팡가시난 주 마비니

Mabini, Pangasinan
마비니
발렌카과인
마비니 현
Mabini Pangasinan 2.JPG
Official seal of Mabini
Map of Pangasinan with Mabini highlighted
마비니가 강조 표시된 판가시난 지도
오픈스트리트맵
Mabini is located in Philippines
Mabini
마비니
필리핀 내 위치
좌표: 16°04′11″N 119°56′24″E / 16.06972°N 119.94°E / 16.06972; 119.94좌표: 16°04′11″N 119°56′24″E / 16.06972°N 119.94°E / 16.06972; 119.94
나라필리핀
지역일로코스 주
팡가시난 시
제1구
설립됨1923
에 대해 명명됨아폴리나리오 마비니
바랑게이16(바랑게이 참조)
정부
• 유형상무니앙바얀
시장아리엘 G. 데 구즈만
부시장다리우스 P. 보날로스
대표아놀드 D. 셀레스트
• 시 의회
회원들
유권자유권자 16,773명(2019년)
면적
• 합계291.01km2 (1991.36 sq mi)
표고
51m(제곱 피트)
인구
(1998년 인구조사)
• 합계26,454
• 밀도91/km2(240/sq mi)
가구
5,856
이코노미
소득계층제3기 시립 소득계층
빈곤 발생14.92% (2015)[4]
수익₱148,619,398.15 (2020)
자산₱258,900,849.06 (2020)
지출₱111,785,876.46 (2020)
부채₱42,293,068.96 (2020)
서비스 제공업체
• 전기판가시난 1 전기 협동조합(PANGCO 1)
시간대UTC+8(PST)
우편번호
2409
PSGC
IDD : 지역번호+63 (0)75
네이티브 언어팡가시난 시
일로카노
삼발
타갈로그어
웹사이트www.mabini-pangasinan.gov.ph

마비니, 공식적으로 마비니 시(판가시난: 베일리마비니) 일로카노: 일리마비니; 타갈로그: 바얀 ng 마비니)는 필리핀 판가시난 지방의 3급 자치단체다. 2020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인구는 2만6,454명이다. [3]

그 자치시는 이전에 발린카과인이라고 불렸다.[5]

바랑게이

마비니는 정치적으로 16개의 바랑게이로 세분된다.

  • 바크니트
  • 바를로
  • 카아방간
  • 카바나에탄
  • 까르망간
  • 칼자다
  • 카랑라안
  • 드 구즈만
  • 루나 - 전에는 발라앙으로[6] 알려져 있었다.
  • 마갈롱
  • 니발리우
  • 파타르
  • 포블라시온
  • 산페드로
  • 타구딘
  • 빌라코르타

기후

팡가시난 마비니의 기후 데이터
2월 3월 4월 5월 줄리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도
평균 높은 °C(°F) 31
(88)
31
(88)
31
(88)
33
(91)
32
(90)
32
(90)
30
(86)
30
(86)
30
(86)
31
(88)
31
(88)
31
(88)
31
(88)
평균 낮은 °C(°F) 21
(70)
21
(70)
22
(72)
24
(75)
24
(75)
24
(75)
23
(73)
23
(73)
23
(73)
23
(73)
23
(73)
22
(72)
23
(73)
평균 강수량 mm(인치) 5.1
(0.20)
11.6
(0.46)
21.1
(0.83)
27.7
(1.09)
232.9
(9.17)
350.8
(13.81)
679.8
(26.76)
733.1
(28.86)
505
(19.9)
176.6
(6.95)
67.2
(2.65)
17.7
(0.70)
2,828.6
(111.38)
평균 비 오는 날 3 3 3 4 14 18 23 25 22 15 8 4 142
출처: 월드 웨더 온라인[7]

