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거릿(2011년 영화)
Margaret (2011 film)마거릿 | |
---|---|
![]() 극장판 발매포스터 | |
연출자 | 케네스 로너건 |
작성자 | 케네스 로너건 |
생산자 | |
주연 | |
시네마토그래피 | 리스자르 렌체프스키 |
편집자 |
|
음악 기준 | 니코 멀리 |
생산 회사들 |
|
배포자 | 폭스 서치라이트 픽처스 |
출시일자 |
|
러닝타임 | 150분[1] 186분(연장 컷) |
나라 | 미국 |
언어 | 영어 |
예산 | 1400만[2] 달러 |
박스오피스 | $623,292[3] |
마거릿(/ˌmɑrɡərrr/t/)[4]은 케네스 로너건이 쓰고 감독한 2011년 미국 서사시 심리극 영화다. 이 영화에는 안나 파킨, 진 리노, 맷 데이먼, 마크 러팔로, J. 스미스-캐머론, 지니 베를린, 키에런 컬킨, 올리비아 스털비, 로즈마리 드위트가 출연한다. 마거릿은 2005년 촬영돼 당초 그해 개봉 예정이었으나 로너건이 만족하는 최종 컷을 만들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사이 거듭 지연돼 소송이 반복됐다. 소송은 2014년에 끝났다.[5]
스튜디오는 이 영화의 상영 시간이 150분을 넘을 수 없다고 주장했지만, 로너건이 선호하는 버전은 3시간에 가까웠다. 마틴 스콜세지와 텔마 스쿤메이커는 로너건이 승인한 165분짜리 버전을 편집하는데 기여했다. 제작자 게리 길버트가 승인하기를 거부했기 때문에 컷은 결코 공개되지 않았다.[6] 결국, 폭스 서치라이트 픽처스는 2011년 9월 30일 미국에서 150분짜리 이 영화를 한정 개봉하여 평론가들로부터 적당히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어떤 이들은 이 영화를 너무 오랫동안 생각했지만, 이 영화는 연기로 찬사를 받았고 후에 몇몇 출판사의 올해의 최우수 작품 목록에 올랐다. 시간이 흐르면서 비판적인 찬사가 커졌고, 마거릿은 이제 10년 동안 그리고 새로운 세기의 최고의 영화들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으며, 21세기 100대 영화를 대상으로 한 BBC 비평가 투표에서 31위에 올랐다.[7]
로너건은 2012년 7월 DVD로 발매된 추가 촬영과 함께 추가 촬영이 포함된 3시간 연장 버전을 완성했다.[8]
이 영화의 제목은 리사의 영어 수업에서 논의되는 제라드 맨리 홉킨스의 시 "봄과 가을: 어린 아이에게"에서 따온 것이다.
플롯
맨해튼의 17세 학생인 리사 코헨은 버스 운전사 제럴드 마레티가 움직이는 버스와 나란히 달리자 정신이 팔려 보행자 모니카 패터슨이 버스에 치인 뒤 리사의 품에서 숨지는 빨간 신호등을 놓쳐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진다. 처음에 리사는 경찰에게 그 운전자가 녹색 교통 신호를 보냈다고 보고했지만, 나중에 후회 때문에 그녀의 이야기를 바꾼다. 그녀는 마레티와 맞서는데, 마레티는 먼저 사고의 세부 사항을 잊어버린 척하다가, 그가 그들을 기억하고 있지만, 그가 잘못한 것이 없다고 생각하여, 리사가 열정으로 회사에서 그의 해고를 추구하게 되었다. 리사는 모니카의 절친한 친구 에밀리, 그리고 사촌인 아비가일과 협력하여 궁극적으로 아비가일에게 피해자의 것으로서 수여될 금전적 손해뿐만 아니라 (이전 두 건의 사고를 일으킨 것으로 밝혀진) 운전자의 해고를 도모하면서 도시교통공사를 상대로 한 부당한 사망 소송에 휘말리게 된다. 가까운 친척 한편 리사의 삶은 수학 교사인 아론 카이제와의 추근거림, 같은 반 친구인 폴 허쉬에게 순결을 빼앗기려는 결심, 정치와 테러리즘에 대한 반 친구들과의 다양한 격렬한 논쟁 등 다양한 방향으로 전개된다.
