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사추세츠로3번길
Massachusetts Route 3도로3길 | ||||
---|---|---|---|---|
빨간색으로 강조된 3번 도로 | ||||
경로 정보 | ||||
MassDOT에서 유지 관리 | ||||
길이 | 55.7059 mi[1](89.6500km) | |||
존재했다 | 1926-현재 | |||
주요 접점 | ||||
남쪽 끝 | ![]() | |||
노스엔드 | ![]() ![]() | |||
위치 | ||||
카운티 | ||||
고속도로 시스템 | ||||
|
3번 국도는 미국 매사추세츠 주의 주 번호로 매사추세츠 교통부(MassDOT)가 정비하고 있다. 남북 축을 따라 약 56마일(90km)에 걸쳐 주(州)에 의해 단일 경로로 미국 3번 국도(US 3)와 함께 재고 조사된다. 주 번호의 3번 국도는 남쪽의 본에서 북쪽의 케임브리지까지 이동하며, US 3는 케임브리지에서 계속되어 팅스버러에 있는 뉴햄프셔 주 노선을 횡단한다. 미국 3번 국도에 있는 마일포스트들은 주 번호의 3번 국도에 있는 것들로부터 계속된다.
3번 국도는 본의 미국 6번 국도(미국 6번 국도)와의 분기점에서 남쪽의 통제된 접근 고속도로로 시작된다. 이 고속도로는 브린트리-퀸시 도시 노선에서 본에서 브린트리 스플릿까지 청교도 고속도로로 알려져 있는데, 3번 국도는 93번 주간고속도로(I-93)와 미국 1번 국도(미국 1번)와 만나며 3개 노선이 남동고속도로로서 보스턴을 동시에 향해 운행한다. I-93, US 1 및 3번 국도는 보스턴 시내의 중앙 동맥과 오닐 터널을 통과하며, 그 후 3번 국도는 동시성을 벗어나 지표 거리에서 계속된다. 보스턴-캠브리지 시티 노선의 롱펠로우 대교를 가로지르며, 캠브리지의 2A번 국도와 교차한 직후 미국 3번 국도로 전환된다.
경로 설명
매사추세츠 3번 국도는 청교도 고속도로, 93번 주간 고속도로와의 동시성, 보스턴 I-93 북쪽 구간 등 3개 구간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필그림스 하이웨이는 본의 미국 6번 교차로에서 브레인트리 93번 주간고속도로와의 교차로까지 뻗어 있는 3번 국도의 일부다. 이 노선은 출입을 완전히 통제하며 남쪽으로 4차선에서 북쪽으로 6차선까지 이어진다. 펨브로케와 웨이머스시 사이에서는 고속도로가 통상 4차로로 구성되지만 출퇴근 시간대에는 5차로로 확대된다. 이 시간 동안, 최고 방향의 고장 차선에서 여행이 허가된다. 그 노선의 이 부분은 약 43마일에 걸쳐 뻗어 있다.
3번 국도는 93번 주간고속도로와 미국 1번 국도가 동시에 운행되며 브라인트리 7번 출구에서 보스턴 26번 출구까지 이어진다. 이 구간을 따라 동남고속도로로 알려지며 8개 차선으로 구성된다. 러시아워를 벗어나면 4개 차선이 양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출퇴근 시간에는 최고 주행 방향에 탑승자가 많은 차량용 지퍼(HOV) 지퍼 레인이 추가돼 피크 방향은 5개 차선이, 다른 방향은 3개 차선이 흐른다. 매사추세츠 턴파이크와의 교류가 끝난 뒤 보스턴 시내의 팁 오닐 터널로 진입하기 직전 6차로로 줄어든다. 3번 국도의 남동 고속도로 구간은 약 10마일이다.
보스턴 시내에 있는 동안, 3번 국도는 I-93과 US-1과 동시통행이다. 3번 국도는 26번 출구에서 I-93번 출구로 나와 레베렛 서클을 지나 찰스 강을 따라 롱펠로우 다리까지 짧은 길로 달린다. 롱펠로브 다리에서 고속도로 지정은 보스턴 북부 교외와 뉴햄프셔 방향으로 이어지는 미국 3번 국도로 바뀐다.
