림프 모세관
Lymph capillary림프 모세관 | |
---|---|
![]() | |
세부 사항 | |
시스템 | 림프계 |
식별자 | |
라틴어 | 혈관 림프관절염 |
TA98 | A12.0.00.044 |
TA2 | 3918 |
TH | H3.09.02.0.05004 |
FMA | 5028 |
해부학적 용어 |
림프 모세혈관 또는 림프 모세혈관은 세포 사이의 공간(중앙신경계 및 비혈관조직 제외)에 위치한 작고 얇은 벽의 미세혈관이며 세포외 액체를 배출하고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림프 모세관의 내강으로 들어가자마자 채취한 액체를 림프라고 한다. 각 림프 모세관은 림프관에 림프를 운반하는데, 림프절은 림프액에 감염이 있는지 여과하고 감시하는 작은 콩 모양의 분비선이다.[1] 림프는 궁극적으로 정맥 순환으로 되돌아간다.
림프성 모세혈관은 혈액 모세혈관에 비해 지름이 약간 크고 끝부분이 폐쇄되어 있다(혈액 모세혈관의 루프 구조와 달리). 그들의 독특한 구조는 그들 사이에 흐르는 액체를 허용하지만 밖으로 흘러나오지는 않는다. 림프모세관의 벽을 구성하는 내피세포의 끝부분이 겹친다. 림프보다 중간액에서 압력이 크면 세포가 일방향으로 흔들리는 문이 열리는 것처럼 약간 분리되고, 중간액이 림프 모세관으로 들어간다. 림프모세관 내부의 압력이 커지면 세포가 더욱 밀착되어 림프는 다시 간액으로 빠져나갈 수 없다. 림프 모세혈관에 부착된 것은 탄력섬유를 함유한 고정 필라멘트가 있다. 그것들은 림프 모세관으로부터 뻗어 나와 림프 내피세포를 주위 조직에 부착한다. 과도한 간액이 축적되어 조직이 붓는 현상을 일으키면 고정 필라멘트를 당겨 세포 사이의 개구부를 더욱 크게 만들어 더 많은 액체가 림프 모세관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2]
림프 모세혈관은 혈액 모세혈관에 비해 내부[온코틴] 압력이 더 큰데, 이는 림프 내에 혈장 단백질이 더 많이 집중되기 때문이다.
참조
- ^ "Lymphatic System". Cleveland Clinic. Cleveland Clinic.
{{cite web}}
: CS1 maint : url-status (링크) - ^ 토토라, 제라드 J: "인간 해부학의 원리 - 10번째 판" 512페이지. 2005년 존 와일리 앤 선즈 주식회사 림프는 삼투에 의해 림프 모세혈관에 들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