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09 러시아 참가

Russia in the Eurovision Song Contest 2009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09
나라 러시아
국내 선발
선발 과정에브로비데니 2009 - 나시오날니 오트보르
선택일2009년 3월 7일
선발된 응모집아나스타시아 프리호드코
선곡'마모'
선택한 작곡가
파이널 퍼포먼스
최종 결과11위 91점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참가한 러시아
© 2008 2009 • 2010년도

러시아디마 빌란의 노래 'Believe'로 유로비전 콘테스트 2008에서 우승한 후 모스크바에서 유로비전콘테스트 2009에 참가하여 주최하였다.러시아 진출작은 러시아 방송사 채널 원 러시아(C1R)[1]가 주관하는 전국 결승전을 통해 선발되었다.아나스타샤 프리호드코는 "Mamo"라는 곡으로 러시아를 대표하여 결승에서 91점을 얻어 11위에 [2]그쳤다.

유로비전 이전

에브로비데니 2009 - 나시오날니 오트보르

Evrovidenie 2009 - Nacionaly Otbor는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러시아의 응모작을 선정하는 음악 경연대회인 Evrovidenie의 다섯 번째 대회였다.이 쇼는 2009년 3월 7일 모스크바 오스탄키노 테크니컬[3] 센터의 스튜디오 1에서 열렸다.안드레이 말라호프야나 추리코바가 주최하고 드미트리 셰펠레프가 그린룸에서 세그먼트를 진행했다.16명의 아티스트와 노래가 참여했고 심사위원단과 공중파 TV를 통해 수상자가 선정되었습니다.이 프로그램은 채널 1과 이 방송사의 웹사이트 [4]eurovision.1tv.ru을 통해 온라인으로 방송되었다.

경쟁 엔트리

2008년 11월, C1R은 관심 있는 아티스트와 작곡가가 출품작을 제출하는 제출 기간을 발표했습니다.전국 파이널의 초기 형식은 노래를 선택하는 1단계, 3명의 아티스트를 선택하는 2단계, 우승 아티스트와 노래 조합을 선택하는 3단계 등 3단계로 구성됐다.포맷은 나중에 C1R에 의해 수정되었는데, 여기서 아티스트들은 그들이 제출한 곡들과 경쟁하게 된다.그 방송사는 마감일에 1,000명 이상의 신청을 받았다.접수된 출품작 중 50개가 최종 후보 명단에 올랐고, 심사위원단은 전국 결승 진출자 15명을 선정했다.경쟁법은 2009년 [4]2월 26일에 발표되었다.

경쟁작 발표 후, Kvatro, Polina Griffith, Tim Rocks, Venger Collective 등 4명의 선택된 아티스트가 2009년 콘테스트 규칙을 위반하여 곡을 제출했으며, 이 중 2008년 10월 1일 이전에 공개되거나 상업적으로 발매되었습니다.Kvatro와 Polina Griffith는 각자의 노래를 바꿨고 Tim Rocks와 Venger Collective는 부적격 곡으로 남았다.2009년 3월 5일, C1R은 아나스타샤 프리호드코[4]규정 위반으로 2009 우크라이나 유로비전 전국 결승에서 탈락한 것에 대한 항의의 의미로 "Mamo"라는 곡으로 전국 결승에 참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최종

결승전은 2009년 3월 7일에 열렸다.16명의 참가자가 경쟁했고 두 번의 투표로 승자가 결정되었다.1라운드에서는 공중파 TV가 상위 3개 엔트리를 단독 선정해 2라운드인 슈퍼파이널에 진출했다.슈퍼 파이널에서는 아나스타샤 프리호드코가 연기한 우승자 '마모'가 심사위원단의 [5][6][7]투표로 결정됐다.심사위원단은 알렉산더 바라니코프(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09 조직위원회 비서), 조한 폴레예바(CIS 국가 인도주의 협력 협의회 회장), 유리 악슈타(Kim Breitburg), 알렉산더 둘로프(Kim Breitburg), 이고르 알렉산드로이 루노프(Igladimir Kradimer Kruschroy)로 구성됐다.리사 시넬시코바와 막심 파데프입니다유로비전콘테스트 2008 우승자 디마 빌란, 2000년 러시아 유로비전 진출자 알수, 2007년 러시아 유로비전 진출자 세레브로, 2009년 아제르바이잔 유로비전 진출자 AySel and Arash, 2009년 프랑스 유로비전 진출자 Patricia Kaas, 2004년2009년 그리스 사키비전 진출자영국 유로비전 진출자인 제이드 유웬이 [8]게스트로 공연했다.