역사
3번 국도는 1927년 미국 고속도로 시스템이 만들어지고 뉴잉글랜드 고속도로 3번 국도가 미국 6번 국도로 선정되면서 뉴잉글랜드 6번 국도의 새로운 명칭으로 시작되었다. 그 후 구 NE 6번 국도는 미국 1번 국도와 매사추세츠 3번 국도와 교차점에서 북쪽으로 지정된 미국 3번 국도를 남쪽으로 가져갔다. 이 노선은 기본적으로 1950년대까지 2차선 도로의 연결된 시스템이었으며, 3번 국도가 파크 드라이브, 리버웨이, 자메이카웨이에서 1번 국도와 짝을 이룬 후, 아보르웨이, 모튼 스트리트, 갈리반 대로를 따라 마타판과 도체스터의 길을 따라 나아가는 것을 제외했다.
도로가 다시 연결되기 전, 본 다리의 남쪽인 본 로터리까지는 케이프 코드 운하를 넘어 사가모어 다리를 지나 케이프 코드 운하를 넘어 도로가 계속되었다. 이 협정은 1951년 이후 바뀌었다.
3번 국도와 3A번 국도를 연결하는 왕복 2차선 고속도로인 플리못 플랜테이션 고속도로는 한때 고속도로 최남단 케이프코드가 완공되기 전까지 3번 국도로 서명된 바 있다.
필그림 고속도로의 첫 구간은 1950년대 초 플리머스의 우회도로로 건설되었다. 1950년대 중반에는 이 우회로가 사가모레 다리 남쪽으로, 킹스턴 북쪽으로 연장되었다. 고속도로의 북쪽 구간은 1959년 힝햄의 더비 스트리트에서 남동 고속도로 개통까지의 연결로 다음에 건설되었다. (이 도로의 포션들은 현재 MBTA 구식민선 통근철도와 MBTA 적선 브린트리 분기 고속철도가 사용하고 있는 구식민철도의 간선을 따라 운행한다.) 마침내 힝햄과 헉스베리 사이의 마지막 구간은 1963년 3번 국도 지정이 완성된 고속도로로 옮겨지면서 완공되었다. 이전의 3번 국도 고속도로는 퀸시의 3A번 국도가 되었고, 킹스턴 남쪽으로부터 나머지는 53번 국도가 되었다. 3번 국도는 갈리반 대로에서 화강암 가를 연결로 삼아 밀턴 남동고속도로와 연결됐다. 1965년경까지 현재의 힝햄 36번 출구(더비 스트리트)에서 북부 청교도 고속도로도 128번 국도로 서명되어 지표면 도로의 출구를 지나 헐까지 계속되었다. 그러나, 1966년까지 128개의 지명은 브라인트리(따라서 순례자 고속도로에서 온전히)의 3번 국도와의 교차점을 지나 없어졌고, 표면 부분은 메사추세츠 228번 국도가 되었다. 그리고 나서 3번 국도는 보스턴의 지표면 거리를 따라 남아있는 통로를 벗어나 1971년에 남동 고속도로와 중앙 동맥을 확장하여 스토로우 드라이브 출구까지 확장되었다. 3번 국도의 회선은 그 시간 이후로 거의 변하지 않았다.
2006년부터 2009년까지의 재계약 프로젝트는 20번 출구를 I-93 남쪽 20A 출구로 변경하고, I-93 북쪽 20B 출구로 변경하였다. 이 과정에서 3번 국도를 북쪽으로 I-93번 국도를 실은 경사로가 더 이상 3번 국도의 일부로 서명되지 않았다. 2011년 출구 표지판 지지대에 I-93을 따라 3번 국도의 경로를 나타내는 별도의 표지판이 설치될 예정이었다.[2]
미래
Milepost 기반 출구 번호 지정
3번 국도는 한때 "25 is 128" 시스템으로 출구에 번호가 매겨진 고속도로 중 하나였는데, 브린트리 스플릿은 (128번 국도의 출구로 인해) "25 are 128"번으로 번호를 매기고, 보스턴에서 멀어지고, 보스턴 쪽으로 숫자가 줄어들었다. 구식 체제 하에서 사가모레 로타리는 (종이로) "43번 퇴장했다. 1975-76년에 고속도로의 처음 22마일(35km)이 다시 표면화되었을 때, 그 구간에는 새로운 숫자가 도입되었다. 브라인트리 구간은 1978년에 다시 등장하지 않았으며, 고속도로의 절반은 새로운 시스템에 있고 나머지 절반은 구 시스템에 있을 때 2년간의 공백을 남겼다. 그 기간 동안 14번 국도로 나가는 출구는 북쪽으로 11번 출구, 남쪽으로 33번 출구였다. 3번 국도의 출구 번호는 2016년 매스닷 프로젝트에서 고속도로 이정표 기준으로 변경될 예정이었으나 이 프로젝트는 연기되었다. 2019년 11월 18일 매스닷은 늦은 여름 2020년부터 출구 번호 재지정 사업이 시작된다고 확인했다. 공사는 2020년 12월 7일 주간에 3번 국도를 따라 시작될 예정이었다. 이후 2021년 1월 현재 작업이 완료됐다.[3] 출구는 사가모레 교에서 3번 국도가 시작되는 시점부터 마일리지에 따라 번호가 매겨진다. 그것들은 아래 표에서 "새 출구"[4][5]로 참조된다.