인구통계학

마비니의 인구조사
연도Pop.±% p.a.
1903 3,101
1918 4,760+2.90%
1939 7,510+2.20%
1948 9,185+2.26%
1960 10,548+1.16%
1970 12,769+1.93%
1975 15,894+4.49%
1980 15,979+0.11%
1990 17,628+0.99%
1995 19,115+1.53%
2000 21,035+2.07%
2007 23,338+1.44%
2010 24,011+1.04%
2015 24,765+0.59%
2020 26,454+1.31%
출처: 필리핀 통계청

이코노미


역사

마비니 공설시장

마비니 시는 잠발레스의 일부였으며 산과 숲, 계곡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원래는 '박쥐의 애도비'를 뜻하는 잠발어 '발리란카구인'에서 유래한 '발린카구인'이라고 불렸다. 이 이름은 서쪽의 자치구와 잠발레스, 남서쪽의 탈락 사이의 언덕과 에서 발견된 동굴에 서식한 야행성 포유류(박쥐)를 가리킨다.

이 장소는 확실하지는 않지만, 1610년 아우구스티니아계 리멤렉츠였던 스페인 선교사들이 세운 곳일 것이다. 1800년 발린카킨은 창립자로 추정되는 돈 이시드로 푸존(Don Isidro Puzon) 휘하의 마을이 되었다. 인구(770가구) 중 일부는 농업 건강 때문에 자치구로 이주한 일로카노스였다. 이 정착민들이 산 근처에 위치한 곳을 "콘벤타"라고 부르곤 했다.

그 후 좋은 품질의 쌀이 지속적으로 생산되어 마닐라, 심지어 중국까지 판매되었다. 옥수수, 사탕수수, 면화 등과 같은 다른 제품들도 요구되었고, 결과적으로 수많은 시장을 통해 널리 유통되었다. 농업 외에도 안장 만들기, 배낭 만들기, 모자 쓰기 산업이 존재했다. 주민들은 또한 소, 카라바오, 말과 염소를 길들이는 일에 종사했다. 동시에 박쥐가 점차 늘어나면서 주민들이 박쥐를 잡을 수밖에 없었다. 이 포유류들은 1930년까지 계속된 포획으로 인해 근처의 숲을 날아다닌다는 의심을 받았다.

1930년에는 '위대한 수블라임 마비니', '혁명의 제사장'으로 여겨졌던 아폴리나리오 마비니를 기리기 위해 마을 이름을 마비니로 바꾸었다.

시군은 1904년 알라미노스, 바니, 안다, 다솔, 부르고스, 볼리나오, 인판타 등과 합병되었으며 현재 이 지방의 제1구로 구성되어 있다.

시 최고 경영자 목록

시군은 설립 당시부터 현재까지 총장을 맡고 있다.

