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semi-protected

현실의 달인

Master of Reality
현실의 달인
스튜디오 앨범 by
방출된1971년 8월
녹음된1971년 2월 7~15일
1971년[1] 4월 6~13일
스튜디오아일랜드, 런던
장르.중금속
길이34:29
라벨.현기증
제작자로저 베인
흑안식일 연대표
편집증
(1970)
현실의 달인
(1971)
제4권
(1972)
Master of Reality싱글
  1. 성묘의 아이들
    릴리스: 1971년[2] 8월

Master of Reality》는 1971년 8월에 발매된 영국의 헤비 메탈 밴드 블랙 사바스의 세 번째 스튜디오 음반입니다.[3] 일부 비평가들은 둠 메탈, 석재암, 슬러지 메탈의 기초로 간주합니다.[4] 밴드의 이전 두 앨범을 프로듀싱한 로저 베인이 프로듀싱한 Master of Reality는 1971년 2월부터 4월까지 런던의 아일랜드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습니다. 기타리스트 토니 이옴미와 베이시스트 지저 버틀러는 이옴미가 "더 크고 무거운 소리"라고 부르는 것을 달성하는 동안 그들의 악기를 다운시켰다.[5]

Master of Reality영국 앨범 차트에서 5위, 미국 빌보드 200에서 8위로 정점을 찍었습니다.[citation needed] 비록 발매 당시 비평가들에게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이 앨범은 현재 역사상 가장 위대한 헤비 메탈 앨범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20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린 후 더블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습니다.[6]

녹음

Master of Reality는 1971년 2월부터 4월까지 런던의 아일랜드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습니다. 이 음반은 이전의 블랙 사바스의 두 음반을 프로듀싱한 로저 베인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톰 알롬엔지니어링을 담당했습니다.[7] 이것은 기타리스트 토니 이옴미가 밴드의 다음 여러 앨범의 제작 책임을 맡으면서 베인이 블랙 사바스와 마지막으로 협업하게 된 것입니다. 드러머 빌 워드(Bill Ward)는 "이전에는 스튜디오에서 무엇을 해야 할지 전혀 알지 못했고, Rodger(로저)에게 크게 의존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우리는 훨씬 더 많은 것을 함께 했고, 관련된 것을 이해하고 일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더 많은 의견을 나눴습니다."[7]

"Children of the Grave", "Lord of This World", "Into the Void"의 수록곡에서, 나는 그의 기타 1을 튜닝했습니다. 1 2는 현의 긴장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기타를 연주하는 데 덜 고통스럽게 만듭니다. 이 고통은 몇 년 전에 그가 손가락 두 개의 끝을 절단한 공장 사고의 결과였습니다.[8] 다운튜닝은 또한 기타리스트가 "더 크고 무거운 소리"를 내는 것을 도왔습니다.[5]Geezer Butler도 Iommi에 맞추어 베이스 기타를 다운튜닝했습니다. 버틀러는 1994년 기타 프레이싱 뮤지션에게 "소리에도 도움이 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리고 나서 우리는 보컬적으로 더 쉽게 하기 위해 더 낮게 튜닝하는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하지만 오지(오스본)는 더 높은 곳에서 노래를 불렀고 그래서 그 물체를 물리쳤습니다." 밴드 블랙 사바스의 2013년 전기에서 믹 월은 "사바스 소리가 더 큰 어둠 속으로 뛰어들었습니다. 어떤 사막의 매장지에서 캐낸 오래된 뼈처럼 메마른 소리를 남기고, 심지어 반향조차 없는, 완성된 음악의 야만적인 힘은 비평가들을 경악하게 만들 것이고, 그들은 노골적으로 거칠고, 의도적으로 무관심하고, 섬뜩하고, 불쾌하다는 이유로 인쇄된 안식일을 처벌할 것입니다. 20년 후 스매싱 펌킨스, 사운드가든 그리고 특히 너바나 같은 그룹들은 같은 무거운 폐음을 발굴할 것입니다. 그리고 중요한 화관으로 보상받으세요." 보컬리스트 오스본은 그의 자서전 'I Am Ozzy'에서 "토니가 연주하기 쉽도록 기타를 쳤고, 지저는 우리가 피웠던 모든 마약에 대해 'Sweet Leaf'를 썼고, 'Children of the Grave'는 우리가 녹음한 노래 중 가장 발차기 좋은 노래였다"고 말했습니다.

