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셜 필드의
Marshall Field's![]() | |
산업 | 리테일링 |
---|---|
설립 | 1852년 시카고에서 |
소멸 | 2006년 9월 9일; | 전 (
운명. | 획득 |
후계자 | 메이시스 |
주요인물 | |
부모 | |
자회사 |
마셜 필드 & 컴퍼니(Marshall Field & Company)는 일리노이주 시카고에 있는 고급 백화점이었습니다. 19세기에 설립되어 2005년 메이시스 주식회사가 인수하기 전까지 대형 체인으로 성장했습니다. 그것의 설립자인 마셜 필드는 선구적인 소매 거물이었습니다.
시카고 루프의 스테이트 스트리트에 있는 이 회사의 대표적인 마셜 필드 앤 컴퍼니 빌딩은 내셔널 랜드마크입니다. 2006년에 스테이트 스트리트에 공식적으로 메이시스라는 브랜드가 붙었고, 그 때 메이시스의 대표적인 상점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역사
초기

Marshall Field & Company는 P. Palmer & Company라는 가명을 가진 Potter Palmer가 1852년 일리노이주 시카고의 Lake[1] Street 137번지에 연 건품 가게의 전신을 추적하고 있습니다. 1856년, 21살의 마셜 필드는 매사추세츠주의 피츠버그로부터 미시건 호수의 남서쪽 해안에 있는 번창하는 중서부 도시 시카고로 이사를 왔고, 그 도시에서 가장 큰 건자재 회사인 쿨리, 워즈워스 & 컴퍼니에서 일을 했습니다. 미국 남북전쟁 직전인 1860년, 필드와 부기장 레비 Z. Leiter는 당시 쿨리, 파웰 & 컴퍼니로 알려진 회사의 주니어 파트너가 되었습니다. 1864년, 이 회사는 수석 파트너인 존 5세가 이끌었습니다. Farwell, Sr.는 Farwell, Field & Company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2] Field와 Leiter가 Farwell과의 파트너십에서 곧 탈퇴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질 때에만 가능합니다.[3]
Potter Palmer는 병든 건강에 시달렸고, 그의 번창하는 사업을 처리하려고 했고, 그래서 1865년 1월 4일, Field와 Leiter는 그와 그의 형제 Milton Palmer와 동업을 맺었습니다. 그래서 P. Palmer & Company의 회사는 Field, Palmer, Leiter & Company가 되었고, Palmer는 초기 자본의 상당 부분과 자신의 기부금을 조달했습니다. Field and Leiter의 즉각적인 성공으로 그들이 그에게 돈을 갚을 수 있게 된 후, Palmer는 2년 후인 1867년에 그 도시의 중요한 고속도로들 중 하나인 State Street에 대한 그의 증가하는 부동산 이자에 집중하기 위해 그 파트너십에서 탈퇴했습니다.[4] 그의 형 밀턴 파머도 이때 떠났습니다. 매장 이름은 "Field & Leiter & Company"로 변경되었으며, "Field & Leiter"로 불리기도 합니다.
그러나 그 매수는 Potter Palmer와 Potter Palmer의 회사와의 연관성을 종식시키지 못했습니다. 1868년, 파머는 Field와 Leiter에게 State and Washington Streets의 북동쪽 모퉁이에 새로 지은 6층짜리[5] 건물을 임대하라고 설득했습니다. 이 상점은 값비싼 대리석 석재 얼굴 때문에 곧 "마블 팰리스"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시카고 대화재
1871년 10월 8일 시카고 대화재가 발생했을 때, 미국 도시를 강타한 최악의 참사 중 하나인 이 소식은 회사 관계자인 헨리 윌링과 레비 라이터에게 전해졌고, 그들은 그들의 값비싼 상품들을 가능한 한 많이 마차에 싣고 화재의 길에서 벗어난 라이터의 집으로 가져가기로 결정했습니다. 회사의 운전사들과 팀들은 헛간에서 나가라는 명령을 받았습니다. 호레이스 B. 젊은 판매원인 파커는 급히 가게 지하로 달려가 상자를 부수고 아궁이 보일러에 불을 지펴 증기로 움직이는 엘리베이터를 작동시켰습니다. 이 직원들은 중요한 기록과 귀중품을 안전하게 제거하기 위해 밤새 열렬히 일했습니다.
