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라댐
Mangla Dam망라댐 | |
---|---|
![]() 2012년 망라댐 항공사진 | |
나라 | 파키스탄 |
위치 | 망라,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 |
좌표 | 33°08°31°N 73°38°42°E/33.142083°N 73.645015°E좌표: 33°08°31°N 73°38 †42 †E / 33.142083°N 73.645015°E / 、 |
상황 | 동작중 |
공사가 시작되다 | 1961 |
개업일 | 1965 |
공사비 | 156억엔 (15억달러) |
소유자 | 파키스탄 정부 |
오퍼레이터 | 수자원개발청(WAPDA) |
댐 및 수로 | |
댐의 종류 | 제방댐 |
인바운드 | 젤럼 강 |
높이 | 147 m (482 피트) |
길이 | 3,140 m (10,302 피트) |
저장고 | |
작성하다 | 망라호 |
총 용량 | 9.12km3(7,390,000에이커) |
유역 구역 | 33,334km2(12,870평방마일) |
표면적 | 250km2(97평방마일) |
발전소 | |
터빈 | 10 x 100 MW |
설치 용량 | 1,150 MW (15 % 과부하) 1,500 MW[1] (최대 계획) |
망라 댐(Urdu: نگلللللا the the the the the the the)은 파키스탄 아자드잠무 카슈미르 주의 미르푸르 구에 위치한 다목적 댐이다.그것은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큰 댐이다.댐의 하구에 위치한 망라 마을은 댐의 이름과 같은 역할을 한다.1961년 11월, 프로젝트의 선택된 계약자들이 밝혀졌다; 영국의 엔지니어링 회사인 Binnie & Partners가 댐 건설의 책임 설계자, 엔지니어 및 검사관으로 일하게 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제프리 비니가 이끌었다).이 프로젝트는 Guy F가 후원하는 8개의 미국 건설사로 구성된 망라댐 [2]건설업체로 알려진 컨소시엄에 의해 수행되었다. 앳킨슨 컴퍼니는 캘리포니아 [3]사우스샌프란시스코에 거점을 두고 있습니다.
배경
1960년 인더스 수역조약의 일환으로 인도는 라비강, 수틀즈강, 베아스강 등의 수역에 대한 권리를 얻었으며 파키스탄은 앞서 언급한 파키스탄 영토 내 3개 하천의 수역 및 금전적 보상 외에 젤룸강, 체나브강, 인더스강 유역 개발권을 얻었다.1967년까지 파키스탄의 전체 관개 시스템은 인더스강과 주요 지류의 통제되지 않은 흐름에 전적으로 의존했다.농업 수확량은 여러 가지 이유로 매우 낮았고, 가장 중요한 것은 중요한 성장기 동안 물이 부족했다는 것이다.이 문제는 몬순으로 인한 하천 흐름의 계절적 변화와 높은 하천 [4][5]유량 기간 동안 방대한 양의 잉여 물을 보존할 수 있는 저수지의 부재에서 비롯되었다.
망라댐은 인더스 유역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이 단점을 줄이고 국가의 관개 시스템을 강화하기 위해 건설된 두 개의 댐 중 첫 번째 댐이며, 다른 댐은 카이버 파크툰크화 스와비의 인더스 강에 위치한 타르벨라 댐이다.
건설
비용.
망라댐은 세계은행과 [6]아시아개발은행에서 자금을 지원받아 15억8천700만엔(14억7천300만달러)을 들여 건설됐다.
저장고
이 댐은 1961년부터 1965년까지 수도 이슬라마바드에서 남동쪽으로 약 108km 떨어진 아자드 잠무와 카슈미르 미르푸르 지구의 젤룸 강 건너에 건설됐다.망라댐 구성 요소에는 저수지, 주제방, 취수제, 주여수로, 비상여수로, 취수구조물, 5개의 터널, 발전소가 포함된다.주 댐 외에, 길이 17,000피트(5,200미터)의 스키안이라고 불리는 제방과 새로운 미르푸르 마을에서 11마일(18킬로미터) 떨어진 자리 날라를 막기 위한 자리 댐이라고 불리는 작은 댐이 건설되어야 했다.
저수지에 대한 총 120 x 106 입방 야드(cu yds)의 굴착이 있었던 반면, 총 충전량은 142 x 106 cu yds, 콘크리트는 1.96 x 106 cu yds였습니다.주요 제방은 점토를 심재로 한 흙을 채우는 것이다.어깨에는 자갈과 A형 사암이 도포되어 있습니다.코어 트렌치 위의 제방의 최대 높이는 454피트(138m), 길이는 8,400피트(2,600m)이다.취수제방은 B형 사암을 심재로 하는 토사충전식이다.어깨에 자갈이 깔려 있다.코어 트렌치 위의 흡기 제방의 최대 높이는 262피트(80m)이며 길이는 1,900피트(580m)이다.
Sukian 댐은 B형 사암을 핵심 재료로 하여 흙을 채운 댐입니다.어깨에 A형 사암을 바릅니다.코어 트렌치 위의 흡기 제방의 최대 높이는 144피트(44m)이며 길이는 16,900피트(5,200m)이다.
