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카다미아테니폴리아

Macadamia ternifolia
마카다미아테니폴리아
Capture Macadamia ternifolia.png
아티스트 L. 베커
과학적 분류 edit
킹덤: 플랜태
클래드: 기관지동물
클래드: 안기오스페름스
클래드: 에우디코츠
순서: 프로테아목
패밀리: 프로테아과
속: 마카다미아
종:
M. 테르니폴리아
이항식 이름
마카다미아테니폴리아
동의어[4]

헬리키아테니폴리아F. Muell.
마카다미아 테르니폴리아F.무엘 var. ternifolia
마카다미아 테르니폴리아 var. 타이피카 도민놈. 불침투의
마카다미아 마이너에프엠베일리
마카다미아 로위이에프엠베일리

마카다미아 테르니폴리아(공통명:소확률 퀸즐랜드 너트, 집피너트)[5]오스트레일리아퀸즐랜드 주 원산지인 꽃식물 프로테아과에 속하는 나무로, EPBC법에 따라 취약계층으로 등재되어 있다.[2][3][5]

마카다미아 테르니폴리아는 키가 8m까지 자라는 작은 다발 나무다.좁게 난태된 성충 잎은 4-10mm 길이의 줄기에 3개씩 있다.[3]각각의 잎은 길이 9-12.5cm, 너비 2-3.5cm이며 위와 아래는 더 둔하다.[3]그것들은 뻣뻣하고 매끄럽고 가죽으로 되어 있으며, 약간 휘어진 여백과 끝이 뾰족하다.[3]산허리는 아래가 두드러지고, 위가 약간 움푹 들어가 있다.[3]길이 5–18cm의 줄기에 단순하며, 길이 6–8.5mm의 분홍색 테팔과 길이 0.5–6mm의 필라멘트 4–7mm, 길이 1–2mm의 줄기에 연결된다.[3]난소 길이 0.4–1 mm, 스타일 길이 5–10 mm, 길이 14–22 mm, 너비 13–22 mm의 과일을 낳는다.[3]씨앗은 넓은 난형, 길이 약 16mm, 폭 12mm로 구상되어 있으며 두께 약 1mm의 매끄러운 껍질을 가지고 있다.[3]

참고 항목

참조

  1. ^ Forster, P.; Ford, A.; Griffith, S.; Benwell, A. (2020). "Macadamia ternifolia".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0: e.T113180135A113310170. doi:10.2305/IUCN.UK.2020-2.RLTS.T113180135A113310170.en. Retrieved 18 November 2021.
  2. ^ a b "Macadamia ternifolia". Australian Plant Name Index (APNI), IBIS database. Centre for Plant Biodiversity Research, Australian Government.
  3. ^ a b c d e f g h i 그로스, C.L. (1995) 오스트레일리아의 플로라 온라인: 마카다미아 테르니폴리아.ABRS, ©호주의 Commonwealth of Australia Volumes 16(1995), 17A(2000), 17B(1999), ABRS의 제품에서 도출된 데이터
  4. ^ a b F.J.H. 폰 뮬러(1857) 오스트레일리아 신규 공장 설명.빅토리아 철학연구소의 거래: 72
  5. ^ a b SPRAT: 마카다미아 테니폴리아.종 프로파일 및 위협 데이터베이스.오스트레일리아 정부:환경 에너지부.2018년 10월 22일 회수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