어느 순간 가스 탱크가 폭발하여 가게의 가스등이 꺼졌습니다. 사람들은 촛불과 다가오는 불길에서 나오는 빛으로 작업했습니다. 직원들은 지하실에서 가게의 강력한 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증기를 얻었고, 자원봉사자들은 지붕으로 가서 가게의 소방 호스를 사용하여 다가오는 화재의 지붕과 벽을 적셨습니다. 그러나 다음날 아침 일찍, 그 도시의 수도가 타버렸고, 그로 인해 수도 공급이 중단되었고 더 이상의 노력은 소용이 없었습니다. 마지막 직원이 건물 밖으로 거의 나오지 않았을 때 창문마다 불을 뿜으며 불길에 휩싸였습니다.[6]
가게가 불에 탔습니다. 하지만, 직원들의 엄청난 노력의 결과로, 너무 많은 상품들이 절약되어서, 가게는 몇 주 만에 (10월 28일 도매부, 11월 6일 소매부) 임시 장소(State & 20th Streets에 있는 시카고 시티 철도 회사의 마차 헛간)에 다시 문을 열 수 있었습니다. 6개월 후인 1872년 4월, Field & Leiter는 Madison and Market Streets (오늘날의 West Wacker Drive)에 있는 불에 타지 않은 건물에서 다시 문을 열었습니다. 세일즈맨 파커는 45년 더 회사에 있으면서 일반 영업 관리자로 승진했습니다.[7]
대불이 난 후
2년 후인 1873년 10월, 필드와 리터는 워싱턴의 스테이트 스트리트로 돌아와 싱어 재봉틀 회사에서 임대한 5층짜리 새 가게에 문을 열었습니다. 파머는 자신의 재건 활동에 자금을 대려고 땅을 팔았습니다. 이 가게는 1876년에 확장되었다가 1877년 11월에 다시 화재로 소실되었습니다. 언제나 집요한 Field and Leiter는 그들이 도시에서 임시로 임대한 호숫가 전시장에 새로운 임시 상점을 이달 말까지 열었는데, 지금의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 자리에 있습니다. 한편, 싱어 회사는 이전 1873년 가게의 폐허 위에 새로운, 훨씬 더 큰 6층 건물을 지었으며, 이것은 약간의 논쟁 끝에 필드와 리터가 개인적으로 사들였습니다. Field, Leiter & Company는 1879년 4월에 마지막으로 State and Washington의 북동쪽 모퉁이에 있는 전통적인 위치를 되찾았습니다.

1881년 1월, Field는 후배 파트너들의 지원을 받아 Levi Z를 인수했습니다. Liter, "Marshall Field & Company"로 사업명을 변경합니다. 파머가 이전에 그랬던 것처럼, 레이터는 은퇴하여 1891년 스테이트 스트리트에 있는 세컨드 레이터 빌딩과 쿠퍼 & 컴퍼니의 시겔을 수용하기 위해 반 뷰렌에 백화점을 의뢰하는 것을 포함한 그의 중요한 부동산 투자에 참여했습니다. 1932년, 이 건물(철골로 지어진 초기 상업용 건물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볼티모어의 에퀴터블 빌딩과 함께 여전히 미국에 남아 있습니다)은 나중에 유명한 전국적인 통신 판매 회사인 Sears, Roebuck & Company에 임대되었습니다.
1887년, 랜드마크인 7층짜리 헨리 홉슨 리차드슨이 디자인한 로마네스크 스타일의 마셜 필드 도매점이 퀸시와 애덤스 사이의 프랭클린 거리에 문을 열었습니다. (c.1930년경). 오늘날 거의 기억되지 않지만 도매 부문은 미국 중서부 전역의 소규모 상인들에게 대량으로 상품을 팔았고, 당시 지역 소매점의 판매량의 6배에 달했습니다. 시카고는 미국 철도와 오대호 해운의 연결점에 위치하고 있어 1870년대까지 건조물 도매 사업의 중심지가 되었고, 전쟁 전부터 필드의 전 파트너였던 존 5세가 있었습니다. 파웰(Farwell, Sr., 1825–1908)은 그의 가장 큰 라이벌이었습니다. 그것은 존 G가 창출한 수익의 규모였습니다. 이 시기에 셰드가[5] 주도한 도매 부서는 마셜 필드를 시카고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이자 미국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 중 한 명으로 만들었습니다.
스테이트 스트리트 매장
리터가 떠난 후 소매점의 중요성이 커졌습니다. 도매 부서의 규모의 극히 일부에 머물렀지만, 호화로운 건물과 호화로운 상품은 마셜 필드를 마을의 다른 도매 건재 상인들과 차별화시켰습니다. 1887년, 해리 고든 셀프리지가 소매점을 이끌도록 임명되었고 현대적인 백화점으로 발전하면서 그것을 이끌었습니다. 같은 해, 필드는 개인적으로 1879 싱어 빌딩에 대한 레이터의 잔여 지분을 얻었고, 1888년에 추가적인 바닥 공간을 위해 그와 인접한 빌딩들을 구입하기 시작했습니다. 마셜 필드도 이때 아이가 있었습니다.

