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포 습지

Mai Po Marshes
마이포 습지
Mai Po Marshes view 2016.JPG
마이포의 물고기 연못
Map showing the location of Mai Po Marshes
Map showing the location of Mai Po Marshes
홍콩 지도
위치홍콩 산틴
가장 가까운 도시위안롱
좌표22°29, 56°N 114°02′45§ E/22.499°N 114.0458°E/ 22.499, 114.0458좌표: 22°29°56°N 114°02°45°E / 22.499°N 114.0458°E / 22.499, 114.0458
wwf.org.hk/en/whatwedo/conservation/wetlands/managemaipo/
공식 명칭마이포 습지 및 이너 딥 베이
지정1995년 9월 4일
참조 번호750[1]
마이포 습지
번체 중국어米埔濕地
간체자 중국어米埔湿地
게이웨이
맹그로브 판자 산책로
야생동물 교육 센터
학생 나들이 여행에 대한 레슨을 하는 가이드.

Mai Po Marshes (Chinese: 米埔濕地; Hong Kong Hakka: Mi3bu4 Sip5ti4) is a nature reserve located in San Tin[2] near Yuen Long in Hong Kong.원랑구 [3]내에 있습니다.

이곳은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인 베이의 일부이며, 실제로는 얕은 하구이며, 삼춘강, 산푸이강(위안룽강), 천수이위 눌라(天水 waah) 하구에 있다.이너 딥 베이는 1995년 람사르 협약에 따라 람사르 유적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세계적으로 중요한 수의 습지 조류들이 주로 겨울과 봄, 가을 이동 중에 서식하고 있다.교육 센터와 자연 보호 구역의 넓이는 380에이커(1.5km2)이며, 주변 습지는 1500에이커(6km2)의 면적을 가지고 있습니다.그것은 포유류, 파충류, 곤충, 그리고 350종 이상의 새들을 위한 보존 지역을 제공한다.

이 보호구역은 1983년부터 World Wide Fund for Nature Hong Kong에 의해 관리되고 있으며 WWF는 일반인과 학교를 대상으로 보호구역에 대한 전문적인 안내 방문을 운영하고 있습니다.농수산보존부는 람사르 부지 전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습니다.Deep Bay는 오염극심한 도시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갯벌 수위 상승 등의 위협에 직면해 있습니다. 특히 최근 몇 년 동안 북쪽 선전만 쪽에서는 더욱 그렇습니다.

최근에는 손더스갈매기(Chroicocephalus saundersi)와 전 세계 저어새(Platalea minor)의 4분의 1을 포함한 55,000마리 이상의 철새들이 서식하고 있다.멸종위기에 처한 스푼부리새우(Calidris pygmaea)는 정기적으로 이동 중에 기록된다.보호구역에는 조류에게 먹이를 제공하기 위해 전통적으로 운영되던 24개의 새우 연못(현지에서는 Gei Wai)과 함께 조간 맹그로브 숲도 포함되어 있습니다.마이포 마시스는 연간 약 32,000명의 방문객을 받습니다.

마이포 자연보호구역은 2012년 2월 15일 변경금지구역에서 제외됐지만 야생동물에 대한 교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야생동물보호조례(170장)에 따라 제한구역으로 남아 있다.

방문객들은 보호구역에 들어가려면 '마이포 매쉬 출입 허가증'이 필요합니다.WWF 프로페셔널 가이드의 액티비티에 참가하면, 온라인 wwf.org.hk/en 로 예약해, 소규모 그룹의 에코 비지트에 참가할 수 있습니다.WWF는 허가를 처리합니다.

개인은 홍콩 정부의 어농자연보호국에 서면으로 허가증을 신청할 수 있다.상기 개별 허가서는 보통 처리하는데 약 4주가 소요됩니다.

