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사 엘렌 데이비스
Martha Ellen Davis마사 E. 데이비스 | |
---|---|
![]() 산토도밍고에서 논문 발표 | |
직업 | 인류학자, 민족학자 |
수상 | 찰스 시거상(1970),[1] 시카고 민속상(1976),[2] 프레미오 나시오날 데 엔사요 페드로 헤니케스 우레냐(1985)[3] |
Martha Ellen Davis는 플로리다 대학의 명예교수, 인류학자, 그리고 그녀의 다양한 아프리카 디아스포리컬 종교와 음악에 대한 연구로 잘 알려져 있다.데이비스 교수의 연구는 아이티와 도미니카 민속음악에 대한 관습적인 원칙을 무시했고, 그녀의 문화 보존 프로젝트는 사마나 아메리카노스의 거주지가 갖는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였다.
교육과 조기근무
데이비스는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인류학 학사학위(Magna Cum Laude)를, 일리노이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그녀의 대학원 현장 연구는 그녀를 카리브해 여러 섬으로 데려갔으며,[4] 그 중 그녀가 출판한 섬은 그녀가 대학원에서 일찍부터 흑인 문화에 대한 우상숭배자, 비평가, 헌신적인 학자로서의 명성을 확립한 곳이 도미니카 공화국이었다.1972년, 그녀는 도미니카인들이 아프리카-캐리빈 문화에 대해 아직 기록된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소유하고 있다는 의심을 안고 히스파니올라 섬에 도착했다.시오마리타 페레즈는 도미니카 유력 신문에 기고한 글에서 데이비스의 스타일과 나라와의 연결고리에 대해 솔직하게 이렇게 썼다: "마르타가 마음으로부터, 마음으로...그녀의 직업은 그 나라의 사회적 기억력에 필수적이다."(스페인어:마르타 트라바자 데 코라손 이 콘 엘 코라손...Su oficio es delicado e critical e para la memory social del paies »).[5]
제도적 관여
데이비스가 남긴 유산의 일부는 1998년 응용민족학협회에 응용민족학 위원회를 공동 설립하고,[6][7][8] 4권의 신간서적을 [9]집필하며, 다큐멘터리를 [10]제작하고, 수많은 과학기사를 쓰는 것이다.그녀는 아프로 캐리비안 음악의 권위자로 여겨져 왔으며 문학에서 널리 인용되고 있다.데이비스의 책인 라오트라 시엔시아는 도미니카 공화국의 국립 논픽션 상을 받았다.플로리다 대학의 부속 교수로 계속 재직하는 동안, 2003년부터 데이비스는 대부분의 시간을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무소 델 홈브레 도미니카노(도미니카맨의 뮤세움) 명예 연구원과 구술 역사 전문가 및 아르키보 장군(국립문서보관소)의 연구원으로서 강연을 하며 보냈다.res, 충고, 그리고 글쓰기.2012년 11월 1일, Museo는 미국에서 40년 간의 연구를 기념했다.[11]
학자적 기여
데이비스가 도미니카와 아이티 문화에 오랫동안 관심을 보인 것은 "스페인 식민지인 산토 도밍고 신대륙 최초의 식민지인 히스파니올라 섬이 아메리카 대륙의 초기 디아스포랄 도가니이자 문화적 다리였다"[12]는 믿음에서 비롯된다.1976년, 아프리카 카리브해 문화 연구 분야에서 페르난도 오르티즈와 어깨를 나란히 한 데이비스는 도미니카 문화 기득권에 도전했다.CONY의 피터 마누엘에 따르면, 그녀는 "만약 도미니카 공화국의 정당한 '국가적' 음악이 있다면, 그것은 시바오에 특별히 지역적 기원을 둔 메렝게가 아니라, 전국적으로 번성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살베가 될 것"[13][14]이라고 설득력 있게 제안했다.그녀의 작품도 종교의 영역으로 건너갔고, 여기서 그녀는 또한 흔히 도미니카 "민속 종교"라고 불리는 것이 민간 가톨릭교로 더 정확하게 묘사되고 있으며, 그 한 요소는 "도미니카 보다우"[15]라고 제안했다.
