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셀 디옹
Marcel Dionne마르셀 디옹 | |||
---|---|---|---|
1992년 하키 명예의 전당 | |||
1987년 디온느 | |||
태어난 | 캐나다 퀘벡주 드럼몬드빌 | ( 1951년 8월 3일 (||
높이 | 173 cm (5 피트)8 인치 | ||
체중 | 185파운드(84kg>13스톤 3파운드). | ||
위치 | 센터 | ||
샷 | 맞다 | ||
플레이 대상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로스앤젤레스 킹스 뉴욕 레인저스 | ||
국가대표 | ![]() | ||
NHL 드래프트 | 종합 2위, 1971년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
선수 경력 | 1971–1989 | ||
메달 기록 |

마르셀 엘페주 "리틀 비버" 디온느(Marcel Elphége "Little Beaver" Dionne, 1951년 8월 3일 ~ )는 캐나다의 전직 아이스하키 센터로,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로스앤젤레스 킹스, 뉴욕 레인저스에서 18시즌을 뛰었다.마르셀 디온느는 1992년에 하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2017년 디온느는 역사상 [1]가장 위대한 NHL 선수 100인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
주니어 경력
디온느는 1962년, 1963년, 1964년 퀘벡 국제 피위 하키 토너먼트에서 자신의 드러몬드빌 청소년 [2]팀과 함께 뛰었다.디온느의 첫 주니어 시즌은 1968년 퀘벡 주니어 하키 리그의 드러몬드빌 레인저스에서였는데, 그는 메모리얼 컵 플레이오프에서 드러몬드빌의 노력을 잃은 경기에서 한 경기당 2골 이상을 득점했다.
1969년 퀘벡 메이저 주니어 하키 리그가 결성되었을 때, 디오네는 온타리오 하키 협회에서 뛰기 위해 떠났고, 이후 세 시즌을 세인트루이스에서 보냈다. 캐서린 블랙 호크.그는 1970년과 1971년에 득점왕을 차지했고 43번의 플레이오프 경기에서 122득점을 기록하며 리그 최고의 스타가 되었다.디온느의 득점 실적은 1971년 리처드슨 컵 결승에서 퀘벡 렘파츠와의 경기에서 캐나다 주니어 하키에서 가장 악명 높은 사건 중 하나로 얼룩졌다.디온네의 블랙호크 팀 버스가 [3]폭도들의 공격을 받은 시리즈의 4번째 경기가 끝난 후 퀘벡 시티에서 폭동이 일어난 후, 5번째 경기는 중립적인 장소에서 열렸고, 나머지 경기는 더 이상의 [4]폭력에 대한 두려움으로 진행되지 않았다.
디온느는 [5]1977년 데일 맥코트가 득점할 때까지 깨지지 않았던 OHA의 득점 기록을 깨며 주니어 경력을 마쳤다.이후 1971년 NHL 드래프트에서 디트로이트 레드 윙스에 의해 1라운드(전체 2위, 렘파트의 라이벌인 가이 라플레르)에 지명되었다.
NHL 경력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디온느는 레드윙스에서 첫 4시즌을 뛰었는데, 레드윙스는 그렇지 않으면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한 침체된 팀에서 몇 안 되는 스타 중 하나였다.
로스앤젤레스 킹스
알렉스 델베키오와 미키 레드몬드와 같은 팀 동료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패배에 대한 디온느의 좌절은 분명했다.그의 에이전트인 앨런 이글슨은 더 많은 돈을 요구했다.LA 킹스의 구단주인 잭 켄트 쿡은 디온느에게 연간 30만 달러를 제공했다.레드 윙스와 거래가 이루어졌고 디온느는 테리 하퍼, 댄 말로니, 현금과 드래프트 픽으로 트레이드되었다. 디온느는 1975년 6월 23일 킹스와 계약하여 그들의 프랜차이즈 선수가 되었다.그 당시, 그것은 [6]하키 역사상 가장 부유한 거래였다.
디온느는 LA 킹스에서 11시즌 반을 뛰며 찰리 덤과 데이브 테일러를 중심으로 유명한 "트리플 크라운 라인"을 형성했다.정규 시즌 동안 디온느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그는 킹스의 플레이오프 성공 부재로 좌절하였고, 킹스는 1976년부터 1982년까지 포스트시즌을 만들었으나 총 43번의 플레이오프 경기를 위해 3번만 2라운드에 진출하였다.1986-87시즌 동안 디오네는 미키 레드몬드가 디트로이트에서 신인 시절 그를 지도했던 것처럼 킹스의 신인 선수들을 지도했다.그는 칼더 트로피 우승자인 뤽 로비타유, 지미 카슨, 그리고 스티브 뒤센을 후원했다.