최종 – 2009년 3월 7일
그리다 예술가. 노래 텔레비전 장소
1 안나 세메노비치 "러브 로빌라" 8% 5
2 토마스 네버그린 "One More Try" (원모어 트라이) 2% 11
3 알렉산사 "Ne dumat o tebe" 7% 6
4 플라즈마 '네버엔딩 스토리 3% 8
5 아나스타시아 프리호드코 '마모' 25% 1
6 발레리야 "Back to Love" 14% 2
7 나노 '배신자' 2% 11
8 팀 록스 '가장 행복한 남자' 1% 15
9 프린세아 애비뉴 "Never, Never" 2% 11
10 니콜라이 포키예프 "시간을 멈출 수 없다' 1% 15
11 벤저 컬렉션 모스크바 9시 3% 8
12 폴리나 그리피스 "Cry for You" 5% 7
13 알렉세이 보로비요프 '엔젤롬바트' 10% 4
14 남녀 공용 '아이아이아이' 2% 11
15 아리샤타 '분할' 3% 8
16 크바트로 류보부오토베차이 12% 3
슈퍼파이널 – 2009년 3월 7일
그리다 예술가. 노래 포인트 장소
1 아나스타시아 프리호드코 '마모' 6 1
2 발레리야 "Back to Love" 5 2
3 크바트로 류보부오토베차이 0 3

논란

Prikhodko의 승리는 [9]부정선거 의혹을 불러일으켰다.이 곡은 2009년 우크라이나 사전 선곡에서 우크라이나어 버전으로 처음 제출되었지만, 최종적으로는 러시아어와 [10]우크라이나어로 공연된 콘테스트에서 우승하기 전에 자격을 얻지 못했다.발레리야의 프로듀서 유시프 프리고진은 "우크라이나어로 연주되는 노래는 러시아와 아무 관련이 없다"고 말하면서 프리고코의 노래의 이중언어 특성에 동의하지 않았다.[9]

유로비전

모스크바에서 열린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09에서 아나스타샤 프리호드코.

유로비전콘테스트 2008의 우승자이자 2009년 콘테스트의 개최국으로서 러시아는 2009년 5월 16일에 열린 결승전에 자동 진출했다.러시아는 결승전에 참가했을 뿐만 아니라 [11]2009년 5월 14일 두 번째 준결승에서 투표를 하도록 배정되었다.

2009년 3월 16일 주행 순서 추첨에서 러시아는 [12]결승에서 10위로 뽑혔다.결승전에서 러시아는 아르메니아에 이어 아제르바이잔에 [13]앞서 경기를 펼쳤다.러시아 공연에서는 하얀 드레스를 입은 프릭호드코와 민족적 요소가 가미된 의상을 입은 5명의 성악가들이 함께 공연했다.무대의 다양한 화면에는 [14]프릭호드의 얼굴이 노래 가사를 부르면서 점점 늙어가는 모습이 담겨 있었다.러시아는 결승에서 91점을 [15][16]얻어 11위를 차지했다.2009년 7월 31일,[17] 유럽 방송 연합은 결승전의 분할 결과를 발표했다.

러시아에서는 준결승과 결승이 모두 채널 1 러시아로 방송되었으며, 모든 쇼는 야나 추리코바, 준결승은 알렉세이 마누일로프, 결승은 필립 커코로프가 해설 서비스를 제공하였다.러시아의 투표 대변인은 잉게보르가 답쿠나이츠였다.

