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속적 경기 대회
Secular Games새컬러 게임[1](라틴어: 루디 사쿨라레스(Ludi Saeculars, 원래 루디 타렌티니)는 희생과 연극 공연이 수반되는 로마의 종교적인 축하행사로, 새쿨룸의 종말과 다음 날의 시작을 기념하기 위해 고대 로마에서 3일 밤낮으로 열렸다. 인간의 수명을 통틀어 가장 긴 것으로 추정되는 새쿨룸은 길이가 100년 또는 110년으로 간주되었다.[2][3]
로마 신화에 따르면 세속적 게임은 발레시우스라고 불리는 사비네 사람이 자녀들의 병을 치료해 달라고 기도하면서 시작되었고, 대학 마르티우스에서 지하세계의 신인 디스 파테르와 프로세르피나에게 제물을 바치라는 초자연적인 지시를 받았을 때 시작되었다. 일부 고대 저자들은 올림픽 공식 기념일을 기원전 509년까지 추적했지만, 로마 공화국 하에서는 유일하게 명백하게 증명된 기념행사가 기원전 249년과 140년대에 일어났다. 그들은 연속 3박에 걸쳐 저승 신들에게 제물을 바쳤다.
올림픽은 기원전 17년 로마의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에 의해 부활되었는데, 캠퍼스 마르티우스의 야행성 희생은 이제 몰래(운명), 일티에(출산의 여신), 테라 마테("마더 어스")로 옮겨졌다. 기원전 17년 올림픽은 또한 카피톨린과 팔라틴 언덕의 로마 신들에게 낮의 희생을 소개했다. 유부녀들이 어떤 희생을 치르도록 유별나게 명기되어 있었다.[4] 각각의 희생은 연극 공연으로 이어졌다.[5] 이후 황제들은 약 110년의 간격을 두고 AD 88년과 204년에 기념행사를 열었다. 그러나 로마 건국 8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AD47년에 클라우디우스가 개최하기도 하여 148년과 248년에 두 번째의 올림픽 사이클이 이루어졌다. 올림픽은 후기 기독교 황제들에 의해 포기되었다.
공화국
조시무스가 전한 로마 신화에 따르면 세속적 게임은 발레리우스의 조상인 발레시우스라고 불리는 사비네 사람으로부터 비롯되었다고 한다.[6] 자식들이 중병에 걸렸을 때, 그는 가정 신들에게 치료해 달라고 기도하면서, 그 대가로 자신의 생명을 포기하겠다고 제의했다. 한 목소리가 그에게 그들을 타렌툼으로 데려가고, 디스파테르와 프로세르피나의 제단에 데워 마시기 위해 티베르 강에서 물을 주라고 했다.[7] 그는 이탈리아 남부의 그리스 식민지인 타렌툼으로 여행을 떠나야 한다고 가정하고 여행길에 아이들과 함께 출발했다. 티베르 강을 따라 항해하면서, 그는 목소리에 의해 캠퍼스 마르티우스에서 멈추라는 지시를 받았다. 그 곳은 마침 타렌툼이라고도 불리게 되었다. 그가 강물을 데워서 아이들에게 주었을 때, 그들은 기적적으로 치유되어 잠이 들었다. 그들은 잠에서 깨어났을 때 발레시우스에게 꿈에 어떤 인물이 나타났다고 알리고 디스 파테르와 프로세르피나에게 제물을 바치라고 가족에게 말했다. 땅을 파자마자 발레시우스는 그 신들을 위한 제단이 그 자리에 묻힌 것을 발견하고, 지시에 따라 제사를 지냈다.[8][9]
로마 공화국 하의 올림픽 기념행사는 형편없이 기록되어 있다. 비록 몇몇 로마 반검역자들이 그것들을 기원전 509년까지 추적했지만,[10] 몇몇 현대 학자들은 첫 번째 기념일이 제1차 포에니 전쟁 기간인 기원전 249년의 기념일이라고 생각한다.[11][12] BC 1세기 반검역자 바르로에 따르면, 게임은 일련의 포텐트가 quindecimviri에 의해 시빌린 서적들의 상담으로 이어지자 도입되었다.[13] 이 책들에 포함된 지시에 따라, 캠퍼스 마르티우스의 타렌툼에서 3박에 걸쳐, 디스 파테르와 프로세르피나의 저승 신들에게 제물을 바쳤다. 바로는 또한 올림픽이 100년마다 반복될 것이라는 서약이 있었고, 제3차 포에니 전쟁 당시인 기원전 149년 또는 146년에 또 다른 축하 행사가 열렸다고 말한다.[12][14] 그러나 비어드, 노스, 프라이스는 249년 대회와 BC 140년대의 경기가 모두 전쟁의 즉각적인 압박 때문에 열렸으며, 140년대의 부흥과 함께 비로소 정기적인 100주년 기념으로 여겨지게 되었다고 제안한다.[15] 이 순서는 기원전 49년에 축제로 이어졌을 것이지만, 내전이 이것을 막은 것으로 보인다.