신인들과의 관계에도 불구하고, 팻 퀸 감독과의 불화도 있었고, 게다가 나이 든 킹스는 플레이오프에 불참할 예정이었다.디온느는 재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싶지 않았고, 선수 명단의 즉각적인 업그레이드나 경쟁자로의 트레이드도 원했다.그는 1987년 3월 10일 뉴욕 레인저스로 이적되었다; 킹스는 그가 이적된 시즌에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뉴욕 레인저스
디온느는 그곳에서 남은 2년 반 동안 뛰었는데, 레인저스는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두 번이나 패했고 한 번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했다.그는 [7]1989년에 은퇴했다.
은퇴.
2004년 1월, 디온느는 캐나다 우표에 등장했습니다.NHL 올스타 컬렉션의 일부로서 디오네는 다른 5명의 [8]올스타와 함께 불멸의 영예를 안았다.
디온느는 온타리오의 나이아가라 폭포와 뉴욕의 [9]클라렌스 센터에 집을 가지고 있다.그는 나이아가라 폭포에서 블루라인 다이너를 소유하고 버팔로에서 스포츠 기념품 가게를 운영하며 [10]부동산을 사고파는 등 선수 시절부터 큰 사업과 투자 포트폴리오를 유지해왔다.
성과
1972년 디트로이트에서의 디온느의 첫 시즌 동안, 그는 77점으로 신인 선수의 득점으로 NHL 기록을 세웠다.그 이후 이 기록은 깨졌다.
디오네의 최고의 시즌은 그가 137점을 기록한 1979-80년이었다.그 시즌, 그는 웨인 그레츠키와 함께 득점 공동 선두를 달리고 있었다.그는 그레츠키보다 2골을 더 넣음으로써 아트 로스 트로피를 수상했는데, 그가 상을 받은 유일한 순간이었다.디온느는 또한 Ted Lindsay Award (이전에는 Lester B라고 불렸습니다)를 수상했습니다. 1979년과 1980년 피어슨상, 1975년과 1977년 레이디 빙 트로피.
디온느는 7명 중 세 번째로 700골 고지에 올랐고, 현재 731골로 역대 득점자 중 6위에 올랐다.그는 1771점으로 승점 6위이다.그는 1,040개의 어시스트로 통산 10위이다.1989년 은퇴 당시 어시스트, 골, 포인트 부문에서 2위였다(모든 부문에서 70골, 9도움, 79점).디온느는 스탠리 컵에서 한번도 우승한 적이 없는 가장 높은 득점의 선수입니다.
그는 1972년 서밋 시리즈에 참가한 NHL의 마지막 현역 선수이기도 하다.1972년 서밋 시리즈에서 뛰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1976년 캐나다 컵과 1981년 캐나다 컵에서 캐나다 팀을 위해 뛰었다.1976년 캐나다 컵에서 그의 라인메이트는 바비 헐과 필 에스포지토였다.그는 또한 래니 맥도널드, 대릴 시틀러와 라인업을 하고 있었고 그들은 토너먼트 결승골을 넣었을 때 얼음 위에 있었다.1981년 팀에 있을 때 그는 웨인 그레츠키와 가이 라플러와 [6]통화했다.디오네는 1978년, 1983년, 1986년 세계아이스하키선수권대회에서도 동메달을 땄다.1978년 판에서 그는 탑 포워드로 선정되었다.
디온느는 NHL에서 100점 이상의 시즌 동안 3위이다.그는 NHL 통산 8번의 100포인트 이상을 기록했는데, 웨인 그레츠키의 15번의 100포인트 이상 시즌과 마리오 레미우의 100포인트 이상 시즌 10번의 시즌에만 뒤졌다.
디온느는 1992년에 하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998년, 그는 하키 뉴스가 선정한 100명의 위대한 하키 선수들 중 38위에 올랐는데, 이는 14위 레이 부르크가 콜로라도 애벌란체에서 우승한 2001년 이후 스탠리 컵에서 우승하지 못한 가장 높은 순위이다.디온느는 플레이오프 2라운드 이상 진출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렇게 하지 못했다.LA 킹스가 마침내 1993년 스탠리 컵 결승에 진출하여 첫 번째 컨퍼런스 결승에서 우승한 후, 디오네는 데이브 테일러에게 축하 전화를 걸었다.
드럼몬드빌의 전 센터 시비크 아레나는 그의 은퇴 후 그를 기리기 위해 센터 마르셀 디옹으로 개명되었다.