  1. 카피탄 이시드로 푸존 1800
  2. 후안 멘도사 1801
  3. 로베르토 에스피노사 1802
  4. 후안 에우세비오 1803
  5. 프란시스코 디즌 1804
  6. 파스쿠알델라크루즈로185번길
  7. 니콜라스 갈라 1806
  8. 안토니오 멘도사 1807
  9. 로렌초 피놀리아르 1808
  10. 도밍고 알레한드로 1809번길
  11. 프란시스코 델라 로사 1810
  12. 프란시스코 파라가스 1811년
  13. 후안 살라자르 1812년
  14. 비센테 디존 1813
  15. 자킨토 멘도사 1814년
  16. 니콜라스 갈라 1815년
  17. 자친토 데 멘도사 1816년
  18. 로베르토 에스피노사 1817
  19. 베니토 델라 크루즈 1818년
  20. 호세 델라 크루즈 1819년
  21. 미겔 로케 1820년
  22. 마리아노 드 멘도사 1821년
  23. 바실리오 델라 로사 1822
  24. 그레고리오 갈라 1823년
  25. 시메온 카람바스 1824년
  26. 안토니오 프란시스코 1825
  27. 호세 델라 크루즈 1826년
  28. 후안 리베라 1827년
  29. 비센테 디존 1828
  30. 후안 리베라 1829년
  31. 비센테 디존 1830
  32. 프란시스코 데 아키노 1831
  33. 사바스 로드리게스 1832
  34. 자킨토 데 멘도사 1833년
  35. 안토니오 도밍고 1834년
  36. 후안 데미안 1835년
  37. 미겔 델라 크루즈 1836년
  38. 후안 에스트라다 1837
  39. 후안 디즌 1838
  40. 후안 리베라 1839년
  41. 우르바노 페러 1840년
  42. 힐라리오델라크루즈 1841
  43. 아가피토 프란시스코 1842
  44. 나자리오델라크루즈 1843년
  45. 카를로스 델로스 레이예스 1844년
  46. 암브로시오 라모스 1845년
  47. 클라우디오 데 산 미겔 1846년
  48. 세실리오 에스트라다 1847년
  49. 그레고리오 데 멘도사 1848년
  50. 마틴 리베라 1849년
  51. 카피탄 치프리아노 데 멘도사 1850년
  52. 산티아고 발코르타 1851
  53. 후안 바우티스타 데 구즈만 1852년
  54. 치프리아노 데 멘도사 1853년
  55. 아가피토 브라간자 1854년
  56. 레옹시오에스트라다 1855년
  57. 폰치아노 파딜라 1856년
  58. 시칠리오 에스트라다 1857년
  59. 아가피토 브라간자 1858-1860
  60. 후안 바우티스타 데 구즈만 1861-1862
  61. 카노토 페러 1863-1864
  62. 페드로 로드리게스 1865-1866
  63. 후안 바우티스타 데 구즈만 1867-1868
  64. 펠릭스 에룸 1869-1870
  65. 마르틴 리베라 1871-1872
  66. 아가피토 브라간자 1873-1874
  67. 도밍고 로드리게스 1875-1876
  68. 페드로 로드리게스 1877-1878
  69. 히폴리토 브라간자 1879-1880
  70. 니콜라스 리베라 1881-1882
  71. 파트리시오 브라간자 1883년
  72. 퀴리노 데 구즈만 1884년
  73. 안토니오 에룸 1885-1886
  74. 기예르모 발데라마 1887-1888
  75. 아니케토 리베라 1889-1890
  76. 에스콜라스토 델 바리오 1891-1892
  77. 브루노 브라간자 1893년
  78. 시릴로 브라간자 1894-1895
  79. 브루노 브라간자 1896년
  80. 아니케토 리베라 1897-1900
  81. 시릴로 브라간자 1901
  82. 브루노 브라간자 1902년
  83. 마르셀로 브라간자 1903
  84. 파울리노 멘도사 1904-1905년 대통령
  85. 프란시스코 부스타만테 1906-1907
  86. 자킨토 브라가 1908-1909
  87. 파울리노 로드리게스 1910
  88. 마르셀로 브라간자 1911-1912
  89. 시메온 델 바리오 1913-1916
  90. 모데스토 페러 1917-1920
  91. 호세 브라간자 1921-1926
  92. 모데스토 페러 1927-1928
  93. 롭 브라간자 1929-1934
  94. 페드로 로드리게스 시장 1935-1940
  95. 로드리게스 마메토르 1941
  96. 펠리몬 에룸 1941-1944
  97. 엔젤 타오아토 1946-1947
  98. 데메트리오 브라간자 1948-1955
  99. 저스토 데 구즈만 1956-1959
  100. 후안 바로칸 1959년
  101. 크레풀로 브라간자 1960-1963
  102. 데메트리오 브라간자 1964-1971
  103. 데메트리오 브라간자 1972-1976
  104. 후안 수팡안 1976-1980(승계별)
  105. 도미니도어 브라간자 1980-1986년
  106. Ariel de Guzman 1986년 6월 ~ 1986년 11월 (OIC 임명)
  107. 도미나도르 브라간자 1986년 12월-1987년 11월 30일
  108. 비르질리오 브라간자 1987년 12월- 1988년 1월(OIC 임명)
  109. 도미니도어 브라간자 1988년 1월-1989년 12월 22일
  110. 로미오 볼링 1989년 12월 23일 ~ 1992년 6월 30일 (계승에 의해)
  111. Ariel de Guzman 1992년 7월 1일 ~ 2001년 6월 30일
  112. Alimar Briana 2001년 7월 1일 ~ 2004년 6월 30일
  113. Ariel de Guzman, 2004년 7월 1일 ~ 2007년 6월 30일
  114. Carlitos Reyes 2007년 7월 1일 – 2016년 6월 30일
  115. Alimar Briana 2016년 7월 1일 - 2019년 6월 30일
  116. Ariel de Guzman, 2019년 7월 1일 - 현재[18]