아우구스투스
올림픽은 기원전 17년 로마의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에 의해 부활되었다. 이 날짜는 시빌린 신탁이 110년 마다 올림픽을 축하할 것을 요구했고, 기원전 456년에 첫 번째 축하를 했던 올림픽 공화당의 역사를 새롭게 재구성함으로써 정당화되었다.[16]
올림픽이 열리기 전에, 전령들은 도시를 돌며 사람들을 "그들은 결코 목격하지 않았고 다시는 볼 수 없을 것 같은 구경거리"[9]로 초대했다. 퀴데킴비리는 국회의사당과 팔라틴의 아폴로 신전에 앉아 자유시민 횃불과 유황, 아스팔트를 나누어 정화수단으로 불태웠다. (이것은 로마 건국 기념일인 파릴리아의 청결 의식을 본떠서 만든 것인지도 모른다.)[17] 밀, 보리, 콩의 제물도 만들어졌다.[9]
상원은 마티우스 캠퍼스의 부지인 타렌툼에 올림픽에 대한 기록물을 새겨야 한다고 결정했다.[18] 이 비문은 부분적으로 살아남았고,[19] 의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20] 야간 제물은 저승 신들 디스 파테르와 프로세르피나가 아니라 무래(운명), 일티애(출산의 여신), 테라 마테('지구의 어머니')에게 행해졌다. 이들은 "그러나 디스 파테르와 프로세르피나와는 명목상 그리스인이며 로마 국가에서는 숭배하지 않는다는 두 가지 특성을 공유했다"고 말했다.[21] 캠퍼스 마르티우스에서 그리스 신들에게 야행성 제물은 카피톨린 언덕과 팔라틴 언덕에서 로마 신들에게 낮의 제물로 번갈아 바쳤다.