리사와 배우 어머니는 산발적인 다툼과 리사가 엄마의 남자친구 라몬에 대해 상반된 감정을 드러내는 등 사이가 좋지 않다. 리사와 어머니 에밀리, 라몬이 참석한 후 만찬은 라몬이 에밀리를 향해 반유대주의적인 발언을 하는 것으로 끝난다. 라몬은 얼마 지나지 않아 심장마비로 죽는다. Lisa는 Caije와 성관계를 가졌고, 나중에 Caije와 마주하며, 다른 선생님 앞에서 자신이 낙태수술을 받았다고 말한다. 그녀는 아버지가 누구인지에 대해 의문을 표시하고 몇 가지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한다.
이 소송은 35만 달러의 상금으로 결론이 나지만 MTA는 노사분규를 부추길 것을 우려해 마레티 해고를 거부하고 있다. 아비가일은 합의제안이 그녀의 주된 동기가 되었다고 밝히면서 합의제안을 주장했다. 이는 리사가 이 사건의 결과에 매우 화가 나고 환멸을 느끼게 한다.
리사와 그녀의 어머니는 라몬이 죽기 전에 보게 될 오페라를 보러 갈 계획이다. 도중에 리사는 마레티가 보행자를 죽였던 바로 그 버스를 운전하는 것을 보고 두 사람이 서로를 보는 짧은 순간이 있다. 오페라 공연이 진행되는 동안 리사는 일련의 사건들로 쌓인 감정이 터져 나오고 그녀와 어머니는 다정하게 다시 연결되며 오페라가 진행되는 동안 함께 울고 서로를 붙들고 있다.
캐스트
- 리사 코헨 역의 안나 파킨
- 조앤 코언 역의 J. 스미스-캐머론
- 제럴드 마레티 역의 마크 러팔로
- 에밀리 스미스 역의 지니 베를린
- 라몬 카메론 역의 장 르노
- 대런 로디퍼 역의 존 갤러거 주니어
- 모니카 패터슨 역의 앨리슨 재니
- 폴 허쉬 역의 키에런 컬킨
- 롭 역의 애덤 르페브르
- 애런 카이제 역의 맷 데이먼
- 커트 역의 맷 부시
- 마레티 부인 역의 로즈마리 드위트
- 존 앤드루 밴 태슬 역의 매튜 브로데릭
- 모니카 슬로운 역의 올리비아 스털비
- 칼 역의 케네스 로너건
- 빅터 역의 조시 해밀턴
- 데이브 역의 마이클 에일리
- 세일즈걸 역의 Krysten Riter
- 베키 역의 사라 스틸
- 아비가일 역의 벳시 아이뎀
생산
2005년에 촬영된 이 영화의 장시간의 후기 제작은 2009년에 심리될 예정이었던 여러 소송에 불을 붙였다.[9][10] 2010년 7월, 폭스 서치라이트는 로너건이 마침내 이 영화에 대한 작업을 마쳤으며, 2011년에 개봉될 것이라고 밝혔다.[11]
테마 및 분석
마거릿은 10대 소녀의 떠오르는 의식을 탐구하고 분노와 슬픔에 대한 세상의 무관심을 깨닫는 넓은 모자이크의 한 부분만을 줄거리로 하는 특이한 굴곡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주인공 리사가 다양한 성행위를 하고, 어머니와 충돌하고, 반 친구들과 정치에 대해 논쟁하고, 주변적인 문제들에 관여함으로써 비극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동안, 그녀는 자신의 곤경에 흔들리지 않는 도시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보잘것없는 느낌은 리사의 경험에 침범한 다른 사람들의 대화를 강조하는 영화의 사운드 디자인(확장 컷 안)에 의해 강화되어 사물의 웅대한 계획에서 그녀의 감정 상태를 대수롭지 않게 만든다. 로너건은 리사의 어머니가 무대에서 연기하는 장면과 리사의 지저분한 현실 세계 경험과는 거리가 먼 극적으로 만족스러운 경험을 제공하는 오페라 공연과 이러한 어려움들을 대조한다. 본질적으로 리사의 10대 나르시시즘과 '감정적·신체적·유태적 한계'는 주변 어른들이 자신의 삶에서 캐릭터를 떠받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슬퍼하고 괴로워하는 더 넓은 인간성의 일부라는 것을 보지 못하게 한다.[12] 이 영화는 또한 수많은 맨해튼 스카이라인의 사진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실시간으로 그리고 느리게 걷는 지상 레벨의 영상을 통합하여 도시의 다양한 지형을 강조하고 9/11의 슬픈 그림자에 살고 있기 때문에 리사의 개인적인 고민과 주변 사람들의 문제 사이의 간극을 강조한다.