38종의 포유류가 보호구역에 서식하고 있으며, 이는 홍콩의 어느 곳보다도 많은 수치다.마이포는 이 지역에서 가장 높은 밀도의 표범 고양이 중 하나이지만, 야행성이고 거의 눈에 띄지 않습니다.작은 아시아 몽구스는 보호구역에서 매우 흔하며 겨울에는 낮 동안 게이와이 연못 근처의 방문객들과 자주 마주친다.마이포에서는 멸종위기종인 유라시아산 수달의 소수가 발견된다.

이 습지는 또한 풍부한 곤충의 다양성을 가지고 있으며, 풍토병인 마이포-날개가 구부러진 반딧불이(Pteroptyx maipo Ballantyne)가 [4]서식하고 있다.이 종은 과학에 새로운 종이었을 뿐만 아니라, 중국에서 Pteroptyx가 기록된 것은 처음이었다.이 종의 계절적 개체수 변화, 분포 및 서식 요건을 이해하기 위해 WWF 홍콩은 자연보호구역에 [5]대한 반딧불 조사를 실시해 왔다.조사에는 시민과학[6]참여도 포함되어 있어 생물다양성을 더욱 감시하기 위해 이 접근방식을 사용하여 WWF는 iNaturalist와 City Nature Challenge를 Mai Po [7]센터의 활동에 포함시켰다.

조류독감 발생

2008년 2월 홍콩 정부는 조류독감으로 알려진 H5N1감염된 백로가 발견된 후 21일간 마이포를 폐쇄했다.이번 폐쇄는 수년 만에 4번째이며, 이 시설에서 반경 3킬로미터 이내에서 감염이 발견될 때마다 마이포를 폐쇄하겠다는 정부의 정책과 일치한다.

그러나 세계자연기금(World Wide Fund for Nature)은 정부가 마이포 폐쇄 기준과 도시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덜 엄격한 기준 사이의 불일치에 대해 비판했다.World Wide Fund for Nature는 100만 홍콩 [8]달러의 보상을 원했다.그리고 WWF는 정부가 손실된 수입에 대해 보상해주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마이포 보호구역 전경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Mai Po Marshes and Inner Deep Bay".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Retrieved 25 April 2018.
  2. ^ "2015 District Councils Election - Summary of the District Council Constituency Areas". Hong Kong Government.
  3. ^ "District Council Constituency Boundaries — Yuen Long District" (PDF). Electoral Affairs Commission. Retrieved 2021-03-21.
  4. ^ Yiu, Vor; Cheng, Chui-Yu; Shih, Chun-Hat; Fu, Xin Hua; Ballantyne, Lesley (2011-06-27). "Pteroptyx maipo Ballantyne, a new species of bent-winged firefly (Coleoptera: Lampyridae) from Hong Kong, and its relevance to firefly biology and conservation". Zootaxa. 2931 (1): 8–34. doi:10.11646/zootaxa.2931.1.2. ISSN 1175-5334.
  5. ^ "Firefly survey at the Mai Po Nature Reserve WWF Hong Kong". www.wwf.org.hk. Retrieved 2019-06-25.
  6. ^ Ip, Alex (2018-07-30). "Fireflies (Sort of) Like Lights - The CitizenScience.Asia Journal". Medium. Retrieved 2019-06-25.
  7. ^ "City Nature Challenge WWF Hong Kong". www.wwf.org.hk. Retrieved 2019-06-25.
  8. ^ Lam, Agnes (2008-02-27). "South China Morning Post: Mai Po wants review of bird-flu shutdowns WWF seeks HK$1m for closure of reserve". South China Morning Post.

추가 정보

  • Lai, Lawrence W.C.; Lam, Ken K.H.; Lorne, F.T.; Wong, S.K. (2008). "Chapter 12. Economics of Gei Wa Shrimp Culture in Hong Kong: From Commercial Aquaculture to Bird Production". In Leung, Ping Sun; Engle, Carole R. (eds.). Shrimp Culture: Economics, Market, and Trade. John Wiley & Sons. pp. 167–186. ISBN 9780470276563.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