게시를 선택하십시오.
![]() | 이 섹션은 특정 청중에게만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과도한 양의 복잡한 세부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2020년 5월) (이 를 과 시기 |
- 1972년 "뮤지컬 행사의 사회적 조직:푸에르토리코 산후안의 피에스타 드 크루즈."민족학 16(1) : 38-62.
- 1975년 "스페인 레온에 있는 둘자이네로의 역할 변화"미국 민속학 저널 88(349): 245-53.
- 1980년 그 옛날 종교:Tradicion y Cambio en el Enclave Americano de Samana."볼레틴 델 뮤소 델 호브레 도미니카노 생도밍게 9, (14) : 165-196.
- 1980년 양면성 드 라 인플루언시아 아프리카나 음악가 도미니카나.산토 도밍고, 레부블리카 도미니카나:도미니카노 미술관
- 1980년 "La Cultura Musical Religiosa de Los Americos de Samana"볼레틴 델 뮤소 델 호브레 도미니카노 생도밍게 9(15): 127–69.
- 1981년 "Voces del purgatorio: estudio de la salve dominicana."산토 도밍고, 레부블리카 도미니카나:도미니카노 미술관
- 1981년 "Himnos y Anthems de los Americos de Samana:컨텍스토스 이 에스티로스."볼레틴 델 뮤소 델 홈브레 도미니카노 10(16): 85-107.
- 1983년 "Cantos de esclavos y libertos: 칸시오네로 de Antems(코로스) de Samanaha." Boletin del Hombre Dominicano 18:197-236.
- 1987년 "자연적인 바이뮤지컬: 캐리비안의 사례 연구"Pacific Review of Ethomusicology 4 : 39-55.
- 1987년 La Otra ciencia : el vodu dominicano como rightion y medicina populares.산토 도밍고, 레퓌블리카 도미니카나 : UASD 편집국
- 1992년 "진로자, '대안진로', 그리고 자기중심학에서의 이론과 실천 사이의 통일"민족학 36 (3): 361–87. doi:10.2307/851869.
- 1994년 "캐리비안의 문화적 구성"의 "Bi-Musicality" 흑인 음악 연구 저널 14(2): 145-60.
- 1996년 "도미니카 공화국의 보두" 게인즈빌, FL: ETHNICA 출판사, 1996.
- 2001년 "캐리비언 음악 개요"미국 음향학회지 110호(2001년) : 2672-2672.
- 2002년 "위기의 해결책:마이애미의 콜롬비아 뮤지컬 디아스포라 탐험 중."반구: 4.
- 2002년 "도미니카 민속춤과 민족 정체성의 형성"아바쿠아에서 주크까지 카리브해 춤:움직임이 정체성을 형성하는 방법(2002년): 127-151.
- 2003년(미구엘 페르난데스, 아르투로 구즈만, 페리클레스 메이지아, 마누엘 세구라와 함께) 파파 리보리오 엘 산토비보 데 마구아나. 게인즈빌, FL: 에트니카 출판사
- 2004년 La Ruta Hacia Liborio: mesianismo en el sur profundo dominicano.산토 도밍고, 레푸블리카 도미니카나: 유네스코와 시크릿리아 데 에스타도 데 컬투라, 2004. ISBN9993496073
- 2004년 (미구엘 페르난데스, 아르투로 구즈만, 아마우타 데 마르코와 함께)도미니카 남서쪽 : 퀴스케야의 교차로와 세계의 중심.게인즈빌, 플라: 에트니카 출판사
- 2007년 도미니카 공화국의 보두:"라 베인티우나 디비시온"에 대한 헌신. 아프로 - '히스패닉 리뷰 26(1) : 75.
- 2007년(조바니 구스만, 노르마 우라카 데 마르티네스 포함) "도미니카 공화국의 보두:'라 베인티우나 디비시온'에 대한 헌신. 아프로-히스파닉 리뷰(2007) : 75-90.