1892년, State Street에 있는 1879년 건물과 동쪽의 Wabash Avenue 사이의 구조물들은 철거되었고, 유명한 영향력 있는 건축가 Daniel H. Burnham과 그의 회사 D.H. Burnham & Company는 1893년으로 예정된 세계 콜롬비아 박람회에서 방문객이 유입될 것을 예상하고 새로운 건물을 짓는 것을 의뢰받았습니다. 와바시와 워싱턴 거리의 북서쪽 모퉁이에 있는 9층짜리 "아넥스"가 버넘 동료 찰스 B의 지시로 문을 열었습니다. 1893년 8월 박람회가 끝날 무렵 앳우드[8]. 1897년, 오래된 1879년 가게는 재건되어 2개 층이 추가되었고, 마셜 필드의 상징적인 랜드마크인 그레이트 클락스의 첫 번째 가게는 11월 26일 스테이트 스트리트와 워싱턴 스트리트의 모퉁이에 설치되었습니다.[9]
1901년, 이전에 개인 파트너십이었던 Marshall Field & Company가 통합되었습니다. Selfridge에 자극을 받은 Marshall Field는 1888년부터 사용되었던 3개의 건물과 1901년 State and Randolph Streets의 남동쪽 모퉁이에 Dankmar Adler and Louis Sullivan이 디자인한 1879 Central Music Hall을 파괴했습니다. 그 자리에 1902년 스테이트 스트리트 앞에 12층짜리 거대한 건물이 세워졌습니다. 그 중에는 웅장한 새 입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1906년, 당시 가게에서 가장 오래된 1893년 구조물의 북쪽에 있는 와바시 애비뉴에 세 번째 새로운 건물이 문을 열었습니다.
공사가 한창이던 1904년 셀프리지는 경쟁 점포인 슐레징거&메이어를 사들이면서 회사를 급작스럽게 그만뒀지만 3개월 뒤에야 매각했습니다. 1899년 슐레징거 & 메이어는 현재의 Carson, Pirie, Scott and Company Building으로 알려진 Louis Sullivan이 설계한 건물을 위탁했습니다. 이 건물은 Selfridge가 사업을 매각한 회사입니다. 은퇴를 시도한 후, 그는 런던에 셀프리지(Selfridges)를 설립했습니다.
셰드 시대
마샬 필드는 1906년 1월 16일 뉴욕에서 사망했습니다. 그의 장례식 당일, 크고 작은 스테이트 스트리트 주변의 모든 상점들이 문을 닫았고 시카고 무역위원회는 그를 기리기 위해 오후 거래를 중단했습니다.[5] Marshall Field and Company 이사회는 John G를 임명했습니다. 필드가 한때 "미국에서 가장 위대한 상인"이라고 불렀던 셰드(Shed, 1850–1926)는 회사의 새 사장을 맡았습니다.[5] 셰드는 시카고에서 12,000명(그 중 3분의 2는 소매업)을 고용한 회사의 대표가 되었고, 도매업으로 거의 5,000만 달러에 더하여 연간 소매 판매로 약 2,500만 달러를 하고 있었습니다.[3]

그 후 16년간 셰드의 지도 아래 마셜 필드앤코는 가게를 계속 재건하여 1906년에 1879년 구조물을 철거하기 위해 필드가 직접 승인한 계획을 이행했습니다. 그 대신 1902년 거리 정면의 연속과 함께 새로운 사우스 스테이트 스트리트 건물이 생겼습니다. 1907년 9월에 개장한 루이 컴포트 티파니 장식의 천장은 160만개 이상의 조각이 들어있는 최초이자 가장 큰 유리로 지어진 천장입니다. 1907년 건물이 완공되면서 마셜 필드는 필라델피아의 존 와너메이커와 뉴욕의 R.H. 메이시를 제치고 순간적으로 "세계 최대 백화점"이라는 타이틀을 갖게 되었습니다.
1912년 와바시와 랜돌프의 남서쪽 모퉁이에 있는 16층짜리 트루드 빌딩이 인수되어 철거되었는데, 이것은 최근에 지어진 고층 빌딩의 첫 번째는 아닐지 몰라도 첫 번째 철거 중 하나로 여겨졌습니다.[10] 그 자리에 Burnham & Company 건축 회사인 Graham이 설계한 1914년 건물이 자리를 잡아 현재의 상점을 완성하고 현재 워싱턴, 스테이트, 와바시 및 랜돌프 거리로 경계를 이루는 정사각형 도시 블록 전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1914년, 같은 그레이엄 버넘 & 컴퍼니(Graham & Company)가 워싱턴 동부 25번지(East Washington 25)의 건너편에 20층짜리 마셜 필드 별관을 새로 개장하는 것을 감독했습니다. 이 별관은 처음 6층에 마셜 필드의 남성을 위한 상점(Marshall Field's Store for Men)을 수용했습니다. 이 건물들은 세계에서 가장 큰 백화점의 지위를 되찾았고, 많은 레스토랑과 분리된 남녀 라운지는 고급 시카고의 중요한 사회적 목적지가 되었습니다.
셰드는 필드의 도매 사업을 계속 확장하고 제조 사업을 성장시켰으며 1911년 남부의 방직 공장(캐넌 밀스 회사 참조)을 매입하고 1917년 마셜 필드 트러스트의 사업에 대한 지분 매입을 감독했습니다. 필드 패밀리는 결국 10%의 지분만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두번째 회사 사장, John G. 셰드는 1922년 말에 은퇴했습니다.