날짜 | 시간 | 위치 | 신들 | 희생 |
---|---|---|---|---|
5월 31일 | 밤 | 캠퍼스 마르티우스 | 무레아과 | 암컷 양 9마리, 암컷 양 9마리, 암컷 9마리 |
6월 1일 | 날 | 카피톨린 언덕 | 목성 옵티머스 막시무스 | 황소 두 마리 |
6월 1일 | 밤 | 캠퍼스 마르티우스 | 일리티아에 (εἰείθυαα) | 27개의 제물 케이크 (3종 각 9개) |
6월 2일 | 날 | 카피톨린 언덕 | 주노 레지나 | 소 2마리 |
6월 2일 | 밤 | 캠퍼스 마르티우스 | 테라 마테르 | 임신한 암퇘지 |
6월 3일 | 날 | 팔라틴 힐 | 아폴로와 다이애나 | 27개의 제물 케이크 (3종 각 9개) |
주요 역할은 아우구스투스와 사위 마르쿠스 비프사니우스 아그리파가 퀴데킴비리의 일원으로서 맡았으며, 아우구스투스는 야간 제사에 혼자 참여했지만 낮에는 아그리파가 함께 했다. 6월 3일의 희생 후, 소년 소녀 합창단은 시인 호레이스가 작곡한 카르멘 새쿨라레를 불렀다.[22] 이 찬송가는 팔라틴과 그 다음 카피톨린에서 모두 불려졌지만, 그 말은 아우구스투스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팔라틴 신 아폴로와 다이애나를 중심으로 한 것이다. 찬송가는 그리스 신들을 라틴어로 표현함으로써 그리스 신과 로마 신들 사이의 희생의 교배에 한층 더 복잡성을 더한다.[21]
각각의 희생은 연극 공연으로 이어졌다. 일단 주요 희생이 끝나고 6월 5일에서 6월 11일 사이의 날들은 그리스와 라틴 연극에 바쳐졌고, 6월 12일에는 전차 경주와 사냥의 전시를 보았다.[20]
후기 공국
올림픽은 후대의 황제들 밑에서 계속 기념되었지만, 그들의 날짜를 결정하기 위해 두 가지의 다른 계산 체계가 사용되었다. 클라우디우스는 로마의 건국으로부터 8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AD 47년에 그것들을 들고 있었다.[14][23] 슈에토니우스에 따르면, "아무도 보지 못했거나 다시는 볼 수 없을 것"이라는 전령사의 선언은 그의 청취자들을 즐겁게 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아우구스투스 휘하에서 열린 올림픽에 참석했다고 한다.[24]
그 뒤를 이은 황제들 밑에서, 게임은 아우구스탕과 클라우디안 양쪽에서 모두 축하되었다. 도미티안은 기원전 22년 계획된 아우구스투스 축제로부터 110년 후인 [14][25]서기 88년에 그의 행사를 열었고,[26] 실제 아우구스투스 축제에서 220년 후인 서기 204년에 셉티미우스 세베루스가 그 뒤를 이었다.[9][14] 두 경우 모두 기원전 17년에 사용된 절차를 면밀하게 따랐다.[27] 148년의 안토니누스 피우스와 248년의 필립 1세는 각각 로마 건국 900년과 1000년의 기념일을 축하하는 데 클라우디우스의 뒤를 이었다. 이러한 것들은 타렌툼 대신 금성전과 로마 신전의 의식을 포함시켰고, 날짜는 아마도 파릴리아인 4월 21일로 변경되었을 것이다.[27]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대회로부터 110년 후인 314년까지 기독교 콘스탄티누스 1세는 황제였으며 세속적인 경기는 열리지 않았다. 이교도 역사학자 조시무스(fl. c. 498–518)는 이 게임의 가장 상세한 현존 설명을 썼으며, 로마 제국의 쇠퇴를 위해 전통적 의식에 대한 이러한 소홀을 비난했다.[9]
메모들
- ^ 이전에는 '세큘러 게임'으로 번역되었지만, 최근의 장학금은 종교적인 문제와의 단절을 암시하는 세속적인 현대적 개념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세큘러 게임'을 선호한다. 예를 들어, Rüpke, Jörg (2018). Pantheon: A new history of Roman religion.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 193–203. ISBN 978-1-4008-8885-6.
- ^ Haase, Mareile; Rüpke, Jörg (2002). "Saeculum". In Hubert Cancik; Helmuth Schneider; Christine F. Salazar; David E. Orton (eds.). Brill's New Pauly: Encyclopaedia of the ancient world. Leiden: Brill. doi:10.1163/1574-9347_bnp_e1027080. ISBN 978-90-04-12259-8.
- ^ Bilynskyj Dunning, Susan (November 2017). "Saeculum". Oxford Classical Dictionary. doi:10.1093/acrefore/9780199381135.013.8233. ISBN 978-0-19-938113-5.
- ^ Darja, Šterbenc Erker (2018-05-02). "Augustus' "New" Festival: The Centrality of Married Women's Rituals at the Ludi Saeculares of 17 BCE". Numen. 65 (4): 377–404. doi:10.1163/15685276-12341504. ISSN 1568-5276.
