 물리학에 필드 이론을 적용한 논문을 작성했으며(Brown & Yaffe 2001), 플라즈마 정지 전력에서 선도적이지 않은 보정을 획득했으며(Brown et al. 2005), 중수소-트리튬 융합에 대한 효과적인 필드 설명을 제공했다(Brown & Hale 2014).
출판물
책
- Brown, Lowell S. (1994). Quantum Field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46946-3.
인용기사
- Brown, L. S.; Kibble, T. W. B. (1964). "Interaction of intense laser beams with electrons". Physical Review. 133 (3A): a705. Bibcode:1964PhRv..133..705B. doi:10.1103/physrev.133.a705.
- Brown, L. S. (1977). "Stress-tensor trace anomaly in a gravitational metric: Scalar fields". Physical Review D. 15 (6): 1469–1483. Bibcode:1977PhRvD..15.1469B. doi:10.1103/physrevd.15.1469.
- Brown, L. S.; Cassidy, J. P. (1977). "Stress-tensor trace anomaly in a gravitational metric: General theory, Maxwell field". Physical Review D. 15 (10): 2810. Bibcode:1977PhRvD..15.2810B. doi:10.1103/physrevd.15.2810.
- Basham, C. L.; Brown, L. S.; Ellis, S. D.; Love, S. T. (1978). "Energy Correlations in Electron–Positron Annihilation: Testing Quantum Chromodynamics". Physical Review Letters. 41 (23): 1585. Bibcode:1978PhRvL..41.1585B. doi:10.1103/physrevlett.41.1585.
- Basham, C. L.; Brown, L. S.; Ellis, S. D.; Love, S. T. (1979). "Energy correlations in electron–positron annihilation in quantum chromodynamics: Asymptotically free perturbation theory". Physical Review D. 19 (7): 2018. Bibcode:1979PhRvD..19.2018B. doi:10.1103/physrevd.19.2018. S2CID 121310426.
- Brown, L. S.; Maclay, G. J. (1969). "Vacuum stress between conducting plates: an image solution". Physical Review. 184 (5): 1272. Bibcode:1969PhRv..184.1272B. doi:10.1103/physrev.184.1272.
- Brown, L. S. (1973). "Classical limit of the hydrogen atom". American Journal of Physics. 41 (4): 525–530. Bibcode:1973AmJPh..41..525B. doi:10.1119/1.1987282.
- Brown, L. S.; Gabrielse, G. (1986). "Geonium theory: Physics of a single electron or ion in a Penning trap". Reviews of Modern Physics. 58 (1): 233–312. Bibcode:1986RvMP...58..233B. doi:10.1103/revmodphys.58.233.
- Brown, L. S.; Sawyer, R. F. (1997). "Nuclear reaction rates in a plasma". Reviews of Modern Physics. 69 (2): 411–436. arXiv:astro-ph/9610256. Bibcode:1997RvMP...69..411B. doi:10.1103/revmodphys.69.411. S2CID 16992520.
- Brown, L. S.; Yaffe, L. J. (2001). "Effective field theory for highly ionized plasmas". Physics Reports. 340 (1): 1–164. arXiv:physics/9911055. Bibcode:2001PhR...340....1B. doi:10.1016/s0370-1573(00)00068-5. S2CID 119498790.
- Brown, L. S.; Preston, D. L.; Singleton Jr., R. L. (2005). "Charged particle motion in a highly ionized plasma". Physics Reports. 410 (4): 237–333. arXiv:physics/0501084. Bibcode:2005PhR...410..237B. doi:10.1016/j.physrep.2005.01.001. S2CID 119344275.
- Brown, L. S.; Hale, G. M. (2014). "Field theory of the d+ t → n+ α reaction dominated by a 5 He* unstable particle". Physical Review C. 89 (1): 014622. arXiv:1308.0347. Bibcode:2014PhRvC..89a4622B. doi:10.1103/physrevc.89.014622. S2CID 118723681.
전문사회활동
브라운은 미국물리학회의 많은 위원회에서 일했으며 최초의 학술적 물리 리뷰 D 편집자였다.재임 기간(1987~1995)에는 저자가 준비한 전자 원고를 저널의 사설과 출판 과정에 접목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으며, 저자를 위한 전자현황조회시스템의 초기 버전을 구상하고 홍보했다.[7]
추가 활동:
- Los Alamos 국립 실험실: 컨설턴트(1974-2001)이론분할 외부자문위원회, 위원 (1990-1993)
- USDOE대학 프로그램 기술평가위원회, 위원장, 이론물리 패널 (1982-1983)
- 기초입자물리위원회 국가연구회의 물리조사연구
- Aspen Center for Physics:회원, 이사회 (1982-1988); 회원, 자문 위원회 (1988-1990); 일반 회원 (1990-현재)
- 기초입자물리학 연구소, 회원, 과학자문단 (1984-1989)
- 핵 및 입자 물리학에 대한 논평, 특파원 (1984-1992)
영예와 상
- 존 사이먼 구겐하임 메모리얼 파운데이션 물리학 연구 펠로십 (1979)[4]
- 미국물리학회 회원(1968년)[8]
- 미국과학진흥협회 펠로(1995)
-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 연구위원(2009)[9]
- 피 베타 카파(1956)
- 시그마자이 (1956년)
참조
- ^ "Microsoft Academic - Quantum Field Theory, Lowell S. Brow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6, 2016. Retrieved 2018-03-31.
- ^ "Google Scholar - Lowell S. Brown". Retrieved 2014-07-27.
- ^ "Mathematics Genealogy Project – Lowell S. Brown". North Dakota State University. Retrieved 2014-07-27.
- ^ a b "John Simon Guggenheim Memorial Foundation Fellowships – Lowell S. Brown". Retrieved 2014-07-27.
- ^ Ramond, Pierre (June 25, 1993). "Book Review - Quantum Field Theory, by Lowell S. Brown". Science. 260 (5116): 1986. doi:10.1126/science.260.5116.1986. PMID 17836730.
- ^ 예를 들어, 다음 기준서의 각주 8을 참조하십시오.
- ^ "Introduction To The APS E-Print Workshop". APS. Retrieved 2014-07-27.
- ^ "APS Fellow Archive from 1921 to the present". APS. Retrieved 2018-02-18.
- ^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 Laboratory Fellows from 1981 to the present". LANL. Retrieved 2014-07-27.
외부 링크
- 로웰 S의 기초 입자 물리학에 관한 간행물 브라운은 인스파이어-HEP에 출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