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페시아제린시아
Marpesia zerynthia마르페시아제린시아 | |
---|---|
![]() | |
파나마, M. z. 덴티게라 | |
![]() | |
베네수엘라의 안데스 산맥, 대략 1000미터 정도. | |
과학적 분류 ![]() | |
킹덤: | 애니멀리아 |
망울: | 절지 동물문 |
클래스: | 곤충류 |
순서: | 레피도프테라속 |
패밀리: | 님팔레다과 |
속: | 마르페시아 |
종: | 메제린티아 |
이항식 이름 | |
마르페시아제린시아 | |
동의어 | |
|
웨이터 단검술인 마르페시아 제린시아(Marpesia zerynthia)는 님팔리데과에 속하는 나비의 일종으로 메소아메리카의 북쪽과 남쪽 어느 정도에서 발생한다.[2]
분배
마르페시아 제린시아의 분포는 신열대영역에 한정된다.좀 더 구체적으로, 그것은 남미 국가인 페루, 볼리비아, 콜롬비아 그리고 브라질 북부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멕시코 중부를 포함한 메소아메리카에서도 발생하며, 미국 텍사스 주만큼 북쪽 먼 곳에서도 부랑자들이 거의 관찰되지 않을 수 있다.[2]이 종은 열대 낙엽수와 상록수 숲에 서식하며, 개구부에서 관찰될 수 있다.마페시아 제린시아는 최고 2,400미터 고도에서 발생한다.일반적으로 구름숲 종으로 약 800~1800m 사이에 가장 흔하다.[3]
생물학
난자
알은 모라과에 속하는 나무와 관목의 잎에 단독으로 알을 낳는데, 이 잎에는 피쿠스(그림), 클로로포라, 브로스미엄, 아르토카르푸스 등이 포함된다.[3]원뿔 모양인 이 알들은 11개의 수직 갈비뼈를 가지고 있고, 또한 덜 두드러진 수평 갈비뼈도 많이 가지고 있다.수평 갈비뼈는 서로 더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알의 윗부분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다.마이크로파일은 맨 위에 위치한다.달걀은 처음 낳으면 빨갛지만, 결국 에클로시온 전에 검게 된다.[4]
라바
에클로시온 후, 어린 애벌레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으로 머리나 몸에 장식이 부족하다.머리 캡슐은 윤기가 도는 검정색이며, 몸의 나머지 부분은 투명한 엷은 초록색이다.[4]성숙한 애벌레는 매우 다채롭고, 보통 노란색과 빨간 줄무늬와 반점이 있다.갈지 않은 가시 한 줄의 가시가 등을 따라 흐른다.머리는 매우 긴 가시로 장식되어 있다.[3]유충은 그들이 낳은 식물의 잎을 먹고 산다.[2]유충은 잎의 윗면에 쉬며, 이단적으로 먹이를 먹는다.[3]그들은 같은 종의 다른 애벌레들 조차도 침입자가 있다는 것을 무차별적으로 참을 수 없다.방어 기제로써 유충이 방해를 받으면 소동이 멈출 때까지 가시가 있는 머리를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격렬하게 움직이게 된다.[4]
번데기
각진 번데기는 옅은 녹색으로, 더 어두운 점이 특징이다.가시는 머리와 복부 아래쪽으로 돌출한다.날개 케이스의 밑부분에는 날카로운 검은 스파이크가 있다.짧고 굵은 두개의 척추뼈가 중두부에서 돌출한다.뒤통수에는 검은 반점이 두 개 있고, 몸통 부분 사이의 교차점에는 짙은 갈색으로 발달한 주황색이나 노란색이 보인다.[4]
이미고
난자에서 성인으로 발전하는 데는 32일 또는 그 이하가 걸린다.[4]성인의 날개 길이는 7~8.1cm(2.8~3.2인치)이다.뒷부분은 길고 가는 꼬리를 가지고 있다.등쪽은 어두운 갈색이며 여백은 더 가늘다.뒷면과 앞면 양쪽의 복측면에는 날개 여백에 가까운 흰색 내측면과 어두운 갈색 부분이 있다.[3]이 종은 성적으로 약간 이형성이며, 암컷은 전형적으로 수컷보다 둥글고 크다.사육되고 있는 표본은 야생에서 잡힌 표본보다 작은 경향이 있다.[4]
행동
마르페시아 제린시아는 일반적으로 약 6~12마리의 수컷으로 이루어진 작은 그룹으로 만나는데, 이 그룹은 수분으로부터 마시기 위해 젖은 모래와 진흙에 끌리고 미네랄이 풍부하다.특히 선호되는 먹이 주는 곳은 개울이나 산길의 얕은 땅이다.더운 날씨에는 나비들이 끊임없이 날아다니며 날개를 곧게 펴거나 부분적으로 열린 채로 먹이를 먹는다.조건이 더 냉각되면 날개의 배쪽 표면의 어두운 갈색 색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날개를 완전히 벗어난 상태로 유지한다.어른들은 빠르고 날렵하게 날며, 종종 나뭇잎 아래 작은 무리를 지어 함께 날아다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멕시코에서는 보통 5월부터 11월, 7월부터 10월까지 남부 텍사스에서 비행한다.영양은 코르디아와 크로톤의 과즙과 배설물과 그 밖의 여러 가지 비도덕적 원천으로부터 얻는다.[2]암컷들은 숲 속 캐노피에서 거의 내려오지 않고 더 잘 알 수 없다.그러나 흐린 날씨에는 때때로 숲의 낮은 잎에 정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분류학
아종
다음 두 가지 아종이 인식된다.
- 마르페시아 제린시아 제린시아 – 브라질: 바이아
- 마르페시아 제린시아 덴티게라(Fruhstorfer, 1907년) – 텍사스에서 콜롬비아, 페루, 그리고 아마도[5] 에콰도르로
동의어
과거 마르페시아 제린티아에 할당된 유효하지 않은 이름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님팔리스코르시아 고다르트, [1824][6]
- 파필리오 실라 퍼티, 1833년
- 메갈루라 제린시아 덴티게라 프루스토르페르, 1907년
- 마페시아코르시아속 (고다르트, 1824년)[4][7]
참고 항목
참조
- ^ Savela, Markku. "Marpesia Hübner, 1818". Lepidoptera and Some Other Life Forms. FUNET. Retrieved 7 February 2017.
- ^ a b c d "Attributes of Marpesia zerynthia". Butterflies and Moths of North America. Retrieved 9 February 2014.
- ^ a b c d e f Hoskins, Adrian. "Butterflies of the Amazon and Andes". Retrieved 9 February 2014.
- ^ a b c d e f g Orellana, Andrés (1997). "Biology of the Butterfly Marpesia zerynthia Hübner 1823 in Andean Venezuela" (in English and Spanish). Mérida, Venezuela: Academia.edu. Retrieved 9 February 2014.
- ^ "Marpesia zerynthia". Gwann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February 2014. Retrieved 9 February 2014.
- ^ "Nymphalis coresia Godart, 1824". ITIS Report. Retrieved 9 February 2014.
- ^ "Marpesia zerynthia dentigera (Fruhstorfer, 1907)". Butterflies of America. Retrieved 9 February 2014.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스는 마르페시아 제린시아와 관련된 미디어를 보유하고 있다. |
- 아마존과 안데스의 나비, 종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
- 이전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미숙한 단계를 상세히 기록한 과학 논문 Academia.edu
- 나비 오브 아메리카, 유형 표본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