디온느의 남동생 길버트도 NHL에서 뛰었고 1993년 몬트리올 캐나디엔스와 함께 스탠리 컵에서 우승했다.길버트는 마르셀의 19살 연하이다.
1993-94시즌이 시작되기 전에 디온느는 ECHL의 최신 프랜차이즈인 사우스 캐롤라이나 스팅레이스에 대한 현지 관심을 조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몇몇 젊은 선수들의 도움으로, 디오네는 남부 [11]관중들에게 하키의 규칙을 얼음 위에서 시연했다.
디온느는 현재 온타리오주 나이아가라 폭포에 거주하고 있으며 Marcel Dionne Enterprise를 소유하고 있습니다.그는 선수 생활을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가끔 버팔로 세이버스 동문 하키 팀의 멤버이기도 하다.그는 또한 왕실 왕실 홍보대사이기도 하다.
경력 통계
정규시즌 및 플레이오프
정규 시즌 | 플레이오프. | |||||||||||||
---|---|---|---|---|---|---|---|---|---|---|---|---|---|---|
계절 | 팀. | 리그 | GP | G | A | Pts | 핌. | GP | G | A | Pts | 핌. | ||
1967–68 | 드러몬드빌 레인저스 | QJHL | 48 | 34 | 35 | 69 | 45 | 10 | 14 | 7 | 21 | 4 | ||
1967–68 | 드러몬드빌 레인저스 | M컵 | — | — | — | — | — | 4 | 9 | 4 | 13 | 5 | ||
1968–69 | 세인트캐서린스 블랙호크스 | OHA-Jr. | 48 | 37 | 63 | 100 | 38 | 18 | 15 | 20 | 35 | 8 | ||
1969–70 | 세인트캐서린스 블랙호크스 | OHA-Jr. | 54 | 55 | 77 | 132 | 46 | 10 | 12 | 20 | 32 | 10 | ||
1970–71 | 세인트캐서린스 블랙호크스 | OHA-Jr. | 46 | 62 | 81 | 143 | 20 | 15 | 29 | 26 | 55 | 11 | ||
1971–72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NHL | 78 | 28 | 49 | 77 | 14 | — | — | — | — | — | ||
1972–73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NHL | 77 | 40 | 50 | 90 | 21 | — | — | — | — | — | ||
1973–74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NHL | 74 | 24 | 54 | 78 | 10 | — | — | — | — | — | ||
1974–75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NHL | 80 | 47 | 74 | 121 | 14 | — | — | — | — | — | ||
1975–76 | 로스앤젤레스 킹스 | NHL | 80 | 40 | 54 | 94 | 38 | 9 | 6 | 1 | 7 | 0 | ||
1976–77 | 로스앤젤레스 킹스 | NHL | 80 | 53 | 69 | 122 | 12 | 9 | 5 | 9 | 14 | 2 | ||
1977–78 | 로스앤젤레스 킹스 | NHL | 70 | 36 | 43 | 79 | 37 | 2 | 0 | 0 | 0 | 0 | ||
1978–79 | 로스앤젤레스 킹스 | NHL | 80 | 59 | 71 | 130 | 30 | 2 | 0 | 1 | 1 | 0 | ||
1979–80 | 로스앤젤레스 킹스 | NHL | 80 | 53 | 84 | 137 | 32 | 4 | 0 | 3 | 3 | 4 | ||
1980–81 | 로스앤젤레스 킹스 | NHL | 80 | 58 | 77 | 135 | 70 | 4 | 1 | 3 | 4 | 7 | ||
1981–82 | 로스앤젤레스 킹스 | NHL | 78 | 50 | 67 | 117 | 50 | 10 | 7 | 4 | 11 | 0 | ||
1982–83 | 로스앤젤레스 킹스 | NHL | 80 | 56 | 51 | 107 | 22 | — | — | — | — | — | ||
1983–84 | 로스앤젤레스 킹스 | NHL | 66 | 39 | 53 | 92 | 28 | — | — | — | — | — | ||
1984–85 | 로스앤젤레스 킹스 | NHL | 80 | 46 | 80 | 126 | 46 | 3 | 1 | 2 | 3 | 2 | ||
1985–86 | 로스앤젤레스 킹스 | NHL | 80 | 36 | 58 | 94 | 42 | — | — | — | — | — | ||
1986–87 | 로스앤젤레스 킹스 | NHL | 67 | 24 | 50 | 74 | 54 | — | — | — | — | — | ||
1986–87 | 뉴욕 레인저스 | NHL | 14 | 4 | 6 | 10 | 6 | 6 | 1 | 1 | 2 | 2 | ||
1987–88 | 뉴욕 레인저스 | NHL | 67 | 31 | 34 | 65 | 54 | — | — | — | — | — | ||
1988–89 | 뉴욕 레인저스 | NHL | 37 | 7 | 16 | 23 | 20 | — | — | — | — | — | ||
