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 그라게
Mai Grage나라(스포츠) | ![]() |
---|---|
거주지 | 덴마크 콩겐스 링비 |
태어난 | 콩엔스 링비 | 1992년 4월 18일
플레이스 | 오른손(양손 백핸드) |
상금 | $5,637[1] |
싱글스 | |
경력기록 | 11–10[1] |
경력직명 | 1 ITF[2] |
최고 순위 | 861(2015년 4월 13일)[1] |
복식 | |
경력기록 | 5–9[1] |
경력직명 | 0 |
최고 순위 | 988(2010년 11월 29일)[1] |
단체전 | |
페드컵 | 14–16[3] |
마이 그라게(1992년 4월 18일 출생)는 덴마크의 전 프로 테니스 선수다.
2015년 4월 13일 달성한 WTA 통산 최고 싱글 순위는 861위, 2010년 11월 29일 세운 WTA 통산 최고 복식 순위는 988위다.그라지는 2010 프랑스 오픈 여자 복식 준결승과 30위로 주니어 커리어 최고 랭킹을 달성했다.
그녀는 2010년 덴마크 오픈 복식 추첨에서 WTA 메인 드로잉에 데뷔했는데, 그녀는 1라운드에서 패하면서 카렌 바르바트와 파트너 관계를 맺었다.그리고 나서 Grage는 2011년과 2012년에 WTA 주 복식 추첨에 추가 출연했다.
Fed Cup에서 덴마크에서 뛰었던 Grage는 14-16의 승패를 달성했다.[3]
ITF 회로 결승전
싱글: 1(제목)
|
|
결과 | 아니요. | 날짜 | 토너먼트 | 표면 | 상대 | 점수 |
---|---|---|---|---|---|---|
위너 | 1. | 2014년 8월 3일 | 덴마크 코펜하겐 | 점토 | ![]() | 6–4, 7–5 |
복식: 1(러너업)
|
|
결과 | 아니요. | 날짜 | 토너먼트 | 표면 | 파트너 | 반대자 | 점수 |
---|---|---|---|---|---|---|---|
준우승 | 1. | 2010년 10월 4일 | 이탈리아 칼리아리 | 점토 | ![]() | ![]() ![]() | w/o |
페드컵 참가
싱글스
판[3] | 둥글다 | 날짜 | 위치 | 에 대항 | 표면 | 상대 | W/L | 점수 |
---|---|---|---|---|---|---|---|---|
2009년 페드컵 유럽/아프리카 지역 그룹 I | R/R | 2009년 2월 6일 | 탈린, 에스토니아 | ![]() | 하드(i) | 마샤 젝 페스키리치 | L | 4–6, 5–7 |
P/O | 2009년 2월 7일 | ![]() | 페트라 마르티치 | L | 5–7, 0–6 | |||
2010년 페드컵 유럽/아프리카 지역 그룹 I | R/R | 2010년 2월 3일 | 포르투갈 리스본 | ![]() | 하드(i) | 요한나 라르손 | L | 3–6, 1–6 |
2010년 2월 4일 | ![]() | 아니코 카프로스 | L | 0–6, 0–6 | ||||
2010년 2월 5일 | ![]() | 디아나 마르친키비차 | W | 4–6, 6–4, 6–2 | ||||
P/O | 2010년 2월 6일 | ![]() | 케렌 슐로모 | W | 6–4, 6–4 | |||
2012년 페드컵 유럽/아프리카 지역 II 그룹 | R/R | 2012년 4월 18일 | 이집트 카이로 | ![]() | 점토 | 일제 하팅 | L | 6–7(5–7), 7–5, 0–6 |
2012년 4월 19일 | ![]() | 블라디카 | W | 6–3, 6–2 | ||||
2012년 4월 20일 | ![]() | 엘라 레이보 | W | 6–2, 6–3 | ||||
2013년 페드컵 유럽/아프리카 지역 III 그룹 | R/R | 2013년 5월 8일 | 지치누, 몰도바 | ![]() | 점토 | 리케 호니발 | W | 6–0, 6–0 |
2013년 5월 9일 | ![]() | 파티마엘알라미 | W | 6–3, 6–1 | ||||
P/O | 2013년 5월 10일 | ![]() | 스테파니 보그트 | W | 6–3, 6–1 | |||
2014년 페드컵 유럽/아프리카 지역 III 그룹 | R/R | 2014년 2월 5일 | 탈린, 에스토니아 | ![]() | 하드(i) | 난테나이나 라말라하리볼로나 | W | 6–2, 6–3 |