1913년 일리노이주 상원 조사
1913년, 카슨 피리 스콧과 마셜 필드의 대표들은 주요 백화점의 여성 종업원들의 저임금에 대한 일리노이 주 상원의 조사를 위해 스프링필드에 있는 일리노이 주의 주도로 불려갔습니다. 마셜 필드에서 여성들은 타이피스트나 다른 종류의 사무직 노동자였을 뿐만 아니라 영업부에서도 큰 역할을 했습니다. 여성 판매원은 에티켓 교육을 받았고 상품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얻었습니다.[11] 세일즈 우먼의 존재는 마셜 필드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그들은 여성 고객들을 더 편안하게 만들어 마셜 필드에서 쇼핑을 즐길 수 있게 했기 때문입니다.
마샬 필드의 여성들이 이용할 수 있는 기회는 직장 여성들의 하위 문화를 만들었습니다. 20세기 초중반 동안 많은 여성들이 노동력으로 이주하면서 새로운 기회가 있는 신도시에 표류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 여성들 중 다수는 가족이나 친척들과 떨어져 살았고, 젊고 독신이었으며 다양한 배경과 민족 출신이었습니다. 이러한 여성의 하위 문화는 마셜 필드를 통해 제공되는 임금과 기회에 크게 영향을 받았습니다.[12]
그러나 여직원들의 임금은 회사에서의 그들의 역할을 대변하지 못했고, 따라서 1913년 일리노이주 상원 조사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여성들은 매우 낮은 임금을 받았는데, 평균적으로 주당 5달러에서 8달러 정도였습니다. 1913년 일리노이주 상원 조사에서 일리노이주 제조업 협회 대변인들로부터 받은 증언에 따르면, 대부분의 주요 고용주들은 여성 노동자들에게 2.75달러(~2022년 81달러) 정도의 낮은 임금을 지급했습니다.[13] 1913년에도 그것은 생활임금이 아니었습니다. 청문회에서 마셜 필드는 여성들의 급여를 두 배로 늘릴 수 있다고 밝혔으나 이를 거부했습니다. 게다가, 여성들은 회사 내에서 성차별과 같은 학대에 더 직면했고, 이로 인해 회사 내에서 그들의 이동성이 제한되었습니다.
1호점과 프랑고 브랜드
James Simpson은 Shed의 은퇴 후 대통령으로 임명되었습니다. 쇠퇴하는 도매 부문을 선호하는 것으로 여겨졌지만, 그는 소매 사업을 확장하여 1923년 12월에 스테이트 스트리트와 잭슨 대로에서 A. M. Rothschild & Co.를 처음 샀고, Field는 "The Davis Store"라고 불리는 할인점으로 운영했습니다. 1924년에 그 가게가 점유하고 있던 1893-1914년의 건물들이 마샬 필드 트러스트로부터 인수되었습니다.
마셜 필드의 첫 번째 지점은 1928년 5월 일리노이주 레이크 포리스트의 마켓 스퀘어에 문을 열었습니다.[5] 1928년 9월, 일리노이주 에반스턴에 첫 지점이 생겼고, 이후 1929년 11월 셔먼 애비뉴와 처치 스트리트에 있는 프랑스 르네상스 스타일의 건물로 이전했습니다.[14] 일리노이주의 오크 파크(Oak Park) 매장은 1929년 9월 에반스턴(Evanston) 매장과 비슷한 건물에서 문을 열었습니다.[15] 1890년에 설립된 워싱턴주 시애틀에 본사를 둔 백화점 프레더릭 & 넬슨도 1929년에 인수되었으며, 1914년에 시애틀 시내의 파인 스트리트와 5번가에 건물을 지었습니다. Frederick & Nelson의 로고는 곧 Field의 상징적인 대본에 다시 쓰였지만, Frederick & Nelson의 이름은 그대로 유지되었습니다. 프레데릭 앤 넬슨은 당시와 현재 시애틀의 전통인 프랑고 민트를 만들었습니다. 이 민트들은 나중에 스테이트 스트리트 가게의 캔디 키친에서도 생산되어 시카고에서도 인기를 끌게 되었습니다.
마셜 필드 & 컴퍼니는 1930년 "대공황" 초기에 공기업이 되었습니다. 소매업체는 쇠퇴한 도매 부문을 수용하기 위해 거대한 새로운 상품 마트를 여는 비용 때문에 자본이 필요했습니다. 이 마트는 1930년에 문을 열었을 때 세계에서 가장 큰 건물이었습니다. Richardson이 설계한 1887 도매점은 퀸시 거리와 아담스 거리 사이의 프랭클린에 의해 이때 문을 닫고 철거되었습니다. 그러나 새로운 건물은 "대공황"의 심화와 더불어 소매 유통 및 도매 패턴의 변화에 직면하여 Field의 도매 부서를 구할 수 없었습니다. 심슨은 회사를 떠났고, 제임스 O. 회사를 개혁하기 위해 시카고 대학 교수이자 McKinsey and Company 컨설팅 회사의 설립자인 McKinsey가 고용되었습니다. 한때 회사의 핵심이었던 도매 부문은 1936년까지 청산되었습니다. 데이비스 스토어도 1936년에 문을 닫았고, 그 건물은 골드블래츠에 팔렸습니다. 1939년, 스테이트 스트리트의 주요 상점의 기초가 되는 땅은 마셜 필드 트러스트로부터 인수되었습니다. 한편, McKinsey는 또한 Fieldcrest라는 이름으로 회사의 다양한 섬유 운영을 통합하여 회사의 수직적으로 통합된 운영을 개편했습니다.