자리댐도 실트를 핵심 재료로 하는 토사채움형이다.댐의 어깨에 자갈이 깔려 있다.핵심 참호 위의 자리 댐의 최대 높이는 274 피트(84 m), 길이는 6,800 피트(2,100 m)이다.주 유출로는 각각 36피트(11m) x 40피트(12m)인 9개의 방사형 관문이 있는 수중 오리피스 유형이다. 최대 용량은 110만 큐초이다.비상 유출로는 부식성 번드와 최대 용량이 0.23만 cusec인 보 타입이다.5개의 터널은 강철과 콘크리트로 되어있고 암반에는 1,560피트의 길이가 있다.내경은 26피트(7.9m)에서 31피트(9.4m)[7] 사이이다.
파워하우스
터빈, 발전기, 변압기로 구성된 이 발전소는 지상 고도 865피트 SPD의 취수제방 끝에 건설되었습니다.발전소 물은 직경 30/26피트의 5개의 강철로 된 터널을 통해 공급된다.각 터널은 2개의 발전 유닛을 공급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이 발전소의 테일레이스는 길이 약 4만9천 cusec, 길이 약 4만9천 cusec의 뉴봉 운하로 방류되어 구 봉 탈출 헤드웍스 근처에 [8][9]위치한 약 12km 하류에 있는 자동 게이트 제어 헤드워크에서 종료된다.
발전소에는 10개의 수직 프란시스형 터빈이 있다.각 터빈의 출력은 138,00 bhp이고 정격 수두는 295피트입니다.첫 번째 4개의 터빈은 일본 미쓰비시 전기에 의해 제조되어 1969년에 설치되었고, 5번과 6번 터빈은 체코의 ChKD Blansko에서 제조되어 1974년에 설치되었으며, 7-8번 터빈은 벨기에 ACEC에서 제조되어 1981년에 설치되었으며, 나머지 2개의 터빈은 체코와 체코의 쇼다로 구성되어 있다.1994년에 [1][8]임관했습니다.
이 터빈은 발전 용량이 100MW인 우산형 발전기에 연결된다. 일본 히타치는 1~4호기와 7-8호기를 위한 발전기를 제공한 반면, 슈코다 발전기는 5~6호기와 9-10호기에 연결된다.
이들 발전기는 차례로 3상 변압기에 접속됩니다.터빈 1, 4, 7에 연결된 변압기는 이탈리아에 본사를 둔 사빌리아노가 제조했습니다.5호기와 6호기용 변압기는 이탈리아의 또 다른 회사인 Italtrafo사의 것이고, 나머지 5개의 변압기는 Shkoda사가 [8]제공한다.
교체 및 재정착
파키스탄 정부는 댐에 의해 생성된 물과 전기를 사용하기 위해 AJK(아자드 잠무와 카슈미르) 정부에 로열티를 지불하기로 합의했었다.댐 [10]건설로 280개 이상의 마을과 미르푸르와 다디얄 마을이 물에 잠겼고 11만 명 이상의 이재민이 발생했다.댐의 영향을 받은 사람들 중 일부는 파키스탄 정부로부터 영국에 대한 노동 허가를 받았고, 그 결과 영국의 많은 도시들에서 파키스탄 공동체의 대부분은 아자드 [11]카슈미르 다디얄-미르푸르 지역에서 비롯되었다.영국에는 [12]747,000명의 미르푸리가 있으며 영국 미르푸리 공동체는 영국 파키스탄 공동체의 약 70%를 형성하고 있다.그 비율은 북부 도시와 마을에서 더 높다.영국 북서부의 산업도시 브래드포드의 경우 인구의 약 4분의 3이 미르푸르 출신이며 버밍엄에도 상당한 인구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그 당시, 많은 사람들은 영국의 심각한 인력 부족 때문에 섬유와 철강 공장에서 일을 시작했다.
작동
이 프로젝트는 주로 Jhelum강과 그 지류의 흐름으로부터 관개에 사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 고안되었다.이차적인 기능은 저수지의 인공 헤드에 있는 관개 방출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는 것이었다.이 프로젝트는 처음에는 하나로 설계되지 않았지만 [11]장마철에 물을 유지함으로써 홍수 방지 구조로서도 기능한다.
1971년 12월 5일, 댐은 1971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중 인도 공군의 폭격으로 손상되었다.이는 대규모 저수지가 전쟁의 표적이 되지 않는다는 국제관례에 위배되는 것이었다.그 결과, 수력 프로젝트는 일시적으로 [13][14]중단되었다.
2009년 이용 가능한 데이터로부터 이 프로젝트는 시운전 이후 1835억5100만 유닛의 저비용 하이드엘 에너지를 생성했다.2008-2009년 연간 발전량은 4억 9742만 5천 KWh였으며, 발전소는 총 WAPDA 시스템 [8]피크의 8.18%인 1150 MW의 피크 부하를 공유했다.