리셉션
임계반응
마거릿은 비평가들로부터 대부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2020년[update] 6월 현재 이 영화는 100회 리뷰 기준으로 로튼 토마토에 대한 74%의 지지율을 보유하고 있으며, 평균 평점은 10점 만점에 7.15점이다. 비판적인 합의는 "마거릿의 과도한 런타임에 아이디어의 여파가 기여하지만 안나 파킨은 감정적인 지옥을 통해 시청자들을 지도하는 존경할 만한 일을 한다"[13]고 말한다. 이 영화는 메타크리트어(비평가 27명 기준)에서도 100점 만점에 61점을 받아 '대체로 호평'[14]을 나타내고 있다.
리사 코헨 역으로, 파킨은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에서 2011년 여우주연상을 공동 수상했으며 시카고 영화 비평가 협회에서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 그녀는 LA 위클리, 빌리지 보이스, 국제 시네필리 소사이어티의 비평가 여론조사에서 1위를 차지했다.[15][16] 2011년 12월 23일, 폭스 서치라이트는 AMPAS 멤버들에게 영화 상영관을 보냈다.
마거릿은 타임 아웃, 데일리 텔레그래프, 가디언으로부터 5성급 평을 받았다.[17] 또한 2016년 BBC의 21세기 최고 영화 여론조사에서도 31위를 차지했다.[18] 그것은 2010년대를 위해 10년 중 많은 베스트 리스트를 만들었다. 2019년 평론가 리처드 브로디는 이 영화를 10년 중 27편의 최고 영화 중 하나로 선정했다. [19]
일부 비평가들은 이 영화를 위대한 뉴욕시 영화의 한 예와 9/11 사태 이후 정신적 충격을 받은 맨하탄의 초상화로 꼽았다. [20][21]
박스오피스
비판적으로 호평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마거릿은 상업적으로 성공하지 못했다. 이 영화는 북미에서 14개의 극장에서 제한적으로 개봉되었고 46,495 달러를 벌어들였다. 영국에서는 런던 오데온 팬턴 스트리트라는 한 영화관에서 한 스크린에서만 상영되었다. 개봉 주말에 4,595파운드를 들여 당시 개봉한 어떤 영화보다도 높은 스크린 평균을 어느 정도 여유 있게 제공했을 정도로 영화에 대한 관심이 컸다.[17] 프랑스에서는 한 영화관인 파리의[22] 퍼블리시스 샹젤리제스에서만 상영되었다. 이 영화의 전 세계 총액은 62만 3,292달러로 1,400만 달러의 제작 예산에 훨씬 못 미쳤다.[3]
홈 미디어
이 영화의 연장된 컷은 2012년 7월 영국과 미국에서 DVD로 발매되었다.[8][23] 미국 개봉작에는 고해상도 극장의 컷을 담은 블루레이 영화도 포함되어 있다. 캐나다 개봉은 동일한 포장과 두 컷을 모두 포함한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두 번의 컷만 포함하고 있다.[citation needed]
사운드트랙
오리지널 음악은 니코 멀리가 엘리어트 카터의 추가 단서와 함께 작곡했다. 이 영화는 또한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벨리니의 노르마의 "카스타 디바"와 자크 오펜바흐의 레스 콘테스 드호프만의 "벨 누이트, ô 누이트 다무르"(바르카롤레)가 등장하는 두 장면이 나온다.
