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엔롱 스타디움
Yuen Long Stadium大披頭 타이페이토우 | |
![]() 경기장의 항공 전망 | |
![]() | |
주소. | 홍콩 연롱 6태육로 |
---|---|
좌표 | 22°26′34″N 114°01′16″E/22.442807°N 114.021090°E좌표: 22°26′34″N 114°01′16″E / 22.442807°N 114.021090°E/ |
대중교통 | 롱 핑 역 수이핀와이 |
주인님. | 홍콩 정부 |
연산자 | 여가문화서비스부 |
역량 | 4,932 |
필드 크기 | 100 x 64m(높이 x 70야드) |
표면 | 잔디 |
건설 | |
부서진 땅 | 1965년; | 전 (
열린 | 1969년 12월 15일; | 전
리노베이션 | 1989, 2008 |
공사비 | 19만 8천 홍콩달러 |
건축가 | 영롱청기건설 |
세입자 | |
윈롱(2013~2020) TSW 페가수스(2009–2013, 2020–현재) |
위엔롱 스타디움(중국어: 元大大場)은 홍콩 뉴테리어스 위엔롱에 있는 다목적 경기장이다.홍콩 프리미어리그 클럽 페가수스의 현재 홈구장이자 위안룽의 옛 홈구장이다.null
역사
원래 수이빈마을 옆 공터였던 이 경기장은 연장지구체육회가 지역 지원을 받아 건립한 것이다.1965년 영롱청기건설이 19만 8천 홍콩달러에 건설하였다.null
이 경기장은 1969년 12월 15일 Yuen Long과 Fire Services의 1부리그 경기와 함께 개장했다.같은 날 홍콩 육상연맹이 주최하고 틴틴데일리가 후원하는 홍콩 첫 마라톤의 시작과 마무리를 진행했다.[1]null
1983년, 이 스타디움은 로얄 홍콩 조키 클럽으로부터 확장을 위해 300만 홍콩달러의 기부금을 받았다.총 1200만 홍콩달러의 비용이 든 이 작품은 2,000명의 용량을 커버하는 새로운 스탠드와 8차선 전천후 주행 트랙을 추가했다.놀이 표면도 공사 도중 다시 깔았다.null
최근에는 홍콩 레저문화서비스부로 경기장이 이전되어 운영되고 있다.null
세입자
위엔룽 구 S.a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홍콩 제1부 리그에서 활약하던 윤룽이 1979-80시즌을 끝으로 상위권에서 철수하기 전 홈구장이었다.요즘은 아마추어 팀과 유소년 팀들의 홈경기를 하부리그에서 종종 개최한다.null
페가수스
2008-09 시즌
2008년 7월 22일 새롭게 결성된 틴수이 와이 페가수스가 창단 시즌에 윤롱구장에 홈 비품의 사용허가를 신청했는데, 이는 경기면의 질 때문에 대한축구협회로부터 거절당했다.null
2008년 9월 TSW 페가수스는 원정측과 합의에 도달한 후 10월 5일 유엔롱 스타디움에서 남중국과 홈경기를 치를 것을 요청하여 HKFA의 승인을 받았다.같은 경기 당일 뮤추얼과 시티즌의 리그 무승부도 이 경기장으로 옮겨가도록 마련되었는데,[2] 이후 시즌 후반에 TSW 페가수스 홈경기가 두 차례 더 열릴 예정이었다.[3]null
윌슨 웡 TSW 페가수스 회장과 HKFA 관계자들은 2008년 9월 17일 그라운드를 방문해 시즌 중 윈 롱 스타디움에서 더 많은 리그 경기를 개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했다.그라운드에 같은 경기 당일 복수의 경기를 수용할 수 있는 탈의실이 최대 4개까지 갖춰져 있지 않고, FIFA 기준에 부합하는 사이드라인에는 채점판, 매표소, 교체벤치가 없는 반면 서포터들의 출구는 명확히 표시되지 않는다는 결론이 내려졌다.람 싱 쿠이 HKFA 경기위원장은 경기장이 경기당 하루 한 경기에만 적합하다는 점을 재확인했다.기존 경기면, 투광등, 임원상자, 응급실, 심판실, 탈의실 등은 VIP 구역과 임시 인터넷 접속을 포함한 미디어 시설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는 옵션으로 1군 경기를 개최하기에 적합했다.대체 벤치는 타이포 스포츠 그라운드에서 빌릴 것이다.[4]null
그라운드는 10월 5일 2개의 1사단을 개최할 예정이었는데, 12시 30분에 뮤추얼 대 시티즌, 16:00에 TSW 페가수스 대 남중국전이 개최되었다.하지만, 두 경기 모두 물에 잠긴 투구 때문에 연기되었다.[5]사흘 뒤 개최국들은 22년 만의 1부리그 경기였던 2,537명의 관중 앞에서 남중국을 3-2로 물리쳤다.[6]null
2009-13 시즌
페가수스는 2009~13년 4시즌 동안 이 경기장을 홈구장으로 활용했다.null
이들은 2011년 아시아축구연맹(AFC)의 요구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면서 2011년 콴오 스포츠 그라운드에서 홈경기를 치를 수밖에 없었다.[7]null
2020–
2020년 10월 20일 페가수스는 유엔롱 스타디움에서 홈경기를 개최하는 등 다시 유엔롱 구단으로 운영이 이전될 것이라고 발표했다.[8]null
위엔롱 FC
이 경기장은 2013-14년 최상위권으로 승격한 뒤 2019-20시즌 이후 자체 강등되기까지 윤룽의 홈구장이었다.null
시설.
