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누엘 무릴로 토로
Manuel Murillo Toro마누엘 무릴로 토로 | |
---|---|
![]() | |
제9대 콜롬비아 대통령 | |
재직중 1872년 4월 1일 – 1874년 4월 1일 | |
선행자 | 유스토르지오 살가르 |
성공자 | 산티아고 페레스 |
제15대 콜롬비아 대통령 | |
재직중 1864년 4월 8일 – 1866년 4월 1일 | |
선행자 | 마리아노 오스피나 로드리게스 |
성공자 | 산토스 아코스타 |
제2대 산탄데르 주 대통령 | |
재직중 1857년 10월 23일 – 1859년 1월 10일 | |
선행자 | 에스타니슬라오 실바 칼데론 |
성공자 | 울피아노 발렌주엘라 |
재무장관 | |
재직중 1849–1853 | |
대통령 | 호세 힐라리오 로페스 |
베네수엘라 주재 뉴 그라나다 4대 특사와 전권대사 | |
재직중 1867–1869 | |
대통령 | 산토스 아코스타 카스티요 |
재직중 1874–1876 | |
대통령 | 산티아고 페레스 |
선행자 | 안토니오 마리아 프라딜라 |
성공자 | 호세 세르지오 카마르고 핀손 |
개인내역 | |
태어난 | 톨리마 주 차파랄 | 1 1816년 1월
죽은 | 1880년 12월 26일 콜롬비아 쿤디나마카 보고타 | (64세)
국적 | 콜롬비아의 |
정당 | 자유주의 |
배우자 | 아나 로마 카바르카스 |
마누엘 무릴로 토로(1816–1880)는 콜롬비아의 정치가로서 콜롬비아의 미국(현재의 콜롬비아) 대통령을 두 차례에 걸쳐 지냈으며, 처음은 1864년부터 1866년까지, 그리고 다시 1872년부터 1874년 사이였다.[1]
생물학적 데이터
무릴로는 1816년 1월 1일 톨리마의 차파랄 마을에서 태어났다.[1] 그는 보고타 대학에서 법학 학위를 받았다.[2] 1880년 12월 26일 쿤디나마카 보고타에서 사망하였다.[3]
초기 경력
그의 일간지 기사는 1837년부터 1840년까지 호세 이그나시오 데 마르케스의 보수당 정부에 대한 활발한 반대 때문에 주목을 받았다. 말년의 혁명 이후 그는 큰 영향력을 행사한 가세타 메르칸틸 데 산타 마르타 편집장이 되어 1849년 선거에서 파르티도 자유 콜롬비아노가 승리할 수 있는 길을 닦았다. 그는 중의원에 선출되었고, 곧 웅변으로 명성을 얻었다. 호세 힐라리오 로페스 대통령 행정부 시절 국무장관, 당시 재무장관으로 불려갔다.[2]
재무장관으로서 산업의 자유와 지방수입의 분권을 확립하여, 향후 연방기관의 길을 마련하였다. 그와 동시에 언론에서 행정부를 옹호하고, 노예제도 폐지, 정치범죄 사형제도 폐지, 여러 재정 독과점 폐지 등 정부에 의해 수립된 진보적 개혁의 큰 부분을 시작했다. 언론의 자유와 민법 개혁을 주창했다.[2]
1852년 그는 공화국의 부통령 후보로 낙선했다. 자유당이 정권을 잃자 그는 언론계에 복귀했고, 그가 산탄데르 주 행정관으로 있었던 짧은 시간 동안을 제외하고는 보수당 정부에 대한 강력한 반대를 견지했다. 마리아노 오스피나 로드리게스 대통령이 타도되고, 1863년 2월 4일 리오 네그로의 제헌협약에 의해 선포된 연방에 의해 무릴로는 유럽에 장관으로 임명되었고, 그 후 미국에 임명되었다.[2]
제1대 대통령직
무릴로는 1864년 총선거에서 파르티도 자유주의 콜롬비아노를 대표하여 콜롬비아 대통령에 출마했다. 콜롬비아 보수당은 이번 선거 참가를 기권했다. 무릴로는 또 다른 두 명의 자유주의 적수가 있었는데, 토마스 치프리아노 데 모스메라와 산토스 구티에레즈였다. 무릴로는 선거에서 승리하여 1864-1866년 대통령 임기 동안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1] 회유 정신으로 유명한 그의 행정부 동안, 최초의 전신선이 설치되었다.[2]
대통령 임기가 끝난 후, 그는 연방 상원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867년 3월 의회가 해산되었을 때, 그는 모스크라 대통령의 명령에 의해, 모스라 대통령의 어떤 독단적인 조치에 대한 반대 때문에 다른 사람들과 함께 체포되었다. 무릴로는 1867년 5월 25일 모스메라가 퇴위한 후 쿤디나마르카 입법부의 일원이었으며, 그 후 잠시 동안 다시 미국에 목사를 지내고 대법원의 판사를 맡았다. 이 모든 직책에서 그는 언론인이자 입법자로서 천명한 교리를 일관되게 고수하여 주목받았다.[2]
제2대 대통령직
무릴로는 콜롬비아 자유당을 대표하는 1872년 총선에서 콜롬비아 대통령에 두 번째 출마했다. 그는 부분적으로 보수당의 도움을 받았다.[2] 무릴로는 또 다른 두 명의 반대자가 있었는데, 마누엘 말라리노와 훌리안 트루히요 라르가차였다. 무릴로는 선거에서 승리하여 1872년에서 1874년 대통령 임기 동안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이 선거에서 승리하면서, 무릴로는 두 번째로 콜롬비아 대통령으로 선출된 첫 번째 민간인이 되었다.[3]
후기 경력
그의 후임인 산티아고 페레스 데 마노살바스는 비록 야당 소속이지만 그를 특사로, 전권부 장관으로 베네수엘라에 파견하여 구즈만 블랑코의 제안에 따라 경계의 현안 문제를 정리했다. 무릴로가 베네수엘라 청장이 제기한 모든 사항에 대해 대단한 능력으로 논박했기 때문에 어떤 조약도 합의할 수 없었다. 무릴로는 1878년 다시 상원의원으로 선출되어 다음 회기에 의석을 차지하였으나 1880년 병으로 참석하지 못하고 같은 해에 사망하였다.[2]
시장의 업적
무릴로는 종교의 자유, 집회의 자유, 언론의 자유라는 권리를 법률에 도입하기 위한 법률을 후원하고 지지하고 제정했다. 그는 또한 국립언론전신연구소와 국립카토그래피 연구소를 설립했다.[4]
참조
- ^ a b c 아리센디 포사다, 이그나시오, 고베르난테스 콜롬비아, 트랜스. 콜롬비아 대통령, 인터프린트 에디터 이태라프; 세군다 에디시온; 77페이지; 콜롬비아 보고타; 1983
- ^ a b c d e f g h Wilson, J. G.; Fiske, J., eds. (1900). . Appletons' Cyclopædia of American Biography. New York: D. Appleton.
- ^ a b 아리센디 포사다, 이그나시오, 고베르난테스 콜롬비아, 트랜스. 콜롬비아 대통령, 인터프린트 에디터 이태라프; 세군다 에디시온; 80페이지; 콜롬비아 보고타; 1983
- ^ 아리센디 포사다, 이그나시오, 고베르난테스 콜롬비아, 트랜스. 콜롬비아 대통령, 인터프린트 에디터 이탈리아그라프; 세군다 에디시온; 79페이지; 콜롬비아 보고타;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