교외 확장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머천다이즈 마트 건물은 1945년 Joseph P. Kennedy, Sr. (1888–1969)에게 매각되어, Field Company의 재정이 크게 개선되었고, 상점이 전후 교외의 주거 및 상업 붐에 대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Marshall Field는 1950년 선구적인 교외 개발자 Philip M. Klutznick(유명한 유대인 지도자이자 후에 미국 상무장관)과 협력하여 새로운 집으로 고객을 따라 교외로 나갔습니다. 토지 사용과 건축에 혁명적인 새로운 개념을 활용했습니다.
1956년, 클러츠닉과 필드가 공동으로 일리노이주 스코키(Skokie)에 올드 오차드 쇼핑 센터(Old Orchard Shopping Center)를 열었는데, 이 센터는 클러츠닉이 이미 필드가 소유하고 있는 땅에 개발한 센터이며, 개발에는 새로운 필드 매장이 포함되었습니다. 그 뒤를 이어 1959년에는 북서쪽으로 위스콘신주 와우와토사의 메이페어 몰(Mayfair Mall)에 필드(Field's) 매장을 열었고, 이후 1962년에는 일리노이주 오크브룩의 오크브룩 센터(Oakbrook Center), 1966년에는 일리노이주 캘러멧 시티의 리버오크스 센터(River Oaks Center)에 클러츠닉(Klutznick) 주도의 쇼핑 센터(Shopping Center) 매장을 열었습니다.
마셜 필드는 태평양 북서쪽으로 더 확장하여 1962년 워싱턴 스포캔에 있는 크레센트 백화점을 인수했으며 1970년 오하이오 클리블랜드의 대표적인 백화점인 할 브라더스 주식회사를 인수하면서 동쪽으로 이전했습니다. Field's는 또한 일리노이주에서 고향 기반을 계속 확장하여 1971년 Schaumburg의 Woodfield Mall에 매장을 열었습니다.
1973년 록포드의 체리베일몰과 버논힐스의 호손몰이 뒤를 이었고, 1975년 시카고의 워터타워플레이스와 오로라의 폭스밸리몰에 매장이 문을 열었습니다. 교외 확장은 1976년 올랜드 파크에 있는 올랜드 스퀘어 몰에 위치한 것을 시작으로 1978년 졸리엣에 있는 루이 졸리엣 몰에 이어 계속되었습니다. 1979년 마셜 필드는 휴스턴 갤러리아(The Galleria)에 매장을 두고 텍사스(Texas) 남부로 확장했습니다.
1980년에는 J.B.의 급속한 인수가 이루어졌습니다.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과 플로리다주 잭슨빌에 본사를 둔 백화점 체인 Ivey Co.,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에 있는 유니온 회사, 오리건주 포틀랜드에 있는 립맨스 매장, 워싱턴주에 있는 리버티 하우스 매장. 기존 시애틀에 있는 Frederick & Nelson의 Frederick & Nelson 사업부는 Lipmans와 Liberty House 사업부를 자신의 이름으로 흡수했지만, 처음에 오하이오주 콜럼버스 연합과 클리블랜드의 Halle의 초기 사업부를 합병한 후, 필드는 1981년 11월에 결합된 체인점을 매각하기로 결정했고, 새로운 소유주들은 빠르게 그것을 청산했습니다.
1980년대 초에는 일리노이주에 단 두 개의 매장이 추가되었고, 1980년 10월에는 웨스트 던디의 스프링 힐 몰에, 1981년에는 블루밍데일의 스트랫포드 스퀘어 몰에 하나의 매장이 추가되었습니다. 또 다른 텍사스 매장은 1982년 텍사스 주 달라스에 있는 달라스 갤러리아에 문을 열었습니다.
BATUS
1982년 마셜 필드 & Co.는 B.A.T. 영-아메리칸 토바코에 인수되면서 더 이상 공개 회사가 아닙니다. BATUS 소매 그룹의 일환으로 B.A.T., Field's 및 Frederick & Nelson의 미국 소매 부문, Ivey's and The Crescent 백화점 및 John Bruiners 가정용 가구 매장이 소매업체 Gimbels, Saks Fifth Avenue 및 Kohl's에 합류했습니다. 필드는 BATUS 산하에서 계속 확장하여 1983년 휴스턴 타운 & 컨트리 몰과 1986년 샌안토니오 노스 스타 몰에 매장을 추가했습니다.