1988–89 | 덴버 레인저스 | IHL | 9 | 0 | 13 | 13 | 0 | — | — | — | — | — | ||
OHA-Jr. 합계 | 148 | 154 | 221 | 375 | 104 | 43 | 56 | 66 | 122 | 29 | ||||
NHL 합계 | 1,348 | 731 | 1,040 | 1,771 | 600 | 49 | 21 | 24 | 45 | 17 |
국제
연도 | 팀. | 이벤트 | GP | G | A | Pts | 핌. | |
---|---|---|---|---|---|---|---|---|
1972 | 캐나다 | SS | 0 | 0 | 0 | 0 | 0 | |
1976 | 캐나다 | 참조 | 7 | 1 | 5 | 6 | 4 | |
1978 | 캐나다 | WC | 10 | 9 | 3 | 12 | 2 | |
1979 | 캐나다 | WC | 7 | 2 | 1 | 3 | 4 | |
1981 | 캐나다 | 참조 | 6 | 4 | 1 | 5 | 4 | |
1983 | 캐나다 | WC | 10 | 6 | 3 | 9 | 2 | |
1986 | 캐나다 | WC | 10 | 4 | 4 | 8 | 8 | |
시니어 총계 | 50 | 26 | 17 | 43 | 24 |
상과 명예
오하
- 1969-70 - 에디 파워스 메모리얼 트로피 수상
- 1969 ~ 70 – OHA 올스타 2차 팀
- 1970-71 – OHA 최초의 올스타 팀
- 1970-71 - 에디 파워스 메모리얼 트로피 수상
NHL
- 1974-75 레이디 빙 트로피 우승
- 1974-75 NHL 올스타전 출전
- 1975-76 - NHL 올스타전 출전
- 1976-77 - 레이디 빙 트로피 우승
- 1976-77 - NHL 1군 올스타
- 1976-77 - NHL 올스타전 출전
- 1977-78 - 세계 하키 선수권 대회 최우수 포워드 선정
- 1977-78 - NHL 올스타전 출전
- 1978-79 - NHL 세컨드 팀
- 1978-79 – Lester B. 피어슨상 수상자
- 1979-80 - NHL 1군 올스타
- 1979-80 – Lester B. 피어슨상 수상자
- 1979-80 - 아트 로스 트로피 수상
- 1979-80 NHL 올스타전 출전
- 1980-81 - NHL 2군 올스타
- 1980-81 - NHL 올스타전 출전
- 1982-83 - NHL 올스타전 출전
- 1984-85 - NHL 올스타전 출전
- 1992년 - 하키 명예의 전당에 헌액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100 Greatest NHL Players". National Hockey League. January 27, 2017. Retrieved January 27, 2017.
- ^ "Pee-Wee players who have reached NHL or WHA" (PDF). Quebec International Pee-Wee Hockey Tournament. 2018. Retrieved January 1, 2019.
- ^ "Quebec Fans Pelt St. Catharines Club". Calgary Herald. May 10, 1971. Retrieved January 22, 2012.
- ^ "St. Kitts' Choice: Play Or Forfeit". Calgary Herald. May 13, 1971. Retrieved January 22, 2012.
- ^ Ralph Slate. "Top 25 OHL Career Scorers". Internet Hockey Database. Retrieved January 23, 2012.
- ^ a b 트리플 크라운, 테드 마호블리히, ISBN 978-0-00-639134-0
- ^ "CNNSI.com – NHL Hockey – Say It Ain't So: Los Angeles Kings – Tuesday February 27, 2001 06:14 PM". CNN.
- ^ 캐나다 우표 상세, 2004년 1월~3월, 제13권, 제1호
- ^ "Best of WNY Royal Resident Marcel Dionne".
- ^ Shoalts, David (February 21, 2004). "Dionne keeps his edge after NHL career - The Globe and Mail". The Globe and Mail.
- ^ Scott, Jon C. (2006). Hockey Night in Dixie: Minor Pro Hockey in the American South. Heritage House Publishing Company Ltd. p. 70. ISBN 1-894974-21-2.
- ^ 트리플 크라운, 테드 마호블리히, 페이지 209, ISBN 978-0-00-639134-0
외부 링크
- NHL.com, Eliteprospects.com, Hockey-Reference.com, Hockey-Reference.com, Legends of Hockey, Internet Hockey Database의 전기 정보 및 경력 통계
- 마르셀 디옹 공식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