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릴랜드로704번길
Maryland Route 704메릴랜드 국도 704호선(MD 704)은 미국 메릴랜드 주에 있는 주 고속도로다. 마틴 루터 킹 주니어로 알려져 있다. 고속도로, 이 고속도로는 좌석 쾌적한 동쪽의 콜롬비아 특별구 경계에서 이스턴 애비뉴에서 란햄의 MD 450까지 6.53마일(10.51km)을 달린다. MD 704는 시트 플레전트, 랜드오버, 글레나든, 란햄의 북부 프린스 조지 카운티 커뮤니티를 연결하는 4~6차선 분할 고속도로다. 이 고속도로는 1940년대 초 버려진 워싱턴, 볼티모어, 아나폴리스 전기철도(WB&A)의 통행권을 따라 건설되었다.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 미 고속도로의 고속도로가 워싱턴에서 란함까지 건설되고 있는 동안 MD 704는 미국 국도 50호선(미국 50호선)의 임시통로 역할을 했다. 이 노선은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에 시트플레티와 US 50 사이의 분할된 고속도로로 확장되었다. MD 704는 1990년대 후반 US 50 동쪽의 비중이 확대되면서 분할된 고속도로로 완공되었다.
경로 설명
MD 704는 컬럼비아 구의 동쪽 모퉁이 근처에 있는 이스턴 애비뉴와의 교차로에서 시작한다. 이 고속도로는 사우스 애비뉴와 동 국회의사당 거리를 향해 남쪽으로 향하는 63번가로 남하하고 있다. MD 704는 6차선 분할 고속도로로 북동쪽으로 향하며, 이 고속도로는 교차점에서 애디슨 도로를 교차한다. 애디슨 로드는 세인트로 통한다. 애디슨 채플로도 알려진 매튜 교회. 도시를 떠난 후, 주 고속도로는 캐빈 브랜치를 가로지르고 보안관 도로와 비스듬히 교차한다. MD 704는 고속도로가 캣테일 지점을 가로지르는 랜드오버를 통과하여 완전한 클로버리프 인터체인지에서 MD 202(Landover Road)를 만난다. 고속도로는 고속도로가 아르드윅 아르드모어 로드를 교차하고 95번 주간 고속도로(I-95)/I-495번 고속도로(Capital Beltway)를 무통행으로 가로지르는 글레나덴 시를 통해 이어진다. MD 704는 다시 아드윅 아르드모어 로드와 US 50(존 핸슨 하이웨이)의 5ramp 부분 클로버리프 인터체인지 사이의 4개 차선으로 내려간다. 인터체인지에는 볼티모어 방향으로 북행 I-95/I-495로 가는 직통 진입로가 포함된다. 서행 미국행 진입로는 리치먼드 방향으로 남행 I-95/I-495에 접근하는 데 사용된다. MD 704는 볼드 힐 지점을 가로질러 6차선 고속도로로서 북동쪽으로 계속 이어져 동쪽으로 나아가다가 란햄에 있는 MD 450(애나폴리스 로드)에서 동쪽 종착역에 도달한다.[1][2]
MD 704는 Lanham에 있는 US 50에서 MD 450까지의 주요 동맥으로서 National Highway System의 일부분이다.[1][3]
역사
MD 704는 워싱턴과 볼티모어 사이의 남북 노선과 오덴턴 해군사관학교 분기점에서 아나폴리스로 가는 지점이 포함된 도시 간 철도인 WB&A 철도의 버려진 길을 따른다. 1902년에 전기 철도의 건설이 시작되었고 1908년에 세 도시 사이에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WB&A는 1931년에 법정관리에 들어갔다가 1935년에 폐쇄되었다.[4] 메릴랜드 주 도로위원회는 1942년부터 1944년 사이에 버려진 철도권을 콜롬비아 특별구 노선에서 미국 50(현재의 MD 450)으로 2차선 고속도로로 전환했다.[5][6][7] WB&A는 통행권을 가로지르는 한 쌍의 목재 다리를 가지고 있었다. 당시 MD 389였고 지금은 애디슨 로드(Addison Road)가 철로를 가로지르는 시트플레전트(Seat Flement)의 채플로드 다리는 철거되었고, 그 교차로는 새 고속도로와의 교차로로 등록되었다.[6][7] 1944년, 전쟁 생산 위원회는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연방에 의해 자금을 지원받은 몇 안 되는 비전시 고속도로 프로젝트 중 하나로 버려진 철도를 가로지르는 MD 202의 다리를 교체하는 것을 승인했다.[6] 새로운 철근콘크리트 교량의 건설은 1944년 말에 시작되어 1946년에 완공되었다.[6][8] MD 202–에서 등급 구분 고속도로 간 접근MD 704 접점은 양방향 램프 한 쌍을 통해서였다.[9]
