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 앤더슨
Marie Anderson마리 앤더슨 | |
---|---|
태어난 | 마리 윌러드 앤더슨 1916년 4월 19일 플로리다 주 펜사콜라 |
죽은 | 1996년 7월 2일 플로리다 알타몬트 스프링스 | (80세)
국적 | 미국인의 |
모교 | 듀크 대학교 캐서린 깁스 스쿨 |
직업 | 기자, 편집자 |
년 활동 | 1946 - 1972 |
상위 항목 | 로버트 하기스 앤더슨 마리 윌러드 앤더슨 |
마리 윌러드 앤더슨[1](Marie Wilard Anderson, 1916년 4월 19일 ~ 1996년 7월 2일)은 플로리다 주 마이애미 신문 편집자였다.1960년대 그녀의 지도 하에 마이애미 헤럴드 여성 페이지는 전국에서 가장 먼저 인정받는 진보적 여성 부문으로 변모했고,[2] 4차례나 펜니-미수리상을 수상했다.
초년기
앤더슨은 플로리다 주 펜사콜라에서 로버트 하기스 앤더슨과 마리 윌러드 앤더슨 두 명의 변호사 사이에서 태어났다.그녀는 그들의 외동딸이었다.[3]그녀는 1937년에 듀크 대학교에서 영어 학사 학위를 받고 파이 베타 카파를 졸업했다.[3]그녀는 속기와 타이핑을 배우기 위해 캐서린 깁스 학교에 다녔고, 1939년에 졸업했다.[3][2]
경력
법률회사에서 비서로 일한 후 앤더슨은 1946년 마이애미 뉴스에 아기 기자라는 직업을 가졌다.[3][2]그곳에서 그녀는 만나서 도로시 미제너 주니에게 지도를 받았다.[3]1949년 주니는 마이애미 헤럴드로 이적하였고, 1950년 여성 페이지 편집자로 승진하여 앤더슨을 여성 페이지 편집 보조로 고용하였고,[3][2] 그들은 함께 도시의 여성 뉴스를 "전국적으로 유명한 부문"으로 바꾸었다.[1]그녀가 헤럴드 앤더슨에 합류했을 때, 20년 이상 지속된 월요일 무싱이라는 칼럼을 시작했다.[3]
1956년에 마조리 팍슨이 그 부서에 합류했다.1959년 주니는 디트로이트 프리 프레스로 옮겨갔고 앤더슨은 헤럴드의 여성 페이지 편집자가 되어 [3][2]팍슨을 조수로 삼았다.[1]그들은 함께 작업 Anderson과 Jurney"건강, 사회, 고용에 대해 딱딱한 뉴스 이야기들, 그리고 관련 정치적 이슈 여성들"보다는 사회 뉴스와"4개의 F":당시 대부분의 신문사들의 여자의 초점을 둔 음식이나 패션, 가구, 그리고 family,[3]에 대한 보고에 여성의 페이지 바꾸기 시작했다 계속했다.p연령대[1]앤더슨은 이 섹션을 중요한 정보가 거의 없는 항목에서 생식권과 같은 새로운 여성 문제를 다루는 항목으로 바꾸었다.[1]
1960년대 초, 워싱턴 D.C.에 살고 있는 캐서린 쉬페 이스트는 앤더슨 섹션의 특이한 성격을 인식하고, 페미니스트 운동의 중요한 여성들에게 작품이 보여지도록 비공식 뉴스 서비스를 개발했다.그녀는 헤럴드에 구독하고, 가장 좋은 기사들을 클리핑하고 복제했으며, 전국의 다른 페미니스트들에게 우편물을 보냈다.[2]영향력 있는 댈러스 여성 페이지 편집자 비비안 캐슬베리 "앤더슨의 섹션을 종교적으로 읽는다."[4]
앤더슨은 다른 신문들이 다루지 않을 기사를 실었다.그녀는 뉴욕 타임즈와 워싱턴 포스트가 리뷰를 출판하는 것조차 거부하면서 동시에 베티 프리던의 논란이 되고 있는 책 <여성미스티크>의 발췌본을 실었다.[1]그녀는 또한 때때로 자신의 경영을 뒤엎기도 했다.리처드 닉슨 대통령 재임 중 앤더슨은 닉슨이 여성 태스크포스(TF)로부터 낙태권을 지지하고 레즈비언들이 훌륭한 산모가 될 수 있다고 믿는 것이 불쾌해 보고서를 부결시켰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그녀의 매니저들이 그녀가 이것에 대해 절대 보고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그녀는 그것에 대한 이야기를 써서 인쇄소에 가져갔고 수백 개의 브로슈어를 인쇄하여 25센트에 직접 팔았다.[2][1]
헤럴드 클럽의 로베르타 애플게이트 편집장과 함께 앤더슨은 또한 여성 클럽에 대한 신문의 보도를 바꾸는 것을 도왔고, 이는 궁극적으로 클럽 자체를 변화시키고 전국에 퍼져나갔다.[1]앤더슨의 지시로, 이 클럽들은 어떤 활동들이 그들을 뉴스 가치가 있게 만들었는지, 그리고 그들을 뉴스 보도권을 얻을 수 있는 보도 자료를 작성하는 방법을 배웠고, 결국 다른 클럽들보다 지역사회에서 더 좋은 일을 하고 더 많은 보도를 얻기 위해 경쟁했다.[3]앤더슨이 제1회 페니-미수리상을 수상했을 때, 이 인용문은 특히 "클럽 공지사항을 뉴스 이야기로 대체한 그녀의 성공"을 칭찬했다.전국의 여성 페이지 편집자들이 그 뒤를 따랐다.[2]