1998년 라이브 앨범 Reunion의 라이너 노트에서 드러머 워드는 Master of Reality가 "탐색적인 앨범"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워드는 메탈 해머 잡지와의 2016년 인터뷰에서 "첫 번째 앨범에서 우리는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이틀이 있었고, 편집증을 위해서는 더 이상의 시간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이제 우리는 천천히 다른 것들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우리 모두는 이 기회를 받아들였습니다. 토니는 클래식 기타 파트를 맡았고, 지저의 베이스는 사실상 두 배의 파워를 발휘했습니다. 저는 더 큰 베이스 드럼을 치러 갔고, 오버더브도 실험했습니다. 그리고 오지는 훨씬 더 좋았어요. 하지만 공연이 예약되지 않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고, 앨범을 랜드마크로 만드는 데만 집중할 수 있었습니다."[7] 2013년, 모조 잡지는 Master of Reality를 "그들의 스튜디오 환경에서 점점 더 편안해지는 밴드의 소리"라고 불렀습니다. 그러나 1992년 기타 월드와의 인터뷰에서 "마스터 오브 리얼리티 동안 우리는 더 많은 실험을 하기 시작했고 녹음에 너무 많은 시간을 들이기 시작했습니다. 궁극적으로, 그것이 우리를 정말 혼란스럽게 했다고 생각합니다. 가끔은 처음 두 앨범을 녹음했던 방식으로 다시 돌아가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요. 저는 항상 리허설이나 소리를 듣는 데 많은 시간을 들이지 않고 스튜디오에 들어가서 연주하는 것을 더 좋아했습니다." "Into the Void"라는 노래는 특히 문제가 많았는데, Iommi는 같은 인터뷰에서 "우리는 빌이 그것을 맞추지 못했기 때문에 'Into the Void'를 몇 개의 다른 스튜디오에서 녹음하려고 했습니다. 그럴 때마다 그는 자신이 노래를 연주할 능력이 없다고 믿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이렇게 말하곤 했습니다. '대단히! 난 이런 짓 안 할 거야!' 앨범마다 그런 곡이 있었는데 'Into the Void'가 'Master of Reality'에서 가장 어려웠습니다. 그의 자서전 아이언맨: 검은 안식일로 천국과 지옥을 통과한 나의 여행에서, 이옴미는 오스본이 보컬을 녹음하는 데 있어서 겪었던 어려움을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이 정도 느린 부분이 있지만, 그러면 오스본이 들어오는 리프는 매우 빠릅니다. 오스본은 정말 빠르게 노래해야 했습니다. "로켓 엔진은 연료를 너무 빨리 태워서 밤하늘까지 날려갑니다." 그런 빠른 말들입니다. Geezer는 그를 위해 모든 말을 썼습니다... 그가 노력하는 것을 보는 것은 매우 재미있었습니다." "Solitude"라는 곡은 기타, 플루트, 피아노를 연주하는 기타리스트 Iommi의 멀티 악기 재능을 보여줍니다.[9] 나중에 보컬 트랙을 두 배로 늘리는 수단으로 오스본의 보컬에 지연 효과가 추가되었습니다.

구성.