MD 704는 1951년까지 시트 플레전트의 은행가 겸 커뮤니티 리더인 조지 N. 팔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0][11] 존 핸슨 하이웨이는 1954년에서 1957년 사이에 보위 서쪽에 있는 US 301에서 MD 704까지 건설되었다.[12][13][14] MD 704는 건설의 일환으로 고속도로와 고속도로의 교체를 통해 분할된 고속도로로 확장되었다. 교차로에는 현재의 램프 세트 외에도, 서행 MD 704에서 동행 고속도로로, 서행 고속도로에서 서행 MD 704로 이어지는 루프 램프가 포함되었다.[14] 1958년까지 고속도로 남쪽 MD 704의 부분은 Temporary US 50으로 표시되었다. 이 임시 노선은 국회의사당 2번가에 있는 미국 50번가와 다시 연결하기 위해 새로 완공된 동 캐피톨 가와 독립 거리와 헌법 가를 따라 워싱턴으로 서쪽으로 확장되었다. US 50은 1962년까지 보위에서 블라덴스버그까지 국방 고속도로(현재의 MD 450)를 따라 남았고, 1962년 보위에서 워싱턴으로 새로 완공된 존 핸슨 고속도로를 따라 미국 고속도로가 배치되고 임시 US 50이 MD 704에서 제거될 때까지 도시 내의 블라덴스버그 도로와 메릴랜드 애비뉴에 남아 있었다.[15]
MD 704는 1962년 컬럼비아 지구 경계에서 시트 플레전트의 애디슨 로드까지 분할된 고속도로로 확장되었다.[15] US 50 인터체인지의 분할된 고속도로 구간은 1969년 글레나덴의 아르드윅 아르드모어 로드까지 서쪽으로 확장되었다.[16] MD 704와 MD 202의 현대적인 클로버리프 교류가 1971년에 완료되었으며, 같은 해 구 고속도로가 좌석 쾌적에서 후자 고속도로 바로 북쪽에 있는 분할된 고속도로로 확장되었다.[17] 분할된 고속도로는 1972년 아르드윅 아르드모어 로드에서 글레나덴 파크웨이까지 글레나덴을 거쳐 1973년 MD 202까지 남서쪽으로 확장되었다.[18][19] MD 704는 1987년에 민권 지도자 마틴 루터 킹 주니어로 개명되었다.[20] 미국 50대와의 고속도로 교환은 1991년 미국 50-캐피털 벨트웨이 교환을 즉시 서쪽 방향으로 정비하는 것과 함께 재건되었다. 서쪽 방향 MD 704가 있는 교환의 루프 램프 두 개가 제거되었다.[21] MD 704 분할 고속도로는 1997년 미국 50 인터체인지에서 포브스 대로, 1999년 로트스포드 비스타 로드로 동쪽으로 확장되었다.[22][23] MD 704와 MD 450은 2000년에 MD 704를 보다 직교 교차로의 동서축의 일부로 만들기 위해 분기점에 재배치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MD 704의 최종 구간과 MD 450의 인접 구간을 분할된 고속도로로 확장하는 과정의 일부였다.[24]
접속 목록
전 노선은 프린스 조지 카운티에 있다.
위치 | mi[1] | km | 목적지 | 메모들 | |
---|---|---|---|---|---|
시트 플레전트 | 0.00 | 0.00 | 남부 63번가 / 동부대로 - 워싱턴 | 컬럼비아 주의 경계; 서부 종착역 | |
랜드오버 | 3.02 | 4.86 | ![]() | 클로버리프 인터체인지 | |
란햄 | 5.16 | 8.30 | ![]() ![]() ![]() ![]() | US 50 8번 출구; US 50은 서명되지 않은 I-595와 동시에 실행됨 | |
6.53 | 10.51 | ![]() | 동부 종착역 | ||
1.000 mi = 1.609 km, 1,000 km = 0.621 mi |
보조 루트
MD 704A는 MD 450과의 접점에서 MD 704의 이전 정렬의 이름 없는 0.15마일(0.24km) 구간을 지정하는 것이었다. 지정은 2000년 MD 704와 MD 450이 이전하면서 배정됐다.[24] MD 704A 지정과 도로 자체는 2004년에 제거되었다. 비스타 가든 쇼핑 센터는 현재 고속도로의 일반 위치에 있다.[25]
참고 항목
참조
- ^ Jump up to: a b c d Highway Information Services Division (December 31, 2013). Highway Location Reference. Maryland State Highway Administration. Retrieved 2013-04-14.
