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 길모어상
Mary Gilmore Prize최고의 시 1권에 대한 메리 길모어 상은 전년도 호주에서 출판된 시 1권에 주어진다.1998년부터 2016년까지 2년마다 상을 받았고, 1998년 이전에는 매년 상을 받았다.[1]호주문학연구협회가 주관하며 호주 작가 겸 언론인 데임 메리 길모어를 기리는 의미에서 이름을 붙였다.
연도별 수상자
- 2021: Em König 호흡 복수형(Cordite Books)
- 2020: 톰 설리번 카르트 블랑쉬 (Vagabond Press)
- 2019년: 마르얀 모사마파라스트 That Sight (Cordite Books)
- 2018:퀸 에이드 랠리닝[2] (UWA 출판사)
- 2017년: 아덴롤페 거짓 향수[3] (기라몬도 출판)
- 2016: 베네딕트 앤드루스 렌즈 플레어 (Pitt Street 시)
- 2014년: 로즈 루카스 심지어 어둠[4] 속에서도 (UWA 출판사)
- 2012: 피오나 라이트 너클레드[5] (기라몬도 출판사)
- 2010: Joanna Preston The Summer King (오타고 대학 출판부)
- 2008년: 거울 속으로 빛을 쓸어 담는 네이선 셰퍼드슨 (퀸즐랜드 대학 출판부)
- 2006: David McCooey Bullet Pack (솔트 출판사)
- 2004: Michael Brennan Imageless World (Salt Publishing)
- 2002: 제럴딘 맥켄지 듀티 (종이 껍질 프레스)
- 2000: 루시 더간 메모리 쉘 (파이브 아일랜드 프레스)
- 1998: Emma Lew The Wild Replay (Black Pepper 출판사)
- 1997: Morgan Yasbinsk Night Reversion (프레망틀 프레스)
- 1996: Jordie Albiston Neginous Arcs (Spinifex Press)
- 1995: 빛을 위해 떠오르는 아일린 켈리 (파리 프레스)
- 1994: 데보라 스테인레스 나우, 밀레니엄 (스파이넥스 프레스)
- 1993: Jill Jones The Mask and Jagged Star (Hazard Press)
- 1992: 앨리슨 크로건 이건 돌이야 (펜갱 북스)
- 1991: 장 켄트 베란다스 (Hale & Iremonger)
- 1990: 아버지의 이름으로 된 크리스토퍼 라스무센 (거짓 프론티어)
- 1989: 알렉스 스코브론 더 리어그레이션 (멜본 대학 출판부)
- 1988: 주디스 베버리지 기린의 가정성 (검은 번개 프레스)
- 1987: 얀 오웬 보이 망원경 (앙거스 & 로버트슨)
- 1986: Stephen J. Williams A Crowd of Voice (파리야 프레스)
- 1985: 도리스 브렛 유니콘스에 대한 진실 (자카란다 프레스)
참고 항목
참조
- ^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Australian Literature (ASAL) - Awards AustLit: Discover Australian Stories". www.austlit.edu.au. Retrieved 29 December 2017.
- ^ "Eades wins 2018 Mary Gilmore Award Books+Publishing". Retrieved 2018-07-06.
- ^ 지라몬도 출판사 "2017 메리 길모어상 수상"
- ^ 시드니 도서평론 "2014년 7월 11일 평론 주간"
- ^ 지라몬도 출판사 "피오나 라이트, 데임 메리 길모어상 수상"
외부 링크
- 오스트레일리아 문학 연구 협회의 수상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