잠재적 도로확대 프로젝트
매스닷은 2010년대 128번 국도의 14+마일 구간에서 발생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3번 국도를 I-93에서 사가모레 대교까지 4개 차선에서 6개 차선으로 확장(이미 플리머스 인근 15~16번 출구 미국 44개 도로 동시통행)하는 새로운 교량과 온·오프램프로 확장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새로운 가속 및 감속 차선으로 업그레이드된 상호 교환을 포함할 것이다. 이 프로젝트에는 2억 5천 5백만 달러가 들 것으로 예상된다.
종료 목록
3번 국도는 한때 "25 is 128" 시스템으로 출구에 번호가 매겨진 고속도로 중 하나였는데, 브린트리 스플릿은 (128번 국도의 출구로 인해) "25 are 128"번으로 번호를 매기고, 보스턴에서 멀어지고, 보스턴 쪽으로 숫자가 줄어들었다. 구식 체제 하에서 사가모레 로타리는 (종이로) "43번 퇴장했다. 1975-76년에 고속도로의 처음 22마일(35km)이 다시 표면화되었을 때, 그 구간에는 새로운 숫자가 도입되었다. 브라인트리 구간은 1978년에 다시 등장하지 않았으며, 고속도로의 절반은 새로운 시스템에 있고 나머지 절반은 구 시스템에 있을 때 2년간의 공백을 남겼다. 그 기간 동안 14번 국도로 나가는 출구는 북쪽으로 11번 출구, 남쪽으로 33번 출구였다. 3번 국도의 출구 번호는 2016년 매스닷 프로젝트에서 고속도로 이정표 기준으로 변경될 예정이었으나 이 프로젝트는 연기되었다. 2019년 11월 18일 매스닷은 늦은 여름 2020년부터 출구 번호 재지정 사업이 시작된다고 확인했다.[6][7]
출구 번호 변경은 2020년 12월 1일부터 14일 사이에 이루어졌다.[8]카운티 | 위치 | mi | km | 구출구 | 새 출구 | 목적지 | 메모들 |
---|---|---|---|---|---|---|---|
반스타블 | 본 | 0.0 | 0.0 | 43, 1B-C | 1A-55 | ![]() ![]() ![]() | 1A (US 6) 및 55 (Route 6A) 출구로 서명됨; 사가모레 다리를 통해 동쪽으로 계속 진행 |
0.3 | 0.48 | 43, 1A | 1B | ![]() | 옛 사가모레 로터리 유적 | ||
플리머스 | 플리머스 | 2.5 | 4.0 | 42, 2 | 3 | ![]() | 3A번 국도 남부 종착역 |
7.1 | 11.4 | 41, 3 | 7 | 클라크 로드 / 비버 댐 로드 – 파인 힐스 | |||
12.3 | 19.8 | 40, 4 | 12 | 플리못 플랜테이션 고속도로 동쪽 - 마노메트 | 남쪽 방향 좌측 출구 및 북쪽 방향 입구 | ||
12.7 | 20.4 | 39, 5 | 13 | ![]() | 벳이스라엘 권사 병원-플리머스 출입 | ||
14.5 | 23.3 | 38, 6 | 15 | ![]() | US 44와의 동시 접속의 남쪽 종단, 15A (동쪽) 및 15B (서쪽) 출구로 서명됨 | ||
15.6 | 25.1 | 7 | 16 | ![]() | 북방과 북방 44의 동시성 종말 | ||
킹스턴 | 16.9 | 27.2 | 36, 8 | 17 | Smith Lane – Rocky Nock | 독립 쇼핑몰로 가는 길 | |
17.8 | 28.6 | 35, 9 | 18 | ![]() | 경로로80,106,27번길 | ||
덱스베리 | 19.4 | 31.2 | 34, 10 | 20 | ![]() ![]() ![]() | ||
22.3 | 35.9 | 33, 11 | 22 | ![]() | |||
펨브로크 | 26.9 | 43.3 | 32, 12 | 27 | ![]() | ||
하노버 | 31.7 | 51.0 | 31, 13 | 32 | ![]() ![]() ![]() | 하노버 몰 드라이브로, 1963년 이전의 고속도로 남단 | |
록랜드 | 34.3 | 55.2 | 30, 14 | 35 | ![]() | 남부순환로228번길 | |
힝햄 | 36.1 | 58.1 | 29, 15 | 36 | 더비 스트리트 – 힝햄, 웨이머스 | 53번 국도 표지판이 2009년에 제거되었다. | |
노퍽 | 웨이머스 | 38.1 | 61.3 | 28, 16 | 38 | ![]() | 남쪽 방향 38A(북쪽) 및 38B(남쪽) 출구로 서명됨 |