참조
- ^ "MARGARET (15)". British Board of Film Classification. October 31, 2011. Retrieved January 10, 2012.
- ^ 마가렛 모조 박스 오피스
- ^ a b "Margaret". The Numbers. Retrieved February 17, 2017.
- ^ Charlie Lyne (December 8, 2011). "If you go down to the Odeon Panton Street today ..." Ultraculture.co.uk. Retrieved December 21, 2012.
- ^ Eriq Gardner (April 2, 2014). "Six-Year Legal Battle Over Kenneth Lonergan's 'Margaret' Finally Ends". The Hollywood Reporter. Retrieved August 21, 2016.
- ^ "Oscar winner Kenneth Lonergan on director's cuts, Scorsese and studio battles". TheGuardian.com. January 16, 2018.
- ^ "The 21st Century's 100 Greatest Films".
{{cite web}}
: CS1 maint : url-status (링크) - ^ a b "Hi Def Digest DVD Announcement".
- ^ Horn, John (April 26, 2009). "Kenneth Lonergan's 'Margaret': post-production in a courtroom". Los Angeles Times. Retrieved September 11, 2011.
- ^ Labrecque, Jeff. "Kenneth Lonergan on his 'Margaret' odyssey: 'I'm truly happy about the way things turned out'". Entertainment Weekly. Retrieved November 20, 2013.
- ^ Anne Thompson (July 22, 2010). "Black Swan Opens 67th Venice Biennale; American Films Expected; Where's Margaret?". Thompson on Hollywood. indieWI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5, 2010. Retrieved October 21, 2010.
- ^ Murthi, Vikram (March 24, 2016). "New Classic: Kenneth Lonergan's "Margaret"". Indiewire.
{{cite web}}
: CS1 maint : url-status (링크) - ^ "Margaret (2011)". Retrieved June 15, 2020 – via www.rottentomatoes.com.
- ^ "Margaret". Retrieved June 15, 2020 – via www.metacritic.com.
- ^ Steve Pond (December 29, 2011). "Critics' Awards Round-Up: 'The Artist' Still on Top … for Now". thewrap.com. Retrieved December 2, 2013.
- ^ "ICS Sues Hollywood for A Separation". icsfilm.org. February 22,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16, 2013. Retrieved December 2, 2013.
- ^ a b "Arthur Christmas makes its presents felt at the box office". the Guardian. December 8, 2011. Retrieved December 8, 2011.
- ^ "The 21st Century's 100 greatest films". BBC. August 23, 2016. Retrieved September 20, 2016.
- ^ Brody, Richard. "The 27 Best Movies Of The Decade". The New Yorker.
{{cite web}}
: CS1 maint : url-status (링크) - ^ Yoonsoo Kim, Kristen (May 1, 2018). "'Margaret' Is the Coming-of-Age Masterpiece You Probably Missed". VICE. Retrieved November 12, 2021.
{{cite web}}
: CS1 maint : url-status (링크) - ^ O'Hehir, Andrew (September 29, 2011). ""Margaret": The great NYC post-9/11 movie that crashed and burned". Salon. Retrieved November 12, 2021.
{{cite web}}
: CS1 maint : url-status (링크) - ^ 마가렛, 데 케네스 로너건, 르 그랜드 필름 퀼 네 파스 알러 보이어 레몬드.fr
- ^ Brooke, Michael. "Sight and Sound DVD Review".
This video release of a significantly longer cut that bears a much stronger resemblance to Lonergan’s 2005 shooting scri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