- Prince George's County (PDF).
- ^ Google (2010-05-23). "Maryland Route 704" (Map). Google Maps. Google. Retrieved 2010-05-23.
- ^ National Highway System: Washington, DC-VA-MD (PDF) (Map).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October 1, 2012. Retrieved 2015-05-15.
- ^ Hilton, George Woodman; Due, John Fitzgerald (1960). The Electric Interurban Railways in America.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pp. 326–327. Retrieved 2013-04-14.
- ^ Whitman, Ezra B.; Webb, P. Watson; Thomas, W. Frank (March 15, 1943). Report of the State Roads Commission of Maryland (1941–1942 ed.). Baltimore: Maryland State Roads Commission. p. 95. Retrieved 2013-04-14.
- ^ Jump up to: a b c d Whitman, Ezra B.; Webb, P. Watson; Thomas, W. Frank (March 1, 1945). Report of the State Roads Commission of Maryland (1943–1944 ed.). Baltimore: Maryland State Roads Commission. pp. 4, 49, 96. Retrieved 2013-04-14.
- ^ Jump up to: a b Maryland State Roads Commission (1946). Maryland: Official Highway Map (Map) (1946–1947 ed.). Baltimore: Maryland State Roads Commission.
- ^ Reindollar, Robert M.; Webb, P. Watson; McCain, Russell H. (February 1, 1947). Report of the State Roads Commission of Maryland (1945–1946 ed.). Baltimore: Maryland State Roads Commission. p. 102. Retrieved 2013-04-14.
- ^ Lanham, MD quadrangle (Map) (1944 ed.). 1:31,860. 7 1/2 Minute Series (Topographic).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access-date=
필요로 하다url=
(도움말) - ^ Washington East, DC quadrangle (Map) (1951 ed.). 1:24,000. 7 1/2 Minute Series (Topographic).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access-date=
필요로 하다url=
(도움말) - ^ Staff. "Seat Pleasant History". City of Seat Pleasant, Maryland. Retrieved 2013-04-14.
- ^ Bonnell, Robert O.; Bennett, Edgar T.; McMullen, John J. (November 2, 1956). Report of the State Roads Commission of Maryland (1955–1956 ed.). Baltimore: Maryland State Roads Commission. p. 152. Retrieved 2013-04-14.
- ^ Maryland State Roads Commission (1957). Maryland: Official Highway Map (Map). Baltimore: Maryland State Roads Commission.
- ^ Jump up to: a b Lanham, MD quadrangle (Map) (1957 ed.). 1:24,000. 7 1/2 Minute Series (Topographic).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access-date=
필요로 하다url=
(도움말) - ^ Jump up to: a b Maryland State Roads Commission (1962). Maryland: Official Highway Map (Map). Baltimore: Maryland State Roads Commission.
- ^ Maryland State Roads Commission (1969). Maryland: Official Highway Map (Map). Baltimore: Maryland State Roads Commission.
- ^ Maryland State Roads Commission (1971). Maryland: Official Highway Map (Map). Baltimore: Maryland State Roads Commission.
- ^ Maryland State Highway Administration (1972). Maryland: Official Highway Map (Map). Baltimore: Maryland State Highway Administration.
- ^ Maryland State Highway Administration (1973). Maryland: Official Highway Map (Map). Baltimore: Maryland State Highway Administration.
- ^ Maryland State Highway Administration (1987). Maryland: Official Highway Map (Map). Baltimore: Maryland State Highway Administration.
- ^ Maryland State Highway Administration (1991). Maryland: Official Highway Map (Map). Baltimore: Maryland State Highway Administration.
- ^ Maryland State Highway Administration (1997). Maryland: Official Highway Map (Map). Baltimore: Maryland State Highway Administration.
- ^ Highway Information Services Division (December 31, 1999). Highway Location Reference. Maryland State Highway Administration. Retrieved 2013-04-14.
- Prince George's County (PDF).
- ^ Jump up to: a b Highway Information Services Division (December 31, 2000). Highway Location Reference. Maryland State Highway Administration. Retrieved 2013-04-14.
- Prince George's County (PDF).
- ^ Highway Information Services Division (December 31, 2004). Highway Location Reference. Maryland State Highway Administration. Retrieved 2013-04-14.
- Prince George's County (PDF).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메릴랜드로704번 국도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경로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