- 2007년 "Assentamento Y Vida Economica de Los Inmigrantes Afroamicos de Samanaa: 라 프로페소라 마르타 윌모어(레티샤)."볼레틴 델 아르키보 장군 데 라 나시온 31(119): 709-734
- 2011년 레탐버스 팔로스 데 라 레퓌블리크 도미니카인아르키보 장군 드 라 나시온(도미니카 공화국) & 플로리다 대학교 메디아테크 카라에베 / 콘세일 게네랄 드 라 과들루프
- 2011년 "Existe un pensamento antropolgico Dominicano?"
- 2011년 데이비스, 마사 엘렌"La Historyia de Los Inmigrantes Afro-Americos Y Sus Iglesias En Samana Segun El Resibrendo Nehemia Willmore."볼레틴 델 아르키보 장군 데 라 나시온 36(129): 237–45.
- 2012년 "도미니카 민속 종교와 음악의 다각적 차원"블랙 뮤직 리서치 저널 32(1): 161 – 191.
참조
- ^ "Charles Seeger Prize". Society of Ethnomusicology. Retrieved December 24, 2015.
- ^ "Chicago Folklore Prize". American Folklore Society. Retrieved December 24, 2015.
- ^ Díaz, Rossy (December 20, 2013). "Conoce a nuestros miembros: Martha Ellen Davis". Dominican Society of Musical Studies. Retrieved December 23, 2015.
- ^ The Editors (January 1972). "Back Matter". Ethnomusicology. 16 (1): 16.
{{cite journal}}
:author=
일반 이름 포함(도움말) - ^ Pérez, Xiomarita (October 31, 2012). "Folcloreadno: Martha Ellen Davis". Listín Diario. Retrieved December 23, 2015.
- ^ Todd Titon, Jeff (2015). The Oxford Handbook of Applied Ethnomusicolog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 27. ISBN 978-0199351701.
- ^ "Applied Ethnomusicology Section". Society of Ethnomusicology. Retrieved December 24, 2015.
- ^ "Invested in Community: Ethnomusicology and Musical Advocacy". Brown University Library Center for Digital Scholarship. Retrieved December 23, 2015.
- ^ Davis, Martha (1987). La otra ciencia: el vodú dominicano como religión y medicina populares. Santo Domingo, Dominican Republic: Editora Universitaria (UASD). OCLC 28668246.
- ^ Gill, Hannah (2006). "Film and Video Reviews". Ethnomusicology. 50 (1): 172–174. JSTOR 20174439.
- ^ Díaz, Rossy (October 15, 2012). "Celebración a etnomusicóloga Martha Ellen Davis". Blog. Museo del Hombre Dominicano. Retrieved December 23, 2015.
- ^ Davis, Martha Ellen (2012). "Diasporal Dimensions of Dominican Folk Religion and Music". Black Music Research Journal. 32 (1): 161–191. doi:10.5406/blacmusiresej.32.1.0161. S2CID 191331179.
- ^ Manuel, Peter (2007). "El Merengue: Musica y Baile de la Republica Dominicana, and: El Merengue en la Cultura Dominicana y del Caribe: Memorias del Primer Congreso Internacional "Musica, Identidad, y Cultura en el Caribe"". Latin American Music Review. 28 (1): 170–173. doi:10.1353/lat.2007.0020. S2CID 191301796.
- ^ Bars, Karoline (2011). "El origen de sones afroantillanos: perspectivas dominicanas con respecto a "Son de la Ma' Teodora"". Latin American Music Review. 32 (2): 218–239. doi:10.1353/lat.2011.0024. JSTOR 41348253. S2CID 191441169.
- ^ Mapril, Jose (2013). Sites and politics of religious diversity in southern Europe: the best of all gods. Brill. p. 39. ISBN 978-90-04-25523-4.
외부 링크
- 도미니카 공화국의 팔로스 북소리카리브해로 가는 관문)
- "La Reguliosidad 인기 도미니카나 como culto a la vida y la muerte"(스페인어로 된 유튜브)
- 마르타 엘렌 데이비스의 개인 파일(Censos de Espaigna e Iberoamérica) (스페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