- ^ Boyce, Aline Abaecherli (1941). "Processions in the Acta Ludorum Saecularium". Transactions and Proceedings of the American Philological Association. 72: 36–48. doi:10.2307/283039. JSTOR 283039.
- ^ Bilynskyj Dunning, Susan (March 2016). "Secular Games". Oxford Classical Dictionary. doi:10.1093/acrefore/9780199381135.013.5781. ISBN 978-0-19-938113-5.
- ^ Watkins, Calvert (1991). "Latin tarentum Accas, the ludi Saeculares, and Indo-European Eschatology". In Winfred P. Lehmann; Helen-Jo Jakusz Hewitt (eds.). Language typology 1988: Typological models in reconstruction. Amsterdam studies in the theory and history of linguistic science. 81. Amsterdam: Benjamins. p. 135. doi:10.1075/cilt.81.10wat. ISBN 978-90-272-3578-7.
- ^ 발레리우스 막시무스 2.4.5.
- ^ a b c d e 조시무스 2.
- ^ 검열관 17.10.
- ^ 수염 외, 제1, 페이지 71–72.
- ^ a b 리비, 페리오채 49.6.
- ^ Centorinus 17.8의 바로.
- ^ a b c d 검열관 17.11
- ^ 수염 외, 1, 페이지 71–72, 111.
- ^ 수염 외, 제1권, 페이지 205. 이 신탁은 Zosimus 2에 보존되어 있으며, 770번 Braund가 번역하기도 한다. 이러한 주기는 논리적으로 기원전 17년이 아니라 16년에 게임을 개최하게 되었을 것이다; 불일치의 이유는 불분명하다(Beard 등, 1, 페이지 205 및 n. 126).
- ^ 수염 외, 1권 203쪽
- ^ 브라운드, 768번.
- ^ 비문 CIL VI, 32323 = AE 2002, 192, 영어 번역 포함.
- ^ a b 수염 외, 제2권, 제5.7b = Braund, 제769호.
- ^ a b Feeney, Dennis (2003). "The Ludi Saeculares and the Carmen Saeculare". In Ando, Clifford (ed.). Roman religion. Edinburgh readings on the ancient world.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pp. 106–116. doi:10.3366/edinburgh/9780748615650.003.0027. ISBN 978-0-7486-1565-0. JSTOR 10.3366/j.ctt1r2b8s.15.
- ^ Bollók, János (2001). "A Carmen saeculare és a Ludi Saeculares". Antik Tanulmányok. 45 (1): 63–73. doi:10.1556/AntTan.45.2001.1-2.7. ISSN 0003-567X.
- ^ 타키투스, 실록 11.11.
- ^ 수에토니우스, 클라우디우스 21.2.
- ^ Sobocinski, Melanie Grunow (2006). "Visualizing Ceremony: The Design and Audience of the Ludi Saeculares Coinage of Domitian".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 110 (4): 581–602. doi:10.3764/aja.110.4.581. JSTOR 40025059.
- ^ 수토니우스, 도미티아누스 4.3 존스와 밀른스, 130페이지.
- ^ a b 수염 외, 1, 페이지 206.
참조
- Beard, Mary; North, John A.; Price, Simon (1998). Religions of Rom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30401-6. (vol. 1). (vol. 2).
- Braund, David C. (1985). Augustus to Nero: A Sourcebook on Roman History 31 BC–AD 68. Totowa: Barnes and Noble. ISBN 978-0-389-20536-4.
- Jones, Brian; Robert Milns (2002). Suetonius: The Flavian Emperors: A Historical Commentary. London: Bristol Classical Press. ISBN 978-1-85399-613-9.
- Pighi, Giovanni Battista (1965). De ludis saecularibus populi Romani Quiritium (2nd ed.). Amsterdam: Schippers.
- 공개 도메인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가 통합되어 있다. 이 글에는 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