경기장은 세계적인 천연잔디 피치와 투구 양쪽에 투광 조명 시스템을 갖춘 스탠드 2개의 스탠드가 수광 조명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육상 트랙은 세계 표준의 전천후 400m 8차선 타원형이다.null
12시 30분부터 13시 30분까지 1시간을 제외하고 08:00부터 22:30까지 주 6일 동안 공개된다.매주 수요일에는 유지보수를 위해 문을 닫는다.[9]null
미래 발전
2013년 10월 여가문화서비스부는 국제경기 개최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경기장을 재개발할 계획을 발표했다.수용량은 동서 스탠드를 모두 커버한 채 5,000명 이하로 증가할 것이다.다른 개선사항으로는 임원상자, 트로피 프레젠테이션 영역, 전자 개찰구 및 텔레비전 갠트리 등이 있다.윈 롱 회장 윌슨 웡은 구단 개편 기간 중 다른 구장에서 홈경기를 치를 것이라고 밝혔다.[10]null
그러나 2018년 1월 현재 동부간판을 둘러싼 LCSD와 Yuen Long 구의회 간의 분쟁으로 아직 사업이 시작되지 않고 있다.LCSD는 웨스트 스탠드를 재건하는 것을 포함한 계획서를 제출했지만, 이스트 스탠드 위에 지붕을 설치하는 계획은 포함하지 않았다.[11]구의회는 이스트 스탠드에 지붕이 없는 어떤 계획도 승인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해왔다.[12]null
2019년 9월 이스트 스탠드 위에 지붕을 쌓는 계획이 최종 승인됐고 2021년 4분기부터 경기장 재개발이 시작될 예정이다.[13]null
갤러리
운송
지상으로부터 약 5분 거리에 있는 풍닌로와 2분 거리에 있는 수이핀와이가 가장 가까운 위안롱 스타디움 근처에 경전철 정류장이 몇 군데 있다.두 정거장 모두 610, 614, 615, 761P 노선이 운행한다.null
가장 가까운 MTR 역은 경기장에서 도보로 10분에서 15분 정도 걸리는 웨스트 레일 선의 롱 핑 역이다.null
경기장 인근에는 68X, 268B, 268C, 268X, 269D, 276, 276P, B1 등 다수의 KMB 노선이 운행되며 각각 캐슬피크 로드를 관통한다.null
참조
- ^ Perera, Neil (15 December 1969). "Unfancied Korean runs race of his life". South China Morning Post. p. 2.
- ^ http://hk.myblog.yahoo.com/chairman-blog/article?mid=1939
- ^ "足總派員視察大埔運動場". Takungpao. Hong Kong. 6 September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February 2009. Retrieved 9 May 2017. (중국어로)
- ^ "元朗球場難當飛馬主場". Wenweipo. Hong Kong. 18 September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September 2008. Retrieved 9 May 2017. (중국어로)
- ^ "Coolpoint Ventilation First Division postponed". HKFA. 5 October 2008. Retrieved 9 May 2017.
- ^ "反勝南華卻換外援超額 天水圍贏變輸!". Apply Daily. Hong Kong. 9 October 2008. Retrieved 9 May 2017. (중국어로)
- ^ "大陂頭球場溫故知新". Oriental Daily. Hong Kong. 27 March 2011. Retrieved 9 May 2017. (중국어로)
- ^ Yuen, Chi Ho (20 October 2020). "飛馬再落戶元朗 郭嘉諾掌帥印 簽4名超級外援". HK01. Retrieved 20 October 2020. (중국어로)
- ^ "Leisure and Cultural Services Department 康樂及文化事務署".
- ^ "元朗大球場重建變身國際級". Sing Tao Daily. Yahoo! Hong Kong. 25 October 2013. Retrieved 9 May 2017.
- ^ "元朗大球場重建 東看台繼續無上蓋 體育專員:亞洲賽多晚上舉行 無西斜問題". InMediaHK. 23 April 2018. Retrieved 23 April 2018. (중국어로)
- ^ "元朗大球場重建 區議會拒支持 不滿東看台無上蓋". InMediaHK. 10 January 2018. Retrieved 10 January 2018. (중국어로)
- ^ "政Whats噏:元朗大球場重建拖足10年 康文署被轟真失敗". on.cc (in Chinese (Hong Kong)). 19 September 2019. Retrieved 19 September 2019.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윈 롱 스타디움 관련 매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