브라인트리 | 40.5 | 65.2 | 27, 17 | 40 | 유니언 스트리트 – 브레인트리, 사우스 브레인트리 | ||
42.7 | 68.7 | 26, 18 | 41 | 워싱턴 스트리트 – 브레인트리 | 남쪽 방향 출구 및 북쪽 방향 입구 | ||
42.0– 42.4 | 67.6– 68.2 | 19 | 42 | ![]() | 남쪽 방향 42/41 출구로 서명됨 | ||
42.6 | 68.6 | 25, 20 | 43 | ![]() ![]() ![]() ![]() | I-93/미국 1번 국도와 동시통행의 남부 종착역; 구국도 128번 국도 | ||
I-93 출구 7-18 참조 | |||||||
서퍽 | 보스턴 | 53.5 | 86.1 | 26 | 18 | ![]() ![]() | I-93 / US 1과의 동시성 북쪽 종단; 고속도로 북쪽 끝 |
54.1 | 87.1 | ![]() | 28번 국도와 동시성의 남쪽 종단, 북쪽 방향과 남쪽 방향의 등급 교차로 교환 | ||||
54.4 | 87.5 | ![]() ![]() | 교환, 28번 국도와의 동시 접속의 북쪽 종착역 | ||||
54.6 | 87.9 | 케임브리지 스트리트 –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정부 센터 | At-grade 교차로 | ||||
찰스 강 | 롱펠로우 브리지 | ||||||
미들섹스 | 케임브리지 | 55.0 | 88.5 | 메인 스트리트 웨스트 – 켄달 스퀘어 | 부분 교환(남행 출구는 Wadsworth Street에서 좌회전을 통해) | ||
55.3 | 89.0 | 고속도로로 가는 랜드 대로 - 찰스타운 | 남쪽 방향 출구 및 북쪽 방향 입구 | ||||
55.6 | 89.5 | ![]() | 2A번 도로 진입로; 3번 국도는 등급 미만으로 계속됨 | ||||
55.7 | 89.6 | ![]() | 2A번 국도 서쪽 계속 | ||||
1.000 mi = 1.609 km, 1,000 km = 0.621 mi |
참조
- ^ a b 교통행정실, 교통계획실 - 2005 도로재고 2006-09-27 웨이백 머신에 보관.
- ^ 스티븐 팀민스가 보낸 개인 이메일, 미사 도로부 3번 국도대체사업기술자, 2011년 1월 20일
- ^ "Federally required statewide exit renumbering starting on Route 3 NB from Bourne to Braintree". MassDOT Blog. 3 December 2020. Retrieved 19 December 2020.
- ^ "Exit Signage Conversion to Milepost-Based Numbering System along Various Interstates, Routes and the Lowell Connector". Commonwealth of Massachusetts. Retrieved 2015-10-14.
- ^ [1]
- ^ MITBUYS, FAP# HSIP-002S(874)X Exit Signage Conversion to Milepost-Based Numbering System(각종 인터스테이트, 노선 및 Lowell Connector, 2015-10-14 액세스)
- ^ [2]의 최신 정보 요약, 2017-01-18에 액세스.
- ^ 매사추세츠 연방, 번호 변경 프로젝트 출구[3] - 2020년 11월 24일 접속
- Pilgers Highway (MA 3) Bostonroads.com
- 1952년 조개유 단면도 1호, 뉴잉글랜드 주
- 1960년 영국 남부의 AAA 지도
- 1966년 ESSO 뉴잉글랜드 지도
- 1971년 ESSO 남뉴잉글랜드 지도
- Bob Malme가 뉴스그룹 ne.transportation에 올린 "MA Roadtrip Observations"라는 제목의 글에 대한 응답은 2007년 6월 28일에 게시되었다.
외부 링크
경로 지도:
KML 파일(편집 • 도움말) |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매사추세츠 3번 국도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