그러나 마셜 필드를 사들인 지 불과 4년 만에 BATUS는 1986년 소매 사업을 축소하고 필드의 이전 자회사인 프레드릭 & 넬슨과 더 크레센트를 현지 투자자 그룹에 매각했습니다. 프레드릭 앤 넬슨은 빠르게 악화되어 1992년에 사라졌습니다. 1914년 건물은 1929년에 필드가 인수한 건물로, 결국 노드스트롬이 사들였고, 1998년에 노드스트롬이 소유한 시애틀 모 매장을 대체하기 위해 건물을 개조하고 다시 문을 열었습니다.
BATUS는 1986년에 짐벨스 사업부를 폐쇄하고 위스콘신에 있는 5개의 짐벨스 지점을 마셜 필드 사업부로 이전했습니다: 밀워키 시내, 밀워키의 노스리지 몰과 사우스리지 몰, 매디슨의 힐데일 쇼핑 센터와 애플턴 시내. 예전의 짐벨스 노스리지와 사우스리지는 3년 동안만 필드가 보유하고 있었는데, 실적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1989년에 셰보이건의 H.C.프랜지 회사에 매각되었습니다.
Evanston and Oak Park 매장들은 1986년에 문을 닫았는데, 1929년 건물들은 구식이고 운영하기에 너무 비싸다고 여겨졌습니다. 빌 알렌(Bill Allen) 건축 및 유지 관리 책임자가 이끄는 스테이트 스트리트 플래그십 스토어의 대대적인 복원 및 보수 공사가 1987년에 시작되었습니다.
BATUS는 처음에는 삭스 5번가, 마셜 필드, 아이비를 보유했지만 1990년에 나머지 미국 소매 자산을 모두 바레인에 본사를 둔 인베스트코프로, 아이비는 딜라드에, 마셜 필드는 당시 데이턴-허드슨 코퍼레이션(현재 타겟 코퍼레이션)에 매각했습니다.

데이튼-허드슨, 타깃, 메이
데이튼-허드슨 코퍼레이션은 2000년에 Target Corporation으로 이름을 바꾸었고, 2001년에는 데이튼스와 허드슨 백화점인 Marshall Fields로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이 상점들은 필드의 기존 시장 밖에 있었습니다. Target Corporation은 Marshall Field의 매장에 일부 브랜드를 도입하여 Field의 더 비싼 제품을 대체했습니다.
2004년 타겟 코퍼레이션은 마셜 필드의 체인점을 메이사에 매각하여 백화점 사업에서 완전히 손을 떼게 되었습니다. 할인 대상 대신 May Company와 제휴하면 "Let's Be Field"가 되어 이전 캐시와 상위 계층의 고객층을 다시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그러나, Federated Department Stores, Inc.는 2005년에 May Company를 인수했습니다.
연합 획득, 명칭 변경 및 항의
연방정부가 매입한 후, 마셜 필드의 상점들은 L.S. Ayres와 새로운 메이시스 노스 부서의 기존 메이시스 상점들에 합류했습니다. 2006년 동안 마셜 필드의 모든 상점, 대부분의 필렌 및 기타 9개의 메이 소유 체인점의 모든 상점이 메이시스로 이름이 바뀌었고, 2006년 9월 9일에 전환이 공식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16] 많은 시카고 사람들은 뉴욕시 브랜드가 그들의 지역 브랜드를 대체하는 것에 분개했습니다.[17] 수백 명의 시위자들이 그날 마샬 필드의 유명한 시계 아래 모였고,[18] 1주년이 되는 2007년 9월 9일에 돌아왔습니다.[19] 2008년부터 2012년까지 매 기념일마다 수십 명이 "필드의 팬들" 집회에 참석했습니다.[20][21][22]
회사가 미학과 고객 서비스 기준을 바꾸기 시작했을 때 많은 시카고 사람들은 메이시가 마샬 필드를 인수한 것에 배신감을 느꼈고, 시카고에 기반을 둔 많은 브랜드를 강등시켰습니다. 2006년 12월, 메이시스는 마셜 필드의 이전 매장에서 30% 정도 매출이 감소했다고 보고했고, 2007년에는 스테이트 스트리트 위치를 홍보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습니다.[23]
리노베이션
시카고의 State and Washington Streets에 있는 Marshall Field and Company Building은 1978년에 국가 사적지로 등록되었으며 루프 소매 국가 사적지의 일부입니다. 이 건물은 2005년 11월 1일 시카고 랜드마크로 지정되었습니다.[24] 약 200만 평방 피트의 사용 가능한 바닥 공간을 가진 이 건물은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 백화점입니다.
1987년, BATUS 소유 하에 있는 동안, Field's State Street 매장은 상당한 복구 작업을 거쳤습니다. 2004년, Field's는 Dayton Hudson/Target이 여전히 소유하고 있는 동안, 1억 1,500만 달러(~1억 7,200만 달러)의 비용이 드는 랜드마크 스테이트 스트리트 상점의 또 다른 대대적인 복구가 시작되었습니다. 5월 인수 후 마지막 보수가 완료되었습니다. 2004년의 보수 공사는 새로운 하부 상점의 설치, 역사적인 경광정 상부의 강철 격자 제거, 골목과 중간 상점 경광축이었던 곳에 11층짜리 아트리움을 추가하는 것을 포함했습니다.
