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 내각
Lyng's Cabinet링 내각 | |
---|---|
![]() 노르웨이 내각 | |
![]() | |
작성일자 | 1963년 8월 28일 |
해산일자 | 1963년 9월 25일 |
사용자 및 조직 | |
국가원수 | 올라브 5세 |
정부수반 | 존 링 |
No. 장관들의 | 15 |
회원당 | 보수당 자유당 기민당 중앙당 |
입법부의 위상 | 연립 다수당 정부 |
역사 | |
전임자 | 게르하르센 제3차 내각 |
후계자 | 게르하르센 제4차 내각 |
링 내각은 1963년 8월 28일부터 9월 25일까지 노르웨이를 통치했습니다. 노르웨이 노동당이 주도하지 않은 것은 28년 만에 처음이었습니다. 보수당의 존 링이 이끄는 보수당, 중앙당, 기독민주당, 자유당의 중도우파 연립정부였습니다. 15명의 의원이 있었는데, 그중 5명은 보수당, 4명은 중앙당, 3명은 기민당, 3명은 자유당이었습니다. Karen Grøn-Hagen은 내각의 유일한 여성 의원이었습니다.
사회당이 에이나르 게르하르센 정부에 반대하는 불신임 투표에 참여한 후, 링은 그들 사이에 비노동당이 스토팅에서 과반수에 못 미치는 1석밖에 없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는 SF가 기권한 후 8월 28일에 취임한 비노동당 정당들을 빠르게 연립정부를 구성하도록 했습니다. 그러나 SF는 한 달 후에 지지를 다시 게르하르센에게 던져서 노동당이 다시 권력을 잡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짧은 링 정부는 30년 동안의 노동당 통치 후에 비노동당 정당들이 통치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내각 구성원들
포트폴리오 | 장관 | 취임. | 좌직 | 파티 | |
---|---|---|---|---|---|
수상 | 1963년 8월 28일 | 1963년 9월 25일 | 보수적 | ||
외교부장관 | 1963년 8월 28일 | 1963년 9월 25일 | 기독민주당 | ||
국방부장관 | 1963년 8월 28일 | 1963년 9월 25일 | 보수적 | ||
산업부장관 | 1963년 8월 28일 | 1963년 9월 25일 | 보수적 | ||
재정관세부 장관 | 1963년 8월 28일 | 1963년 9월 25일 | 센터 | ||
물가부 장관 | 1963년 8월 28일 | 1963년 9월 25일 | 리버럴 | ||
지방정부 및 노동부 장관 | 1963년 8월 28일 | 1963년 9월 25일 | 리버럴 | ||
사회부 장관 | 1963년 8월 28일 | 1963년 9월 25일 | 기독민주당 | ||
교통통신부 장관 | 1963년 8월 28일 | 1963년 9월 25일 | 센터 | ||
통상교섭본부장 | 1963년 8월 28일 | 1963년 9월 25일 | 보수적 | ||
수산부장관 | 1963년 8월 28일 | 1963년 9월 25일 | 보수적 | ||
농림부장관 | 1963년 8월 28일 | 1963년 9월 25일 | 센터 | ||
법무·경찰부 장관 | 1963년 8월 28일 | 1963년 9월 25일 | 기독민주당 | ||
소비자가족부 장관 | 1963년 8월 28일 | 1963년 9월 25일 | 센터 | ||
교육교회부 장관 | 1963년 8월 28일 | 1963년 9월 25일 | 리버럴 |
국무장관
사역 | 국무장관 | 기간[a] | 파티 |
---|---|---|---|
국무총리실 | 이바르 요한센 | 보수적 | |
폴 티니스 | 보수적 | ||
외교부 | 토마스 토르스비크 | 기독민주당 | |
국방부 | 아른 군나르 룬드 | 보수적 | |
산업부 | 토르킬드 빌헬름 쇤 | 보수적 | |
사회부 | 오드 스타이너 홀스 | 기독민주당 | |
교통통신부 | Bjørn Unneberg | 센터 | |
농무부 | 테디 다이링 | 센터 | |
한국교회교육부 | 마그네 레르하임 | 리버럴 |
참고문헌
메모들
- ^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그 기간은 1963년 8월 28일부터 9월 25일까지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