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코르 리손
Makor Rishon![]() | |
유형 | 주간신문 |
---|---|
포맷 | 브로드시트 |
소유자 | 이스라엘 하옴 |
편집자 | 하가이 시걸 |
설립됨 | 1997 |
언어 | 히브리어 |
나라 | 이스라엘 |
웹사이트 | makorrishon |
Makor Rishon (Hebrew: מָקוֹר רִאשׁוֹן lit.'퍼스트핸드 소스(Firsthand Source)')는 종교 시오니즘과 보수 우파와 연관된 이스라엘의 준주요 신문이다.[1][2]
역사
마코르 리숀은 1997년 7월 유대인의 종교적 민족주의적 성향을 띤 독립신문을 창간하기 위해 주간지로 창간되었다.[citation needed]이 논문은 원래 주인인 랍비 슈무엘 탈의 머리글자였다.벨기에에 본사를 둔 다이아몬드 사업에 종사하는 내셔널 종교 계열인 리슨버그 가문과 텔아비브가 신문 창간 자금을 조달했다.기자 메이르 우지엘이 직원을 채용했다.우지엘은 마이클 루줄리오에게 작가를 찾도록 했다.루줄리오 씨는 예디오트 아로노츠뿐 아니라 제2 텔레비전 라디오 방송국의 기자로 활동했으며, '홍해의 목소리' 라디오 방송국의 창설을 도왔다.뉴스룸은 예루살렘 기바트 샤울에 위치한 '피르섬 이이스라엘' 사무실에 설치됐으며 종교 및 세속적 언론인과 편집자들이 참여했다.
이 신문의 초기 편집자 대다수는 세속주의자로, 메이르 우지엘, 마이클 루줄리오, 예후다 레비(기자), 오퍼 샤피라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 신문의 수익은 낮았고 재정 상태는 악화되었다.그 논문은 1999년 10월 말에 폐간되었고, 그 후 소유주들이 파산 신청을 했다.
마코르 리숀은 1999년 12월 "The New Makor Rishon"이라는 회사의 후원으로 5주 만에 다시 설립되었는데, 이는 구매자인 마이클 카라쉬 박사가 과거 부채에 부담을 느끼지 않고도 신문의 이름에서 이익을 얻을 수 있게 한 조치였다.Karash는 구독자 기반을 넓히고 그 논문이 재정적으로 유효하게 만들기 위해 일했다.2003년 동안, 이 논문은 사업가 슐로모 벤츠비에 의해 구입되었다.매수 후, 넓은 신문 형식으로의 이동뿐만 아니라 페이지와 기자의 수를 크게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변화가 이루어졌다.
2007년 중반까지만 해도 마코르 리숀은 주간지로서 출판되었다.2007년 4월 25일, 하조프 일보가 마코르 리숀에 편입되어, 「마코르 리손-하조프」라는 로고로 등장하기 시작했다.그때까지 신문사의 CEO였던 슐로모 벤츠비가 편집국장에 임명되었다.그 후 마코르 리숀은 이후 2년간 일간지로 출판되었다.
2008년 11월 이 신문은 재정난에 빠졌다.[3]직원들은 법원에 논문의 자산을 정리해줄 것을 요청했다.[4]신문은 콘텐츠를 대폭 줄이고, 가격을 인상하며, 노동자들을 해고하고, 홈페이지와 기사 자료실을 폐쇄하는 등 무엇보다도 위기를 다뤘다.2009년 6월부터 이 신문은 주간으로 돌아왔다.일일 할인판은 구독자들에게만 배포되었지만 신문 웹사이트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되었고, 신문 가판대에서도 주말판을 구할 수 있었다.
2012년 2월 16일, 이 신문은 전국 각지에서 무료 증보판을 배포하기 시작했는데, 이 증보판에는 주말에 판매되는 신문의 대표판과 금요일판 구독자를 늘리기 위한 움직임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2014년 3월 9일 벤츠비가 마코르 리손과 마애리브 신문사에 대해 두 달 동안 파산 절차를 중지하라는 가처분 신청을 법원에 의해 승인받았다.2014년 3월 30일 예루살렘 지방법원은 이 신문사를 이스라엘 하옴에 1400만 세겔에 매각하는 것을 승인했고,[5] 반독점 위원 데이비드 길로는 한 달 후에 매각 승인을 했다.[6]
2014년 9월 23일, 마지막으로 일간지가 인쇄되었다.이 날짜부터는 주말판만 발행된다.
