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코스 그리고리안
Marcos Grigorian마르코스 그리고리안 | |
---|---|
Մարկոս Գրիգորեան مارکو گريگوريان | |
태어난 | |
죽은 | 2007년 8월 27일( | 81)
기타 이름 | 마르코 그리고리안 |
모교 | 아카데미아 디 벨 아르티 디 로마 |
직종. | 아티스트, 갤러리스트 |
배우자 | 플로라 아다미안(1955년 ~ 1960년, 이혼) |
아이들. | 사브리나 그리고리안 |
마르코 그리고리안[1](Marco Grigorian, 1925년 12월 5일 ~ 2007년 8월 27일)은 이란의 미술가이자 미술관의 선구자이다.
초기 생활과 교육
그리고리안은 러시아 [citation needed]크라스노다르 지방의 크로포트킨에서 1920년 터키에 점령되었을 때 대량 학살을 피해 카르스 출신의 아르메니아인 가정에서 태어났다.1930년, 그 가족은 크로포트킨에서 이란으로 이주했고, 처음에는 타브리즈에서 살았고, 그 다음에는 테헤란에서 살았다.테헤란의 아파다나 갤러리는 1949년에 문을 열었고 그의 작품을 [4]전시하기 시작했다.
이란에서 초등교육을 마친 후, 1950년에 그는 로마의 [1]Academia di Belle Arti에서 공부했다.1954년 그곳에서 졸업한 그는 이란으로 돌아와 [citation needed]테헤란의 중요한 상업 갤러리인 갤러리에스테티크를 열었다.1958년 문화부의 후원으로 그는 제1회 테헤란 비엔날레를 [citation needed]조직했다.그리고리언은 또한 미술 아카데미의 영향력 있는 교사였으며, 그곳에서 커피 하우스 그림을 포함한 지역 대중 문화에 대한 열정을 전파했는데, 커피 하우스 그림은 종종 [5]전시된 장소의 이름을 딴 민속 예술이다.
1950년대에 그는 "Marc Gregory"[6]라는 이름으로 이란 영화에 출연했다.
직업
그는 1960년대에 미국에서 살았고, 1962년에 처음으로 뉴욕으로 이사한 후 미니애폴리스로 이사하여 Minnetonka Center for the [1][7]Arts에서 일했다.미니애폴리스에서 그는 유니버설 갤러리를 시작했는데, 이 갤러리는 미니애폴리스에서 이란 미술의 영향력 있는 중심이 되었고, 애비 위드 그레이의 집에서 [7]찾을 수 있는 빠르게 성장하는 현대 이란 미술 컬렉션과 함께 동시에 존재했다.1975년 그레이는 자신의 컬렉션을 뉴욕대학교의 미술 박물관인 그레이 [7][8][9]아트 갤러리를 설립하기 위해 기부했다.
1975년 그리고리안은 테헤란에서 자유 화가와 조각가 그룹을 조직하는 것을 도왔고 창립 [6]멤버였다.다른 창립 예술가로는 골람호세인 나미, 마수드 아랍샤히, 모르테자 모마예즈, 미르 압돌레즈 다리아베이기, 파라마르츠 필라람 등이 [citation needed]있다.
그의 시리즈인 Earthworks는 캔버스에 그려져 있으며 이란의 [10]마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건축 자재로 사용되는 카겔이라고 불리는 점토와 짚의 혼합물을 사용했다.그는 1991년 그의 점토와 짚 작품을 예레반에서 전시했다.그리고리안은 또한 이란의 [11]초기 랜드아트 예술가였다.
그리고리안은 결국 아르메니아 예레반으로 이사했다.[when?]1989년에는 러시아예술가연합의 초청으로 러시아로 건너가 모스크바와 [citation needed]레닌그라드를 방문했다.
그는 나중에 그의 작품 중 5,000점을 아르메니아 [citation needed]정부에 기부했다.1993년, 그는 2,600여 점의 작품들을 전시한 "중동 박물관"을 예레반에 설립했는데, 대부분은 그의 [citation needed]소장품이다.그의 작품은 뉴욕 [12]현대미술관([13]MOMA),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테헤란 현대미술관, 케르만의 현대미술관, 예레반에 [14]있는 근동미술관,[citation needed] 국립미술관 등 다양한 박물관 소장품에 포함되어 있다.
죽음.
2007년 8월 4일 그리고리언은 자신의 집에 침입한 두 명의 복면강도에게 폭행당하고 머리를 맞았다.강도들은 그 집에 많은 돈이 있다고 잘못 믿은 것이 가르니에 있는 그리고리언의 여름 거주지를 팔아서 나온 것이라고 추측되었다.경찰에 익명의 전화를 한 후, 그리고리안은 부상을 입은 채 발견되어 병원으로 옮겨졌다.그는 [15]퇴원 다음날인 2007년 8월 27일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사생활
마르코스는 1955년 플로라 아다미안과 결혼했지만 1960년 [1]이혼으로 끝났다.마르코스와 플로라의 딸 사브리나 그리고리안(1956-1986)[1]은 배우였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c d e Fouladvand, Hengameh (January 1, 2000). "Grigorian, Marcos". Encyclopaedia Iranica. Retrieved 2018-02-21.
{{cite web}}
: CS1 maint :url-status (링크) - ^ "Artist Appeals to Create Marco Grigorian Museum". Asbarez.com. 2010-08-04. Retrieved 2019-10-23.
Grigorian, who was born in 1925 and is recognized as the pioneer of Iranian modern art, died from a heart attack at his home in Armenia in 2007.
- ^ "Մարկոս Գրիգորյանը կասկածում էր իր շրջապատին" [Marcos Grigorian doubted his surroundings]. Hetq.am (in Armenian). Retrieved 2019-10-23.
- ^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Ira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The Met). Retrieved 2019-10-23.
The 1949 opening of the Apadana gallery in Tehran, and the emergence of artists like Marcos Grigorian (1925–2007) in the 1950s, signaled a commitment to the creation of a form of modern art grounded in Iran.
- ^ "exhibit at NY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1-25. Retrieved 2007-01-20.
- ^ a b Milani, Abbas (2008). Eminent Persians: The Men and Women Who Made Modern Iran, 1941-1979, Volumes One and Two. Syracuse University Press. pp. 1000–10001. ISBN 9780815609070.
- ^ a b c "Abby Weed Grey and Parviz Tanavoli - Grey Gallery". Grey Gallery. New York University (NYU). 2015-12-23. Retrieved 2018-02-21.
- ^ "Biography of Abby Weed Grey". New York University Archives. 2019-07-31. Retrieved 2019-10-28.
- ^ "T.V. Show Inspires Art Gift to N.Y.U." The New York Times. 1975-04-09. Retrieved 2019-10-28.
- ^ "Midsummer Night #10, 1991".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Retrieved 2021-10-04.
{{cite web}}
: CS1 maint :url-status (링크) - ^ Milani, Abbas (2008). Eminent Persians: The Men and Women Who Made Modern Iran, 1941-1979, Volumes One and Two. Syracuse University Press. p. 997. ISBN 9780815609070.
- ^ "Collection: Marcos Grigorian, Untitled, 1963". Museum of Modern Art (MOMA).
- ^ "Collection: Untitled, 1970s, Marcos Grigorian, Armenian-Irania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Retrieved 2019-10-23.
- ^ "Near East Museum, Marcos Grigorian Collection". Tour Armenia. Retrieved 2019-10-23.
- ^ Sarukhanyan, Vahe (2007-10-15). "Marcos Grigorian Had Suspicions Regarding Those Around Him". Hetq online. Retrieved 2018-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