이 음반의 녹음 시간 동안 오스본은 이옴미에게 큰 관절을 가져다 주었는데, 이로 인해 기타리스트는 걷잡을 수 없이 기침을 하게 되었습니다.[8] 당시 이옴미는 통기타 부품을 녹음하고 있었고, 기침 핏이 테이프에 잡혔습니다. 프로듀서 베인은 나중에 Iommi의 기침의 일부를 마리화나 사용에 대한 노래인 "Sweet Leaf"의 도입부로 추가했습니다.[8] 이옴미는 "우리 모두 돌팔매질하면서 '달콤한 잎사귀'를 연주했다"고 회상했습니다.[8] 2001년 기타 월드와의 인터뷰에서 버틀러는 "스튜디오에서 "Sweet Leaf"를 썼던 것을 기억합니다. 는 더블린에서 막 돌아왔는데, 그들은 스위트 에이프턴이라는 담배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 담배는 아일랜드에서만 살 수 있었습니다. 우리는 "우리가 무엇에 대해 쓸 수 있을까요?"라고 말하려 했습니다. 저는 이 담배봉지를 꺼냈고, 당신이 그것을 열었을 때, 뚜껑에 씌워졌습니다: "맛을 주는 가장 달콤한 잎이에요." 저는 "아, 달콤한 잎사귀!"라고 말했습니다. 필 알렉산더(Phil Alexander)는 2013년 모조(Mojo)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이 노래는 본질적인 돌멩이 노래이며, 이는 안식년 초기 올림픽 선수들이 하시시를 소비한 것에 의해 입증된 것입니다." 검은 안식일 콘서트 영화 최후의 만찬에서 워드는 "음악을 향상시켰나요?"라고 반추합니다. 우리는 '달콤한 잎사귀'라고 썼습니다. '내가 당신을 처음 만났을 때 / 몰랐어요.' 그건 마리화나를 만나고 마리화나와 관계를 맺는 것입니다. 그것이 그 당시 우리의 생활 방식의 일부였습니다."[citation needed]

밴드의 주요 작사가인 버틀러는 가톨릭 가정에서 자랐고,[8] "After Forever"라는 노래는 전적으로 기독교 주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당시 검은 안식일은 어두운 소리와 이미지, 가사 때문에 일부 관찰자들에 의해 사탄주의자로 의심되었습니다.[8] "After Forever"는 1971년 "Fairies Wear Boots"와 함께 싱글로 발매되었습니다.[10]

아트워크

재출시된 비엠보 커버

Master of Reality의 첫 번째 판은 밴드의 포스터가 들어있는 '봉투 소매'로 나왔고 앨범의 제목이 검은색 레터링으로 양각되어 부조로 보입니다. 양각 인쇄가 없는 이후의 판들은 앨범 제목을 회색으로 렌더링할 것입니다. 이것은 소매 뒤쪽에 가사가 재현된 최초의 흑인 안식일 소매였습니다. 그의 자서전에서 Iommi는 커버를 "스파인 탭 이전의 약간의 스파인 탭"이라고 묘사했습니다. 앨범의 라벨 또한 달랐는데, A면에는 악명 높은 스월 레이블이 등장했기 때문입니다. 비록 검은색 원과 흰색 원이 검은색이었지만 말입니다. 안내 라벨이었던 B면은 검은색 글씨로 흰색이 아닌 흰색 글씨로 검은색이었습니다. 그 버전의 현기증 라벨은 그 이후로 다시는 사용되지 않을 것입니다.

이 앨범의 첫 번째 북미 판에는 여러 곡이 세그먼트에 자막이 주어져 있어 실제보다 더 많은 곡이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After Forever》의 도입부는 "The Elegy", "Children of the Grave"의 코다는 "The Haunting", "Lord of This World"의 도입부는 "Step Up", "Into the Void"의 도입부는 "Deathmask"라는 제목이 붙었습니다. 이 치료법은 블랙 사바스의 이전 두 앨범의 북미판에도 사용되었습니다. 이런 압박들은 앨범 제목을 Master of Reality로 잘못 기재하기도 했습니다.[11] 이후의 판들은 앨범의 제목을 수정하고 4개의 자막 중 3개를 삭제했습니다("The Elegy" 제외).