2004년, Field's는 상품에 대한 중요한 업그레이드와 고급 벤더 관계의 도입을 통해 런던의 Selfridge와 유사한 방식으로 연면적의 10%를 외부 벤더에게 임대했습니다(Selfridge's는 Field의 전 임원인 Harry Selfridge가 설립했습니다. 런던에 있는 셀프리지의 건물도 마셜 필드의 건물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했습니다.
첫째, 주목할 만한 사건, 지역사회 리더십
마셜 필드의 "최초" 중 하나는 백화점 다방의 개념이었습니다.[citation needed] 19세기에 시내에서 쇼핑을 하는 여성들은 점심을 먹기 위해 집으로 돌아갔습니다. 신사의 호위를 받지 않고 시내 식당에서 점심을 먹는 것은 여성답지 않게 여겨졌습니다.[citation needed] 하지만 마셜 필드의 점원이 피곤한 쇼핑객과 점심식사(치킨 냄비 파이)를 나눈 후, 필드는 여성 쇼핑객들이 쇼핑을 마치기 위해 두 번의 여행을 할 필요를 느끼지 않도록 백화점 티룸을 열자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citation needed] 지금까지도 호두방은 전통적인 부인을 모시고 있습니다. 청어 닭 냄비 파이.[citation needed]
마셜 필드는 영국 맨체스터에 위치한 최초의 유럽 구매 사무소와 최초의 신부 등록소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 회사는 최초로 개인 쇼핑객의 개념을 도입했으며, 그 서비스는 마셜 필드의 이름으로 체인의 마지막 날까지 모든 필드의 매장에서 무료로 제공되었습니다. 회전 신용을 제공한 최초의 매장이자 에스컬레이터를 사용한 최초의 백화점이었습니다. 스테이트 스트리트 상점에 있는 마셜 필드의 책 부서는 전설적인 곳이었고, 그것은 "책 사인"의 개념을 개척했습니다. 게다가, 매년 크리스마스에 마셜 필드의 시내 상점 창문은 시내 상점가의 전시물의 일부로 애니메이션 전시물로 가득 찼고, "테마" 창문 전시물은 그들의 독창성과 아름다움으로 유명해졌고, 크리스마스에 마셜 필드의 창문을 방문하는 것은 시카고 사람들과 방문객들 모두에게 전통이 되었습니다. 똑같이 유명한 크리스마스 트리와 함께 호두방을 방문하거나 스테이트 스트리트에서 "시계 아래에서" 만나는 것만큼 인기 있는 지역 관행입니다.
마셜 필드는 "여성이 원하는 것을 여성에게 주세요"라는 슬로건으로 유명했습니다. 그는 또한 성실함, 성품, 공동체의 박애와 리더십으로 유명했습니다. 그가 죽은 후에도, 그 회사는 시카고 지역 사회에 끝까지 주요 자선 기부자로 남아있었습니다.[25]
필드, 그가 만든 가게와 그의 후계자 존 G. 셰드는 비즈니스, 예술, 문화 및 교육 분야에서 전 세계적으로 시카고의 명성을 확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시카고 미술관, 자연사 현장 박물관(1905년 첫 번째 주요 후원자의 이름을 따서 개명됨),[26] 과학 산업 박물관, 존 G. 셰드 아쿠아리움과 시카고 대학은 모두 마셜 필드의 자선 활동의 도움을 받았습니다.[27] 마셜 필드는 1893년 세계 콜롬비아 박람회의 주요 후원자이기도 했습니다.[28]
참고문헌
- ^ 마샬 필드의 PDX 이력. 2006년 8월 20일 회수.
- ^ 시카고 역사 백과사전 – 존 V. 파웰앤코.. 2006년 8월 19일 회수.
- ^ a b 시카고 역사 백과사전 – Marshall Field & Co. 2006년 8월 20일 회수.
- ^ "Field (Marshall) & Co.". The Electronic Encyclopedia of Chicago. Chicago Historical Society. 2005. Retrieved 2008-03-02.
- ^ a b c d e Jazz Age Chicago Archived 2011-09-27 at the Wayback Machine. 2006년 8월 20일 회수.
- ^ Twyman, Robert W., "Marshall Field & Co. 1852–1906", pp. 38–42, 펜실베니아 대학교 출판부, 필라델피아, 1954.
- ^ 브루어, 윌몬, "A Life of Maurice Parker", pp. 11-12, 마셜 존스 컴퍼니, 뉴햄프셔, 프랜시스타운, 1954.
- ^ Chicago Architecture Info. 2006년 8월 20일 회수.
- ^ MeetinChicago.com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 2007-09-28. 2006년 8월 20일 회수.
- ^ 엠포리스/트루드 빌딩. 2006년 8월 20일 회수.
