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심 1세
Maksim I막심 1세 | |
---|---|
페치 대주교와 세르비아 총대주교 | |
교회 | 세르비아 페치 총대주교 |
참조 | 페치 가부장적 수도원 |
설치된. | 1655 |
기간이 종료됨 | 1674 |
전임자 | 가브릴로 1세 |
후계자 | 아르세니제 3세 |
개인내역 | |
죽은 | 1680 페치 가부장적 수도원 |
국적 | 럼 밀레 (세르비안) |
디노미네이션 | 동방 정교회 기독교 |
직업 | 세르비아 정교회의 정신적 지도자 |
막심 1세 스코플자낙(세르비안 키릴어: иим i I сопппп))))))))))) (1680년 10월 29일 ~ 1675년 ~ 1674년 사이)은 페치 대주교와 세르비아 총대주교였다.1674년 페치의 가부장적 수도원에서 살다가 고령으로 사직하고 1680년 사망하였다.[1]
라슈카 메트로폴리탄
막심은 스코프제(Skopje)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별명이 붙었다.그는 라슈카 메트로폴리탄으로 복무 중이었는데, 그의 선구자 가브릴로 1세는 술탄의 가톨릭 적들과 맺은 접촉에 대한 오스만 보복을 두려워하여 러시아로 도망쳤다.곧 가브릴로 1세는 돌아올 생각이 없으며 새로운 족장을 뽑아야 한다고 발표했다.그러나 이것이 그의 것인지 하이포트의 이니셔티브인지는 확실하지 않다.물살이 아직 살아 있고 잘 되어 있는 상태에서 새 총대주교를 선출하는 것이 아무리 이상한 일이었어도 세르비아 교회는 지도자가 필요했고 그것은 매우 서둘러 새 총대주교를 선출하기 시작했다.
가브릴로의 탈퇴는 서방과의 더 긴밀한 유대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세워진 세르비아 교회 내의 당이 몰락하는 것을 의미했다.오스만 당국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로 한 다른 진영이 정권을 잡았다.메트로폴리탄 막심이 이 정책의 가장 적극적인 지지자 중 한 사람이었기 때문에 그는 페치에서 가부장적인 왕좌에 선출되었다.
총대주교
총대주교로서 막심은 로마와의 협상을 포기하고 러시아와의 더 긴밀한 관계를 맺는 것을 멀리했다.외세와의 유대를 이어가던 주교 2명이 곧 탈락했다.
막심은 자신의 양떼의 신앙을 튼튼히 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오스만 세금의 중징계를 위해 필요한 돈을 모으기 위해 페치(Pech)의 자리에서 많은 곳을 여행하며, 그의 총대주교의 거의 모든 지역을 방문하였다.1662년에 우리는 그를 사모코프에서, 1666년에 그는 스렘에서, 1671년에 오브차르-카블라 협곡에 있었다.그는 또한 1662년 자신의 총대주교 영역에서 과감히 벗어나 왈라키아에 기부금을 모으러 갔다.막심도 성지 순례길에 올랐다.
술탄의 헌장에도 불구하고, 세르비아 주교들은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의 프란치스코 로마 가톨릭 수도원들을 통제하려고 노력했다.이것은 주로 돈을 더 벌기 위해 행해졌다.막심 1세는 이 정책의 지지자였으며 1661년 리브노를 방문했을 때 격분한 지역 가톨릭 신자들의 공격을 받아 간신히 목숨을 건졌다.
막심은 페치 수도원 자리에 앉아 성 니콜라스 교회를 프레스코화(1672년)라고 명령했고, 그 후 승려들을 위해 새 주거지를 지었다(1674년).
학식 있는 사람으로서, 그리고 책을 사랑하는 사람으로서, 빈번한 여행에서 막심은 고서와 원고를 수집했다.그가 세르비아 교회와 수도원에 기증한 대부분의 책들.
병과 죽음
1669년 3월 초에 병에 걸렸고 몇 달 후 아르세니제 크르노예비치가 흐보스노 대도시(때로는 페치 도시라고도 불림)로 선정되어 막심의 부관이 되었다.그는 1680년 10월 그가 묻힌 페치 수도원에서 사망했다.그의 석관은 몸과 함께 아직도 성 니콜라스의 교회 앞에 열려 있는 현관에 서 있는데,[2] 성 니콜라스는 다시 칠하라고 명령했다.이 다소 특이한 무덤의 장소는 선견자의 신앙에 대한 죄책감에 스스로 선택한 것이라는 지역 전설에 의해 설명된다.[3]
참조
참고 문헌 목록
- Ćirković, Sima (2004). The Serbs. Malden: Blackwell Publishing. ISBN 9781405142915.
- Fotić, Aleksandar (2008). "Serbian Orthodox Church".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New York: Infobase Publishing. pp. 519–520. ISBN 9781438110257.
- Kašić, Dušan, ed. (1965). Serbian Orthodox Church: Its past and present. Vol. 1. Belgrade: Serbian Orthodox Church.
- Pavlovich, Paul (1989). The History of the Serbian Orthodox Church. Serbian Heritage Books. ISBN 9780969133124.
- Слијепчевић, Ђоко М. (1962). Историја Српске православне цркве (History of the Serbian Orthodox Church). Vol. књ. 1. Минхен: Искра.
- Вуковић, Сава (1996). Српски јерарси од деветог до двадесетог века (Serbian Hierarchs from the 9th to the 20th Century). Београд: Евро.
- 올가 지로예비치, 스르비자 포드 투르스콤 벨라슈 1459-1804, 베오그라드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