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하임

Markheim
"마크하임"
작가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언어영어
장르공포
게시 위치부서진 샤프트: 언윈의 크리스마스 연례
.
H. 노먼)
출판 유형컬렉션
출판사런던: T. 피셔 언윈
매체형인쇄하다
발행일자1885년 12월
텍스트마크하임 위키소스에서

'마크하임'은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이 쓴 단편소설로, 원래 1884년 '팔몰 가제트'를 준비했으나 1885년 운윈의 크리스마스 연도의 일환으로 '파손된 샤프트: 미드 오션'에 출간됐다.[1] 이 이야기는 후에 스티븐슨의 "즐거운 남자들과 다른 이야기들"과 "우화" (1887년)에 발표되었다.

플롯 요약

이 이야기는 1880년대 중반 런던에 있는 골동품 가게에서 크리스마스 날 늦게 문을 연다. 가게가 공식적으로 문을 닫았는데도 마크하임이라는 사람이 왔고, 다소 그늘진 상인은 퇴근 후 찾아올 때마다 자신이 물려받은 고삼촌의 소장품이라고 주장하며 희귀한 물건을 사적으로 파는 것이 보통이라고 지적한다. 딜러는 마크하임이 이 물건들을 구매하는 것을 막지 못했지만, 대개 그의 고객이 요구한 금액보다 적은 금액으로 훔쳤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그의 의심을 암시한다. 마크하임은 눈에 띄게 딜러의 서투른 암시에 움찔하지만, 이번에는 아무 것도 팔러 온 것이 아니라, 곧 결혼할 여자를 위해 크리스마스 선물을 사려고 왔다고 주장하면서, 그녀가 잘 살고 있음을 암시했다. 다소 믿지 못하기는 하지만, 상인은 거울을 선물로 제안하지만, 마크하임은 거울이 자신에게 보여주는 것을 보고 싶어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주장하며 자신의 반성을 두려워한다. 마크하임은 이상하게도 거래 종료를 꺼리는 것 같지만, 딜러가 손님이 사거나 떠나야 한다고 주장하자 마크하임은 더 많은 상품을 검토하기로 동의한다. 그러나 다른 물건을 고르기 위해 업자가 등을 돌리자 마크하임은 칼을 뽑아 찔러 죽인다.

거울과 불길하게 똑딱거리는 시계들로 둘러싸여 있고, 어두운 가게를 밝혀줄 촛불 하나만을 가지고 있는 마크하임은 딜러의 여종업원이 휴가를 냈고 아무도 그곳에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면서도 위층에서 누군가가 움직이는 소리를 들었을 때 용기를 회복하는데 몇 분을 보낸다. 그는 외부 문이 잠겨 있다고 스스로를 안심시키고 딜러의 몸을 뒤져 열쇠를 찾은 다음 딜러가 살던 윗방으로 가서 돈을 찾아다니는데, 이 돈을 창업에 쓰겠다는 것이다. 딜러의 금고를 열 수 있는 올바른 열쇠를 찾다가 계단에서 발자국 소리가 들리고, 한 남자가 문을 열고 "전화했니?"라고 묻는다.

마크하임은 낯선 사람이 악마라고 믿는다. 비록 그가 자신을 알아보지는 못했지만, 그 낯선 사람은 분명 초자연적인 존재다. 그는 그가 그의 평생 동안 마크하임을 지켜봤다고 말한다. 그는 마크하임에게 하인이 일찍 가게로 돌아온다고 말하므로 마크하임은 서두르거나 결과에 직면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말한다. 그는 마크하임의 사업이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고 예측하지만, 그는 또한 마크하임에게 금고를 열 수 있는 올바른 열쇠를 보여주겠다고 제안한다. 실제로 이방인은 마크하임의 생애의 상당 부분이 도박과 사소한 절도 등으로 이루어져 성공하지 못했다는 것을 분명히 알고 있다. 마크하임은 그 집을 계속 약탈하는 대신, 선악의 본성에 대한 논의에 들어가면서 그 낯선 사람에게 자신의 삶과 행동을 정당화하려고 한다. 이방인은 모든 점에서 그를 반박하고, 마크하임은 마침내 그가 자신의 삶을 내던지고 악으로 변했다는 것을 인정할 의무가 있다.

하인이 돌아와서 문을 두드리자 낯선 사람이 마크하임에게 주인이 다쳤다는 말을 해서 그녀를 유인할 수 있다고 충고하고 나서 그녀를 죽이고 밤새도록 집을 뒤졌다. 마크하임은 선에 대한 사랑을 잃었지만 여전히 악을 싫어한다고 반박한다. 이방인의 얼굴은 사라지면서 '완벽한 승리'로 가득 찬 '원더풀하고 사랑스러운 변화'를 겪는다. 마크하임은 문을 열고 하인에게 그녀의 주인을 죽였으니 경찰을 부르라고 말한다.

해설

스티븐슨은 도덕극과 고딕 공포 이야기를 결합했다. 의도적인 모호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비평가들은 마크하임의 방문자를 일종의 "좋은" 정신으로 보고 있는데, 마크하임이 두 번째 살인을 저지르기 보다는 자신을 포기하기로 결심했을 때 그의 이목구비가 갑자기 "연약한 승리로 밝고 부드러워졌다"고 말한다.[2] 마이클 S. 뉴옥스퍼드 리뷰의 로즈는 그를 마크하임의 수호천사로 지목했다.[3]

적응

참조

  1. ^ 부서진 샤프트: 미드 오션의 이야기 (edd) H. Norman), Unwin’s Christmas Annual, London: T. 피셔 언윈, 1885년 12월
  2. ^ Saposnik, Irving S. (1966). "Stevenson's "Markheim": A Fictional "Christmas Sermon"". Nineteenth-Century Fiction. 21 (3): 277–282. doi:10.2307/2932590 – via JSTOR.
  3. ^ ""Markheim." By Robert Louis Stevenson".
  4. ^ "Markheim – Broadway Play – Original IBDB".
  5. ^ "Carlisle Floyd - Markheim - Opera". boosey.com. Retrieved 24 February 2015.
  6. ^ "BBC Radio 4 Extra - Robert Louis Stevenson - Markheim". BBC.
  7. ^ "Markheim (1974)". BFI.
  8. ^ "Plot Spot - CBS Radio Mystery Theater". www.otrplotspot.com. Retrieved 2019-05-24.
  9. ^ "Carlo Deri - Markheim - Recitar Cantando in un atto liberamente tratto dall'omonimo racconto di Robert Louis Stevenson".
  10. ^ Gallery, Flowers. "Markheim - Shop - Flowers Gallery". Flowers Gallery. Retrieved 2016-11-12.
  11. ^ "Ken Currie: Portrait with eye, hand and brain". www.scotsman.com. Retrieved 2016-11-12.

원천

  • 하만, 클레어 나와 다른 동료: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의 삶 HarperCollins(2005): 뉴욕 ISBN 0-06-620984-6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