투표

러시아에게 주어지는 점수

러시아에게 주어지는 포인트(결승)[18]
스코어 나라
12점 아르메니아
10점 에스토니아
8점
7점
6점
5점 독일.
4점 터키
3점 폴란드
2점
1점 키프로스

러시아의 점수 부여

상세한 투표 결과

2009년 대회의 경우, 5명의 국가 심사위원이 텔레비전 결과와 함께 대회의 결승에서 50%의 표를 제공하기 위해 각국에 의해 소집되었다.2차 준결승에서의 러시아의 투표는 오로지 공중파 TV의 결과에 의해 결정되었다.다음 구성원은 러시아 [20]배심원으로 구성되었다.

러시아로부터의 상세 투표 결과 (최종)[17][21]
그리다 나라 결과. 포인트
쥬리 텔레비전 합쳐진
01 리투아니아
02 이스라엘
03 프랑스. 12 5 17 10
04 스웨덴 3 3
05 크로아티아
06 포르투갈
07 아이슬란드 6 6 3
08 그리스 8 1 9 4
09 아르메니아 1 8 9 5
10 러시아
11 아제르바이잔 3 10 13 7
12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 2
13 몰도바 4 4 1
14 몰타 2 2
15 에스토니아 7 7 14 8
16 덴마크
17 독일.
18 터키
19 알바니아
20 노르웨이 10 12 22 12
21 우크라이나 5 5 2
22 루마니아
23 영국 6 4 10 6
24 핀란드
25 스페인

레퍼런스

  1. ^ Klier, Marcus (10 December 2008). "Russia: televised national selection again". ESCToday.com. Retrieved 10 December 2008.
  2. ^ "Eurovision Song Contest 2009 Final". Eurovision.tv. Retrieved 26 July 2013.
  3. ^ "Российский отбор на Евровидение 2009 (1 часть) — Video VK".
  4. ^ a b c Mikheev, Andy. "Russia at the Eurovision Song Contest 2009". ESCKaz. Retrieved 29 July 2013.
  5. ^ Fisher, Luke (7 March 2009). "Anastasia Prihodko to represent Russia in Moscow!". Oiko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March 2009. Retrieved 7 March 2009.
  6. ^ Omelyanchuk, Olena (7 March 2009). "Russia votes for Anastasia Prikhodko". EBU. Retrieved 7 March 2009.
  7. ^ "RUSSIAN NATIONAL FINAL 2009".
  8. ^ Klier, Marcus (7 March 2009). "Live: National final in Russia". ESCToday.com. Retrieved 7 March 2009.
  9. ^ a b "Eurovision vote-rigging row as Ukrainian wins contest to represent Russia". The Times. 10 March 2009. Retrieved 10 March 2009.
  10. ^ "Mamo - information". Diggiloo Thrush. Retrieved 8 March 2009.
  11. ^ Floras, Stella (30 January 2009). "Live:The Eurovision Semi Final draw". ESCToday.com. Retrieved 26 July 2013.
  12. ^ Klier, Marcus (16 March 2009). "Live: Draw of the running order". ESCToday.com. Retrieved 26 July 2013.
  13. ^ Klier, Marcus (15 May 2009). "UPD The complete running order for the final". ESCToday.com. Retrieved 26 July 2013.
  14. ^ 러시아: 드라마블랙, ESCToday
  15. ^ "Grand Final of Moscow 2009". European Broadcas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April 2021. Retrieved 25 April 2021.
  16. ^ 인테르팍스 우크라이나 웨이백 머신에서 2009-05-21 Eurovision 2009 결승 결과(2009년 5월 17일)
  17. ^ a b Bakker, Sietse (31 July 2009). "Exclusive: Split jury/televoting results out!". European Broadcas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June 2011. Retrieved 25 April 2021.
  18. ^ a b "Results of the Grand Final of Moscow 2009". European Broadcas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April 2021. Retrieved 26 April 2021.
  19. ^ "Results of the Second Semi-Final of Moscow 2009". European Broadcas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April 2021. Retrieved 26 April 2021.
  20. ^ Состав российского жюри конкурса песни "Евровидение-2009". Channel One Russia (in Russian). 18 May 2009. Retrieved 26 July 2013.
  21. ^ "Eurovision Song Contest 2009 - Full Results". European Broadcas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XLS) on 6 June 201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