2014년 2월 7일 | ![]() | 아이다 셀예볼 스칸케 | W | 6–1, 6–3 | ||||
P/O | 2014년 2월 8일 | ![]() | 아네트 콘타베이트 | L | 0–6, 0–6 | |||
2015년 페드컵 유럽/아프리카 지역 III 그룹 | R/R | 2015년 4월 16일 | 몬테네그로 울신지 | ![]() | 점토 | 엠마 플러드 | L | 1–6, 3–6 |
복식
판[3] | 둥글다 | 날짜 | 위치 | 에 대항 | 표면 | 파트너 | 반대자 | W/L | 점수 |
---|---|---|---|---|---|---|---|---|---|
2010년 페드컵 유럽/아프리카 지역 그룹 I | P/O | 2010년 2월 6일 | 리스본 | ![]() | 하드(i) | ![]() | 줄리아 글루시코 샤하르 페어 | L | 0–6, 1–6 |
2011년 페드컵 유럽/아프리카 지역 그룹 I | R/R | 2011년 2월 3일 | 아일랏, 이스라엘 | ![]() | 딱딱한 | ![]() | 타마다 바신스키 패티 슈나이더 | L | 3–6, 2–6 |
2011년 2월 4일 | ![]() | ![]() | 조슬린 래 헤더 왓슨 | L | 7–5, 5–7, 5–7 | ||||
P/O | 2011년 2월 5일 | ![]() | ![]() | 엘리니 다니리두 에일리니 게오르가토우 | L | 2–6, 5–7 | |||
2012년 페드컵 유럽/아프리카 지역 II 그룹 | R/R | 2012년 4월 18일 | 카이로 | ![]() | 점토 | ![]() | 나탈리 그랜딘 매드리 르 루스 | L | 5–7, 3–6 |
2012년 4월 19일 | ![]() | ![]() | 단카 코비니치 다니카 크르스타지크 | L | 4–6, 4–6 | ||||
2013년 페드컵 유럽/아프리카 지역 III 그룹 | R/R | 2013년 5월 8일 | 지치누 | ![]() | 점토 | ![]() | 리케 호니발 리니크 테론 | W | 6–0, 6–0 |
P/O | 2013년 5월 9일 | ![]() | ![]() | 스테파니 보그트 카틴카 폰 데이히만 | L | 3–6, 2–6 | |||
2014년 페드컵 유럽/아프리카 지역 III 그룹 | R/R | 2014년[4] 2월 5일 | 탈린 | ![]() | 하드(i) | ![]() | 난테나이나 라말라하리볼로나 오케인 라자카보아나 | W | 6–1, 6–1 |
2014년 2월 7일 | ![]() | ![]() | 아이다 셀예볼 스칸케 멜라니 스토크 | L | 6–7(7–9), 6–7(3–7) | ||||
2015년 페드컵 유럽/아프리카 지역 III 그룹 | R/R | 2015년 4월 15일 | 울신지 | ![]() | 점토 | ![]() | 아미라 베나히사 이네스 이브보우 | W | 6–0, 6–0 |
2015년 4월 16일 | ![]() | ![]() | 엠마 플러드 캐롤라인 로데무 | W | 6–4, 6–2 | ||||
2017년 페드컵 유럽/아프리카 지역 II 그룹 | R/R | 2017년 4월 20일 | 시아울리아이, 리투아니아 | ![]() | 하드(i) | ![]() | 올라아보우제크리 라나 셰리프 아흐메드 | L | 6–7(5–7), 4–6 |
2017년 4월 21일 | ![]() | ![]() | 요아나 이두코니티 게르다 지쿠테 | W | 6–1, 6–2 |
참조
- ^ a b c d e "Mai Grage WTA profile". Women's Tennis Association. Retrieved 27 July 2021.
- ^ "Mai Grage ITF profile". International Tennis Federation. Retrieved 27 July 2021.
- ^ a b c d "Mai Grage Billie Jean King Cup profile". Billie Jean King Cup. Retrieved 27 July 2021.
- ^ "Heather Watson stars in Great Britain´s Fed Cup win". TennisWorldUSA.org. 6 February 2014. Retrieved 27 July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