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무드 아흐메드

Mahmoud Ahmed
마무드 아흐메드
ማሕሙድ አህመድ
Mahmoudahmedfeature.jpg
2005년 마흐무드 아흐메드 공연
배경 정보
태어난 (1941-05-08) 1941년 5월 8일(81세)
아디스아바바, 에티오피아
기원.에티오피아 구라게
장르
기기보컬
액티브 년수1970년대~현재

마무드 아흐메드(Mahmoud Ahmed, 1941년 [1][2][3]5월 8일 ~ )는 에티오피아의 [4]가수이다.그는 1970년대 에티오피아에서, 1980년대 에티오피아 디아스포라에서 큰 인기를 얻었고, 유럽과 아메리카에서 아프리카 음악 팬들과 함께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전기

메르카토 지역 [5]아디스아바바에서 태어난 마흐무드는 어릴 때부터 에티오피아 라디오에서 들었던 음악에 매료됐다.학교에서 제대로 배우지 못한 그는 하일레 셀라시에 1세 황제의 임페리얼 보디가드 [5][6]밴드가 근무하던 애리조나 클럽에서 잡역부가 되기 전에 구두닦이로 일했다.1962년 어느 날 밤 밴드의 가수가 나타나지 않자 마흐무드는 노래를 몇 [5]곡 불러달라고 부탁했다.그는 곧 밴드의 정규 라인업에 합류하여 1974년까지 [1]머물렀다.

1971년 비너스 밴드 "Nafqot New Yegodagn"과 "Yasdestal"과의 첫 번째 싱글 앨범을 낸 후, 마흐무드는 1970년대[citation needed] 내내 암하카이파 음반사에서 여러 밴드와 함께 음반을 계속 녹음했다.셀라시에 황제의 전복과 군사정권 하의 음악 나이트라이프의 중단은 에티오피아 음악계에 변화를 가져왔다. 제국 경호대는 더 이상 없었고, 마흐무드는 달락 밴드와 이벡스 밴드를 포함한 에티오피아에 남아있던 많은 음악가들과 함께 히트 음반과 카세트를 계속 만들었다.그는 또한 크라르, 기타 또는 [citation needed]만돌린을 연주하면서 솔로 카세트를 발매하기 시작했다.

2008 에티오피아 축구 토너먼트에서 워싱턴 DC에서 공연하는 마흐무드 아흐메드

1978년, 검열법은 마흐무드가 그의 음악을 비닐로 발매하는 것을 금지했고, 그래서 그는 카세트를 발매하는 것으로 전환했다.1980년대에 마흐무드는 아디스아바바 광장에서 자신의 음악 가게를 운영하면서 가수 생활을 계속했다.해외에 사는 많은 에티오피아 난민들과 함께, 마흐무드는 Walias Band, Getatchew Kassa, Webeshet Fisseha와 함께 1980-1981년 투어에서 미국에서 공연한 최초의 현대 에티오피아 음악 제작자들 중 하나가 되었다.마흐무드는 곧 로하 밴드와 함께 음반을 발매하기 시작했고 디아스포라 [4]사회에서 인기를 끌었다.

1986년, 벨기에 레이블인 크램메드 디스크가 10년 전에 마흐무드가 아이벡스 밴드와 함께 아디스에서 녹음한 두 장의 카이파 LP에서 그린 에레 멜라 멜라 컬렉션을 발매했을 때, 마흐무드의 음악은 더 많은 서양 관객들에게 다가갔다.[4][7]에티오피아는 정치적 억압과 기근으로 인해 서양에서 대서특필되었고, 마흐무드의 첫 번째 해외 발매의 대조적인 어조는 급성장하는 세계 음악계에서 많은 갈채를 받았다.마흐무드는 1990년대 후반 부다 뮤지크가 콤팩트 디스크로 에티오픽스 시리즈를 출시한 이후 더욱 큰 국제적 인기를 얻었다.이로 인해 보스턴의 'One/Orchestra'와 'Badume Band'와 함께 유럽과 미국에서 새로운 레코딩과 투어로 이어졌습니다.그는 아디스아바바에 거주하며 많은 비정부기구와 [8]자선사업과 함께 일하고 있지만 세계 음악팬과 에티오피아 [4]디아스포라를 위한 콘서트를 계속하며 국제 투어를 계속하고 있다.