1970년 앤더슨은 시청으로 전근을 요청했으나 대신 가정과 디자인부로 옮겨졌다.그녀는 1972년에 플로리다 국제 대학의 대학 관계 및 개발 학장이 되기 위해 논문을 떠났다.[3]
1973년 그녀는 플로리다 주지사 르우빈 아스큐에 의해 플로리다 여성 지위 위원회에 임명되었다.[1]
1980년에 그녀는 줄리아의 딸들을 다음과 같이 썼다. 플로리다의 허스토리를 위한 데이드의 역사 속 여성들.[1]
1989년 그녀는 워싱턴 프레스 재단의 언론계 여성 구술 역사 프로젝트에 참여하기 위해 선정되었는데,[1] 4명의 여성 페이지 기자 중 한 명이 포함되어 있다.다른 이들은 주니, 팍슨, 비비안 캐슬베리였다.
수상
마이애미 헤럴드 앤더슨의 여성 페이지 편집자로써, 4개의 Penney-Missuri Awards for General Excellence를 수상했다.[3]이 부문은 이 상이 취임한 해인 1960년에 상을 받았다.[3]1961년에, 그것은 다시 우승했고, 프로그램 감독은 앤더슨에게 1962년 시상식에 불참할 것을 요청했다.[3]1963년에 그 논문은 2위를 차지했고, 1964년에는 다른 논문이 1위를 차지했고, 그 논문은 향후 5년간 경쟁할 수 없게 되었다.1969년에 그것은 또 다른 첫 번째 승리를 거두었다.킴벌리 윌모트 보스와 랜스 스피어는 학술지 플로리다 히스토리 쿼터리에 기고한 글에서 앤더슨이 펜니-미수리 대회의 목표를 "개인화"했다고 말했다.[1]
임팩트
보스와 스피어는 그녀를 "여성 페이지 개척자"[1]라고 불렀다.로저 스트레이트마터는 학술지 저널리즘 히스토리에 기고한 글에서 앤더슨은 주니, 비비안 캐슬베리와 함께 "여성 페이지를 바꾸는 데 도움을 준 주요 세력"이라며 "안데르손은 미국에서 가장 진보적인 여성 부문 중 하나를 마침내 건설했다"[2]고 말했다.캐슬베리는 "그때만 해도 여성 문제가 첨예하게 얽혀 있는 논문이 몇 개 있었는데 마리 앤더슨의 논문은 그 소수 중 하나였다.뉴욕 타임즈 같은 신문들은 몇 년이나 뒤처져 있었다."[2]헤럴드 출판사 리 힐스는 그녀를 "전통적인 여성 코너에서 현대적인 생활 코너로의 전환의 리더"[2]라고 부르며 그녀의 리더십이 헤럴드를 "그런 경향의 선구자"로 만들었다고 말했다.[1]헤럴드는 그녀를 "여성 페이지 저널리즘을 정치와 사회 이슈의 장으로 변화시킨 선구자"[1]라고 평가했다.
앤더슨의 논문은 미주리 대학교의 웨스턴 원고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는 국립 여성 및 미디어 컬렉션에 있다.[1]
사생활
앤더슨은 1996년 7월 2일 플로리다 알타몬트 스프링스에서 사망했다.그녀는 자식이 없었고 결혼한 적도 없었다.
참조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Voss, Kimberly Wilmot; Speere, Lance (2007). "A Women's Page Pioneer: Marie Anderson and Her Influence at the Miami Herald and Beyond". Florida Historical Quarterly. 85 (4): 398–421. JSTOR 30150079.
- ^ a b c d e f g h i j k Streitmatter, Rodger (Summer 1998). "Transforming the Women's Pages: Strategies that Worked" (PDF). Journalism History. 24 (2): 72–80. doi:10.1080/00947679.1998.12062493.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7 December 2018. Retrieved 26 December 2018.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Harper, Kimberly. "Marie Anderson". State Historical Society of Missouri. Retrieved 26 December 2018.
- ^ Whitt, Jan (2008). Women in American Journalism.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pp. 42–43. ISBN 9780252033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