- ^ Weiner, Lynn W., "직장 문화", 시카고 백과사전, 시카고 역사학회, 2005, 2013.12.5
- ^ 메이에르오위츠, 조앤 J. 우먼 애드리프트: 시카고의 독립 임금 근로자들, 1880–1930. 시카고: 시카고 대학 출판부, 1988. 인쇄.
- ^ 코넬리우스, 자넷, 마사 라프렌츠 케이. 양심의 여성: 일리노이주 댄빌의 사회개혁 1890-1930.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콜롬비아: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출판부, 2008. 인쇄.
- ^ 에반스턴 갤러리아. 2006년 8월 20일 회수.
- ^ Jazz Age Chicago – Field's Branchs Archive at the Wayback Machine 2011-09-27. 2006년 8월 20일 회수.
- ^ Field's trade up for Macy's stars, Archive 2007-03-11 at the Wayback Machine, abc7chicago.com , 2006년 8월 9일
- ^ Yerak, Becky (21 September 2005). "Field's no more". Chicago Tribune. Retrieved 15 March 2018.
- ^ Chicago Tribune, 2006년 9월 10일 & Chicago Sun-Times, 2006년 9월 10일
- ^ 시카고 트리뷴, 2007년 9월 10일, 시카고 레드 아이, 2007년 9월 10일
- ^ "Marshall Field's forever [Caption text only.]". Chicago Tribune. September 10, 2008.
- ^ "More grieving in store [Caption text only.]". Chicago Tribune. September 14, 2009.
- ^ "Chicago Wants Marshall Field's!". Retrieved 2010-11-30.
- ^ "Macy's turns up the charm to court Chicagoans". NBC News. 2007-11-08. Retrieved 2010-11-30.
- ^ "CHICAGO LANDMARKS: Individual Landmarks and Landmark Districts designated as of January 1, 2008" (PDF). Commission on Chicago Landmarks. 2008-01-01.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February 27, 2008. Retrieved February 17, 2008.
{{cite journal}}
: 저널 인용 요구사항journal=
(도와주세요) - ^ 아가씨가 원하는 것을 주세요! Marshall Field & Company 이야기 (1952), The Encyclopedia of Chicago, ISBN 0-226-31015-9, 원본 출처 참고서.
- ^ "The Field Museum Information". Retrieved 2010-11-30.
- ^ FieldFoundation.org Illinois의 Wayback Machine The Field Foundation에서 보관된 2007-04-08
- ^ "World's Columbian Exposition". Retrieved 2010-11-30.
더보기
- Goddard, Leslie (2011). Remembering Marshall Fields. Arcadia Publishing. ISBN 978-0-7385-8368-6.
- Kimbrough, Emily (1952). Through Charley's Door: An Account of the Author's Experiences in the Advertising Department of Marshall Field and Company in Chicago. New York: Harper. ISBN 978-9997500496.
- 코작, 나딘 I. "태양 아래 모든 주제에 대한 깨달음": 20세기 전반 영국과 미국의 백화점 정보국." 도서관 및 정보사 38.3 (2022) : 210-231.
- 레만스, 루디. "소비하는 법: 초기 백화점과 현대 소비문화의 형성 (1860-1914)" 이론, 문화와 사회 10.4 (1993): 79-102.
- Madsen, Axel (2002). The Marshall Fields: The Evolution of an American Business Dynasty. Wiley. ISBN 978-0-471-02493-4.
- Rosen, Renee (2014). What the Lady Wants: A Novel of Marshall Field and the Gilded Age. Penguin Publishing Group. ISBN 9780451466716.
- Soucek, Gayle (2010). Marshall Field's: The Store That Helped Build Chicago. History Press. ISBN 978-1-59629-854-5.
- 트위먼, 로버트 W. 마셜 필드와 주식회사의 역사, 1852-1906 (펜실베니아 대학 출판, 1954).
- Wendt, Lloyd; Kogan, Herman (1952). Give the Lady What She Wants: The Story of Marshall Field & Company. Chicago: Rand, McNally.
외부 링크

- 공식 웹사이트 (보관)
- Map: 41°53′02″N 87°37′38″W / 41.88389°N 87.62722°W
- 1905년 사진과 함께하는 잡지 기사
- 재즈 에이지 시카고 (2006): 마셜 필드와 회사의 역사
- æ디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마셜 필드에 관한 종합 기사
- Dan Skoda와 그의 동료들은 Marshall Field의 #148, 1995년 9월, Illinois 소매 상인 협회, 2003년 4월 23일에 새로운 반짝임을 선사하고 있습니다.
- 큰 변화 전 마지막으로 추억의 길을 산책하다, KARE11.com , 2006년 4월 5일
- Darrid.com : 마셜 필드에게 바치는 헌사
- FieldsFansChicago.org : Marshall Field의 팬 블로그와 Macy의 보이콧 사이트
- 마샬 필드의 것을 가져오십시오.
- 마셜 필드의 마지막 날, 2006년 9월 8일 금요일
- 시카고 트리뷴: "필드의 녹색은 빨간색으로 희미해집니다" – 2006년 9월 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