신문 형식
과거 이 신문은 주요 뉴스란과 뉴스 저널, 주간지 디유칸만 포함시켰을 뿐 문화 부록도 포함했다.2003년 Shlomo Ben-Tzvi가 이 신문을 구입한 후, 새로운 보충제가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2005년 5월에 새로운 형식으로 전환하면서 절정에 이르렀다.이 신문은 벤츠비가 사들인 이후 빈번한 변화를 겪었다.이 논문의 현재 형식에는 다음과 같은 8개 섹션이 포함되어 있다.
- General News – 뉴스 항목, 사설 기사, 의견 칼럼, 금융, 과학, 스포츠 및 지역 여행 부문.
- 요만(저널) – 기사, 인터뷰 및 개인 칼럼이 포함된 주간 시사 부록.The regular sections are Amnon Lord's column “Neged Haruach”; a current events poetry column by Tzur Ehrlich; Adi Arbel's series of observations “Lo Actuali”; political journalist Sophia Ron-Moriah's column; Pazit Rabinah's section “Teivat Pandora” containing international affairs exposés; a satirical section “Brichat Hamochot” edited by Gidon Dukov; 그리고 Mordechai Kider 박사의 중동 문제에 대한 주간 심층 기사.아비나다브 비트쿤과 아리엘 카하나가 정기적인 기고자로 포함되어 있다.그 부록의 편집자는 오리 엘리추어였다.2014년 사망 후 채개 시걸은 편집장을 맡았고, 디유칸에 있던 현재 뉴스 칼럼은 '요만'으로 옮겨졌다.
- 디유칸(사진) – 에드워드 애틀러의 자동차 부문, 오리 멜러메드의 음식 칼럼, 갈릿 드한-카리바흐의 여행기, 아스시 투비아의 컴퓨터 게임 부문, 방송 달력, 크로스워드 부문, 나첨 모치차흐의 영화 리뷰 등 개인적인 관심사, 개인 칼럼 및 다양한 섹션이 수록된 잡지(과거 레나니트 파르샤니가 쓴 것으로 유발 리블린이 그 뒤를 이었다.)오를리 골드클랑은 보충판 편집장이다.과거 골드클랑은 마야 레벤슨과 함께 유머 칼럼인 '쯔포르나임'을 썼고, 오늘은 첫 페이지에 '푸즐'을 쓴다.이 잡지의 정규 작가로는 이파트 에를리히, 데이비드 체르메츠, 릭키 랫, 츠르 에를리히, 엘리시브 라이히너가 있다.
- 샤브바트(Sabbat) – 지적 경직성을 가진 유대인 철학, 유대교 및 문학의 보충물.편집장은 엘차난 니르다.서평 섹션의 편집자는 닥터다.슈무엘 파우스트.
- 모차시 (Motza'ei Shabbat) – 2011년부터 등장하기 시작한 생활형 잡지.편집장은 엘라드 테네이다.편집자는 아리엘 신발이다.
과거보충제
- Tedek (Justice) – Yehunda Yifrach가 편집한 종교 및 세속적 법률 분야의 뉴스 및 논평자.
2005년 1월 1일부터 2006년 2월까지 주간지 《해사부온》은 예정된 방송과 연극의 달력 또한 수록된 문화 부록이다.타마르 네셔 라티가 편집장을 맡았다.부편집자는 Shai Tzeler이었다.
- 나심(여성) – 2006년 여름부터 등장하기 시작하여 격주로 발행되는 여성에 맞춘 보충판.리모르 가르짐-마겐 편집장이다.이 부록이 시작되기 전에는 로니 슈브가 편집한 Pnei Isha라는 잡지가 있었는데 Ayelet Kedem이 그 뒤를 이었다.
- Ottiot (Letters) –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잡지.합작법인은 2011년 마코르 릴라딤 부록과 오티오트 매거진이 합병하면서 시작됐다.이 새로운 잡지는 처음에는 "오티오 라일라딤"이라고 불렸고, 그 후 다시 "마코르 리손의 신문인 오티오"로 불리게 되었다.마코르 릴라딤 초판은 2004년 12월 10일에 등장했다.편집자는 에티 엘보임과 오리트 짐머였다.이전 해에는 디유칸 부록에 2장짜리 아동 코너가 등장했었다.마지막 해에 편집자는 에후드 막시모프였다.작가 중에는 쇼시 그린필드, 요엘 차이트, 요시 샤차르, 아비나다프 비트콘 등이 있었다.
