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니 베버

Marnie Weber
마니 베버
태어난1959
국적미국(미국)
교육남캘리포니아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 알려져 있다.조각, 영화, 사진

마니 베버(Marnie Weber, 1959년 출생)는 로스앤젤레스에 살면서 활동하는 미국의 예술가다. 그녀의 작품은 사진, 조각, 설치, 영화, 비디오, 그리고 공연을 포함한다. 그녀는 음악가이기도 하다.[1]

삶과 일

마니 베버는 미국 코네티컷브릿지포트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의 일부를 가족과 함께 아시아를 전전하며 보냈다.[2] 그녀는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남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공부했고,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3] 그녀는 미국과 유럽 전역에서 단독 쇼, 비디오 상영, 공연을 했다.

베버의 시각 예술은 등장인물들의 반복적인 출연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그녀의 작품에서 자주 발견되는 동물은 곰인데, 이것은 그리스 여신 아르테미스와 연결되어 있다.[4] 이 캐릭터들은, 무엇보다도, 화려하고 화려한,[5] 화려한, 엠파이어 스타일의 인테리어나 어둡고, 밀도 있고, 섬뜩한 풍경 속에 배치된다. 그녀의 작품은 종종 여성의 모험에 초점을 맞추는데, 이 모험은 포르노 잡지에서 오려낸 몸을 가진 반인반동물 잡지의 형태를 취하기도 하고, 또 어떤 때는 얼굴이 창백하고 민낯의 유령 '스피릿 걸스'[6]로 알려진 민낯의 유령의 형태를 취하기도 한다.

Marnie Weber의 작품은 1998년 Sonic Youth 앨범 A Sunch Leaves의 커버에 수록되어 있다.[7]

스피릿 걸스는 Marnie Weber의 6인조 드론 록 뮤지컬 그룹의 이름이었다. 스피릿걸스는 영화, 조각, 콜라주, 설치, 퍼포먼스를 이용해 네 편의 웨버 영화에 등장하는 여성 록밴드의 후생을 탐구한 베버 멀티미디어 개념 프로젝트의 이름이기도 하다: 네 편의 웨버 영화: 네 편의 웨버 영화: "절대 죽지 않는 노래"(2005년), "서양의 노래"(2007년), "침묵의 바다"(2009년), "영원한영원한령" (2010년).[2] 영화 속 스피릿걸스는 "생존하는 동안 표현하지 못했던 것들을 표현하기 위해 현실로 돌아오는 전성기에 살해된 5명의 청소년의 망령"이다.[8] 스펙트럼 스피릿 걸스는 1970년대 남성 중심의 음악계에서 비극적으로 죽었다고 한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알타데나에 있는 마운틴뷰 묘지에서 임시 미술 전시회를 위한 갤러리와 함께 건립된 시리즈의 마지막 영화 '영원한 포에버'의 개막식이 열렸다. 오프닝에는 똑같이 살아있는 500명의 참석자들에게 마지막 콘서트를 열어준 살아있는 스피릿 걸즈도 선보였다.[2]

웨버는 또한 The Party Boys (미국 밴드)와 The Perfect Me함께 공연하고 녹음했다. 그녀는 1994년 "Woman with Bass," 그리고 1996년 "Cry for Happy"라는 두 개의 솔로 앨범을 가지고 있다. 2004년, 그녀의 작품 모음집 '잊혀진 노래: The Best of Marnie 1987 - 2004.[9]

2016년 웨버는 장편 영화인 "The Day of Forevermore"를 발표했는데, 이 영화는 그녀가 쓰고 감독했으며 그녀의 작품을 특징으로 한다.[10][11]

그녀는 로스앤젤레스에 기반을 둔 예술가쇼와 결혼했다.

그녀의 작품은 뉴 고딕 미술과 관련이 있다.[12]

컬렉션

참고 및 참조

  1. ^ http://marnieweber.com/Bio.html
  2. ^ a b c Yablonsky, L (November 23, 2010). "New York Times Style Magazine. Artifacts: Ghost Dance". Article.
  3. ^ http://www.simonleegallery.com/press-pdfs/mw_press_saatchi_online_magazine_june_2011.pdf[permanent dead link] Saatchi Online Magazine, "Marnie Weber, Amy Greenberg, 2011년 6월 3일 인터뷰
  4. ^ 크리스티나 뉴하우스, "Girls Gone Wild," X-TRA, 10권 2호, Winter 2007, 페이지 21
  5. ^ Julie Joyce, "Too Fast to Live, Too Young to Die"의 "Marnie Weber: From the Dust Room" 카탈로그, Harriet and Charles Luckman Fine Arts Complex, 2005년, 로스앤젤레스 칼 주립 대학교, 페이지 7
  6. ^ Kerek, Rowan (September 10, 2004), "Animal women at London's Emily Tsingou Gallery", BBC Collective, BB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12, 2012
  7. ^ "Interview with Marnie Weber". The White Review. Retrieved 2020-02-26.
  8. ^ Harvey, Doug (August 11, 2005). "Spirits rock among us: A studio visit with Marnie Weber". LA Weekly. Retrieved June 1, 2019.
  9. ^ "Discography", Marnie Weber
  10. ^ Swann, Jennifer (November 4, 2016), Is There Room in the Fine Art World for Marnie Weber's Monsters?, LA Weekly, retrieved June 1, 2019
  11. ^ The Day of Forevermore (2016), Internet Movie Database
  12. ^ 개빈, 프란체스카. 지옥 경계: 신 고딕 미술. 런던: 로렌스 킹 출판사, 2008.
  13. ^ "Marnie Weber".

추가 읽기

  • 모든 전시회, 상영 및 공연에 대한 참고 자료
  • Christopher Miles, "Marnie Weber at Patrick Pistor Inc," Artforum, XLVI, No.1, 2007년 9월, 페이지 477–478
  • 우트 톤. 2007년 10월 아트 다스 쿤스트마가진 "게미슈트와렌적다드 데어 게호벤 클라세,"
  • 미콜 헤브론. "Critic's Picks Los Angeles: Marnie Weber," Artforum.com, 2007년 5월.
  • 메리 바론. "Out at Frieze," Artnet.com, 2007년 10월.
  • 헌터 드로호죠우샤-필프르 2007년 5월 23일, "저것이 바로 정령이다."
  • 애니 버클리 "Spirit Girl," 공예: 전통 공예품을 변형하는 것, 2007년 4권, 페이지 60-62
  • 2007년 4월, "Fantasy Freaky: Marnie Weber," Dumbled & Conflused, 2007년 4월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