이미지 갤러리

참고 항목

참조

  1. ^ 마비니 현 (DILG)
  2. ^ "2015 Census of Population, Report No. 3 – Population, Land Area, and Population Density" (PDF).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Quezon City, Philippines. August 2016. ISSN 0117-1453.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May 25, 2021. Retrieved July 16, 2021.
  3. ^ a b Census of Population (2020). "Region I (Ilocos Region)". Total Population by Province, City, Municipality and Barangay. PSA. Retrieved 8 July 2021.
  4. ^ https://psa.gov.ph/sites/default/files/City%20and%20Municipal-level%20Small%20Area%20Poverty%20Estimates_%202009%2C%202012%20and%202015_0.xlsx; 발행일: 2019년 7월 10일; 출판사: 필리핀 통계청.
  5. ^ 산토 니노 교구 역사, 마비니 교구, 2012년 회수
  6. ^ "An Act to Change the Name of Barrio Balayang, Mabini, Pangasinan, to Barrio Luna". LawPH.com. Retrieved 2011-04-11.
  7. ^ "Mabini, Pangasinan: Average Temperatures and Rainfall". World Weather Online. Retrieved 12 October 2015.
  8. ^ Census of Population (2015). "Region I (Ilocos Region)". Total Population by Province, City, Municipality and Barangay. PSA. Retrieved 20 June 2016.
  9. ^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2010). "Region I (Ilocos Region)". Total Population by Province, City, Municipality and Barangay. NSO. Retrieved 29 June 2016.
  10. ^ Censuses of Population (1903–2007). "Region I (Ilocos Region)". Table 1. Population Enumerated in Various Censuses by Province/Highly Urbanized City: 1903 to 2007. NSO.
  11. ^ "Province of Pangasinan". Municipality Population Data. Local Water Utilities Administration Research Division. Retrieved 17 December 2016.
  12. ^ "Poverty incidence (PI):".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Retrieved 28 December 2020.
  13. ^ https://psa.gov.ph/sites/default/files/NSCB_LocalPovertyPhilippines_0.pdf; 발행일: 2005년 11월 29일; 출판사: 필리핀 통계청.
  14. ^ https://psa.gov.ph/sites/default/files/2003%20SAE%20of%20poverty%20%28Full%20Report%29_1.pdf; 발행일: 2009년 3월 23일; 출판사: 필리핀 통계청.
  15. ^ https://psa.gov.ph/sites/default/files/2006%20and%202009%20City%20and%20Municipal%20Level%20Poverty%20Estimates_0_1.pdf; 발행일: 2012년 8월 3일; 출판사: 필리핀 통계청.
  16. ^ https://psa.gov.ph/sites/default/files/2012%20Municipal%20and%20City%20Level%20Poverty%20Estima7tes%20Publication%20%281%29.pdf; 발행일: 2016년 5월 31일; 출판사: 필리핀 통계청.
  17. ^ https://psa.gov.ph/sites/default/files/City%20and%20Municipal-level%20Small%20Area%20Poverty%20Estimates_%202009%2C%202012%20and%202015_0.xlsx; 발행일: 2019년 7월 10일; 출판사: 필리핀 통계청.
  18. ^ "List Of Elected City/Municipal Candidates" (PDF). Comelec. Comelec.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