- 수카리어트(캔디) – 미취학 아동들을 위한 신문으로, 오티오에게 자매지로 알려져 있다.마코르 리숀의 어린이 보조식품과 오티오트의 신문이 합병되기 전에, 마코 리숀은 "아나킴"이라는 이름의 미취학 아동들을 위한 보조물을 출판했다.두 보충제는 통일되었지만 수카리오트라는 이름은 남아 있었다.
신문이 새로운 포맷으로 전환하기 시작하자 휴가 부록이 추가되어 격주로 되어 순식간에 취소되었다.
「해사부온」이 취소된 지 몇 달 후인 2006년 6월, 주간이 될 예정이었던 격주 코너 「시시 이이스라엘리」가 추가되었다.소형의 광택이 나는 부록이었고 시사 문제에 관한 기사가 수록되어 있었다.약 3개월 만에 취소되었다.
경제학자 에란 바르탈이 편집한 칼칼라 부록과 도탄 말라크가 편집한 스포츠 섹션은 원래 별개의 실체였으나, 2012년 8월 3일부터 모차시 잡지에 편입되었다.
이 신문은 한동안 1년에 3번 등장하고 요아프 슈렉이 편집한 확장 유대인 철학 부록인 샤브밧 하가돌을 발간했다.이 논문은 또한 마코리 – 샤브밭 팸플릿 – 회당에서 무료로 배포되었고 마코 리손 신문과 다른 섹션의 요약 기사가 수록되어 있었으나, 2010년 말에 이르러 취소되었다.
샤바트 부록
이 신문의 샤브바트 부록은 유대인 철학, 문학, 토라 사상의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2004년부터 출판되고 있다.Yoav Shurek은 창간부터 2012년까지 편집자였다.현재 편집자는 책 리뷰를 위해 슈무엘 파우스트 박사와 함께 Rabbi Elchanan Nir이다.
샤브바트 부록은 하레츠의 '문화와 문학' 부록과 유사한 형식으로 유대인의 내용과 문학, 예술에 관한 기사가 결합되어 있다.샤브밧은 보다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며 일반 문학 부록보다 훨씬 길다.그것은 존재해 온 거의 모든 세월 동안 그래왔던 24페이지의 페이지를 가지고 있다.이 부록은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작가, 시인, 번역가, 연구원, 토라 학자들이 정기적으로 출판할 수 있는 존경할 만한 플랫폼으로 여겨진다.단편소설과 시를 출판하는 포럼의 역할도 한다.부록의 형식은 창간 이래 사소한 변화만 겪었다.1면에는 인용문과 함께 예술 작품(그림 또는 사진)이 실려 있다.
이 부록은 도브 엘보임과 야어 셰레그의 주간 칼럼을 포함한 독점적 자료를 수록한 '에레브 샤브바트'라는 제목의 마아리브의 교양 부록과 비슷한 형식으로 출판된다.
The sections in the supplement are: a regular column on the weekly Torah portion whose author changes from Chumash to Chumash; “Arachim from a Jewish Lexicon” by Professor Shalom Rosenberg; a poetry review by Yonatan Berg, a music review by Amichai Chason; Chayuta Deutsch's column “Lipnai U’lifnim”; “B’safa Acheret” – a monthly overview of periodic지브 슈피델이 쓴 세계 각국의 알자스, 에드미엘 코스만의 책 칼럼, 그리고 랍비 엘리야후 비렌바움이 쓴 전 세계 유대인 공동체의 랍비니 지도자들을 다룬 섹션.
제외사항
이 신문은 1999년 이스라엘 총선 당시 에후드 바라크가 연루된 비영리단체 사무를 폭로한 것과 그해 노동당 경선 과정에서 MK에디소 마살라의 참패를 초래한 부정선거 의혹 등 여러 가지 배제를 내세우고 있다.
참고 항목
참조
- ^ Shamir, M.; Rahat, G. (2017). The Elections in Israel 2015. Elections of Israel. Taylor & Francis. ISBN 978-1-351-62108-3. Retrieved 2020-05-10.
- ^ Soffer, Oren (2014). Mass Communication In Israel: Nationalism, Globalization, and Segmentation. Berghahn Books. ISBN 978-1-78238-452-6. Retrieved 2020-05-10.
- ^ "Makor rishon in recovery plan (in Hebrew)".
- ^ "Makor Rishon employees submitted a court appeal (in Hebrew)".
- ^ ""The court approved the sale of "Makor Rishon" to "Israel Hayom"" (in Hebrew)".
- ^ "Gilo approved selling it to Adelson (in Hebr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