2013년 9월 1일, 망라댐의 수위는 1237.15피트로 최대 보존 수위 1242피트에 비해 최고 수위에 도달했다.파키스탄 라디오방송은 망라댐의 수위가 역사상 최대 높이인 1237.15피트에 달했으며 지금도 [15]계속 높아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망라댐 육성사업
망라 저수지는 당초 72억5000만입방미터(588만입방피트)였으나 침전 때문에 2005년 57억7000만입방미터3(467만4천입방피트)로 감소해 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이러한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2004년 망라댐 육성사업이 시작되어 2009년 주댐, 여수로 및 그 제휴공사가 1013억8400만달러를 들여 완공되었다.이 프로젝트는 댐 높이를 482피트(147m)로 30피트 높였고, 이에 따라 최대 수위도 1202피트에서 1242피트로 [1][16]높였다.이로 인해 댐의 저장 용량은 5.56에서 91억 2천만3 m(4.51만 에이커에서 739만 에이커)[17]로 증가했습니다.또 망라댐의 높이를 30피트 높인 뒤 연간 12%의 추가 에너지를 생산해 설치 용량을 기존 1000MW에서 [18]1120MW로 늘릴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망라댐 육성 프로젝트는 댐 주변에 살고 있는 4만 명 이상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쳤다.보상과 재정착의 총비용은 700억 달러였다.재정착 프로젝트에는 뉴미르푸르시티 건설, 모든 시민 편의시설을 갖춘 4개의 위성도시(이슬람가르, 차크스와리, 다디얄, 시아크), 미르푸르 바이패스 건설,[7][19] 그리고 제룸강과 봉운하를 가로지르는 2개의 다리 건설이 포함된다.
망라파워하우스 증축 프로젝트
2012년 11월, 미국은 망라댐의 강국 확장을 위해 1억 5천만 달러의 보조금을 지급한다고 발표했습니다.이 프로젝트에서는 향후 40년간 추가 생산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되는 망라댐 발전소에 4억 달러가 투입될 예정이다.프로젝트가 완료되면 망라댐의 발전용량이 기존 1000MW 용량에서 1,310MW로 증가합니다.이 댐은 페르베즈 무샤라프 시대에 더욱 확장되었지만 댐의 [citation needed]수위를 높이는 것 외에는 발전 능력을 향상시키지는 못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c "UP-GRADATION AND REFURBISHMENT OF GENERATING UNITS OF MANGLA POWER STATION". Water and Power Development Author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June 2012. Retrieved 10 September 2013.
- ^ Muir Wood, Sir Alan (1990). Biographical Memoirs of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Geoffrey Morse Binnie (13 November 1908 – 5 April 1989). London: Royal Society. pp. 45–57.
- ^ 알비, 하미드'망라댐 프로젝트 2년'무역 및 산업: 파키스탄의 국제 월간 경제 저널.망라댐 VIIII(1964년) 사양발행: 633.
- ^ "Tarabela Dam". www.structurae.de. Retrieved 9 July 2007.
- ^ "Indus Basin Project". Encyclopædia Britannica. Retrieved 9 July 2007.
- ^ "Water Dams: Mangla Archived 2013-07-30 at the Wayback Machine"수자원개발청이 프로젝트에는 Iqbal Hussein씨와 열심히 이 일을 한 다른 근로자들이 포함되어 있었다.2013년 8월 10일 취득.
- ^ a b "Pakistan Water Gateway: Mangla Dam" (PDF). IUCN Pakist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2 October 2013. Retrieved 7 August 2013.
- ^ a b c d "Hydel Generation: Mangla Dam". Water & Power Development Author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October 2013. Retrieved 7 August 2013.
- ^ Butt, M. J., Waqas, A.와 Mahmood, 2010. "수자원 관리에서의 식생과 토양 침식의 복합 영향"수자원 관리. 24(13), 3701-3714, 디지털 객체 식별자(DOI): 10.1007/s11269-010-9627-7.
- ^ Terminski, Bogumil "개발에 의한 변위 및 재정착:Indiana University, 2013, 이론적 프레임워크와 현재의 과제, http://dlc.dlib.indiana.edu/dlc/handle/10535/8833?show=full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 ^ a b "The Pakistani Muslim Community in England"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9 September 2012.
- ^ http://www.ons.gov.uk/ons/guide-method/census/2011/the-2011-census/2011-census-questionnaire-content/question-and-content-recommendations/kashmiri-research-project-2011---final-report.pdf[베어 URL PDF]
- ^ "Hunter Aircraft". Global Security.org. Retrieved 9 July 2007.
- ^ "Mangla Dam". Pakistanpaedia. Retrieved 7 August 2013.
- ^ "Water level in Mangla Dam reaches to record height of 1237.15 feet". Radio Pakistan. 1 September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September 2013. Retrieved 1 September 2013.
- ^ "MANGLA DAM RAISING PROJECT" (PDF). Pakistan Electric Power Company.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4 March 2011. Retrieved 7 August 2013.
- ^ "Mangla Dam becomes largest water reservoir of Pakistan". Daily Times (Pakistan). 26 August 2013. Retrieved 10 September 2013.
- ^ "Mangla Dam raising to add 120MW". The News International. 22 September 2012. Retrieved 10 September 2013.
- ^ "Water storage in Mangla Dam reaches historic high". The Express Tribune. 7 August 2013. Retrieved 10 September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