2007년, 마흐무드는 BBC 월드 뮤직 [9]어워드를 수상했다.

Ere Mela Mela가 그를 유명하게 만들었지만, Mahmoud는 일반적으로 과거를 회상하는 장르인 Tizita로 잘 알려져 있다. Tew Lemed Gelaye는 YouTube에서 300만 뷰 가까이 조회된 그의 [citation needed]현대 티지타 음악 중 하나이다.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았지만, 마흐무드는 그림과 일러스트로 예술을 창조하는 시각 예술가입니다.그는 그 시대의 기분에 따라 다양한 주제를 연필로 묘사한다.그는 한때 아디스아바바의 에디오-프랑세즈 동맹으로부터 그의 작품을 전시하기 위해 연락을 받았지만 거절했다.

음반 목록

  • 알마즈 with Ibex Band (1973년 LP, 1999년 부다뮤지크 제6권 CD로 재발매)
  • 알레미(1974년 LP, 2005년 부다뮤지크 제19권 CD로 재발매)
  • Ere Mela (1975년 LP, 1986년 추가 트랙과 함께 Crammed Disks로 재발매, 2000년 CD로 리믹스, 확장, 재발매됨)
  • Soul of Addis (1997년, 토목공사/스턴스 아프리카)
  • 슬로우 컬렉션 (1998년, Abivsinia 사운드즈 오브 아비시니아)
  • Live in Paris (1998, 장거리)
  • Yitbarek (2003년, Yene Production, 2007년 Nahom Records 재발매)
  • Tizita Vol.1 (베스트 오브...) (2003년, AIT 레코드)
  • Tizita Vol.2 (베스트 오브...) (2003년, AIT 레코드)
  • The Rough Guide to the Music of 에티오피아 (2004년, 월드 뮤직 네트워크)
  • Ethiogroove: Mahmoud Ahmed & Orcherstra, Chedenia G. Markos (2007, EthioSonic DVD)
  • 에티오픽스 라이브 : 마흐무드 아흐메드, 알레마예후 에셰테 & 바다메의 밴드 (2009년, Innacor DVD)
  • 에티오픽스 26: 마흐무드 아흐메드 & 임페리얼 보디가드 밴드, 1972-1974 (필립스 레이블에서 발매된 싱글에서 음악을 수집)
  • The Rough Guide to the Music of 에티오피아 (2012, 월드 뮤직 네트워크)

레퍼런스

  1. ^ a b Cartwright, Garth (2007). "Awards for World Music 2007 – Mahmoud Ahmed". BBC Radio 3. Retrieved May 8, 2019.
  2. ^ Observer, Ethiopia (May 8, 2018). "Ten things to know Mahmoud Ahmed on his 77th birthday". Ethiopia Observer. Retrieved July 19, 2021.
  3. ^ 올뮤직의 마흐무드 아흐메드
  4. ^ a b c d Eyre, Banning. "Mahmoud Ahmed". National Geographic World Music. Afropop Worldwid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10, 2008. Retrieved February 22, 2013.
  5. ^ a b c Falceto, Francis (1999). Almaz 1973 (Media notes). Éthiopiques. Mahmoud Ahmed. Buda Musique. 829792.
  6. ^ Soul of Addis (Media notes). Mahmoud Ahmed. Earthworks/Stern's. 1997. STEW35CD.{{cite AV media notes}}: CS1 유지: 기타 인용 AV미디어 (주) (링크)
  7. ^ Prosaïc, Anaïs (1999). Ere Mela Mela 1975 (Media notes). Éthiopiques. Mahmoud Ahmed. Buda Musique. pp. 15–16. 829802.
  8. ^ "Mahamud Ahmed at a Benefit Concert to Build Ethiopian Church in San Diego at Tadias Magazine".
  9. ^ "BBC Awards for World Music: Mahmoud Ahmed". BBC. Retrieved November 13, 2011.

추가 정보

  • 조나단 미란, "마흐무드 아흐메드", 아프리카 전기 사전 에드헨리 루이스 게이츠 주니어와 엠마뉴엘 K.Akyeampong (뉴욕: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제4권, 페이지 43-44.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