다큐멘터리

2022년 5월, Master of Reality와 그 유산을 기록하기까지 무허가 다큐멘터리가 공개되었습니다.[12][13]

수신 및 유산

회고적 전문가 리뷰
리뷰점수
원천순위
올뮤직[14]
크리스트가우의 기록 안내서C−[15]
뮤직하운드 록4.5/5[16]
Q[17]
The Rolling Stone Album Guide (1992)[18]
롤링스톤 앨범 가이드 (2004)[19]
스푸트니크 음악4/5[20]
자르지 않음9/10[21]

Master of Reality영국 음반 차트에서 5위로 정점을 찍었고,[22][23] 미국에서는 8위로 선주문만으로 골드 지위를 달성했습니다.[citation needed] 결국 미국에서 200만 장이 팔렸습니다.[24] 이 음반의 상업적인 성공에도 불구하고, 현대 음악 비평가들은 이 음반을 경멸했습니다. 빌리지 보이스(The Village Voice)에서 로버트 크리스트가우(Robert Christgau)는 그것을 "어두운, 도덕적 착취"라고 불렀습니다.[25] 롤링 스톤 잡지의 레스터 뱅스(Lester Bangs)는 비록 가사가 "애국적 편집증의 어두운 음해에 대한 일부 답"을 제공하기 때문에 더 잘 드러나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그것을 "단조적"이라고 묘사했고 전작에 비해 거의 개선되지 않았습니다.[26]

1994년, Master of Reality콜린 라킨50대 헤비 메탈 앨범에서 28위에 올랐습니다. 라킨은 그것을 안식일의 "최초의 진정한 국제적인 돌파구"이자 "놀라운 작품"이라고 묘사했습니다.[27] 뮤직 하운드 록에서: 에센셜 앨범 가이드(1999), 작가 게리 그래프와 대니얼 더콜즈는 이 앨범을 "찬란한 해골 분쇄기"라고 묘사하며, "Children of the Grave"와 "Sweet Leaf"를 "타임리스"라고 불렀습니다.[16] 2001년, Q는 이 앨범을 역대 가장 무거운 앨범 50개 목록에 포함시켰고, 이 앨범을 "남성적인..."이라고 불렀습니다. 아마겟돈 전야에 블랙 사바스를 타이타닉 스타일의 하우스 밴드로 캐스팅하고 폭탄이 떨어지자 크랭크인합니다."[28] 이 잡지의 한 평론가는 이 음반을 "이 밴드의 첫 세 장의 음반 중 가장 응집력 있는 음반"으로 꼽았습니다.[17] 2003년 롤링 스톤역사상 가장 위대한 앨범 500개 목록에 298개,[29] 2012년 개정 목록에 300개,[30] 2020년 개정 목록에 234개의 앨범을 선정했습니다.[31] 그들은 이 앨범이 "그들 모두의 전성기 중 가장 위대한 슬러지-금속 밴드"를 대표한다고 설명했습니다.[32] 같은 잡지는 또한 이 음반을 "역대 가장 위대한 금속 음반 100장"에서 34위에 올렸습니다.[33] The Smashing Pumpkins의 리더인 Billy CorganMaster of Reality를 "그런지를 뿌렸다"는 앨범으로 여겼습니다. 검은 안식일과 특히 현실의 달인은 영국과 미국에서 1990년대 돌멩이 록/사막장면의 큰 영향을 미쳤으며, Kyuss, Monster Magnet, Sleep, 그리고 Orange Goblin과 같은 밴드들은 그 장르의 결정적인 앨범으로 안식일과 현실의 달인을 꼽았습니다.[34] Helmet and Tomahawk의 드러머인 John Stanier는 그가 음악가가 되도록 영감을 준 음반으로 인용했습니다.[35] 2013년, 사바스 전기 작가 믹 월은 Iommi의 "대부분의 밴드들이 앨범 전체에 대해 생각하는 것보다 더 깔끔한 리프와 갑작스러운 예상치 못한 시간 변화를 한 곡에 통합할 수 있는 능력"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2017년, 워드는 그가 작업한 블랙 사바스 앨범 중 가장 좋아하는 앨범으로 Master of Reality를 선정했습니다.[36]

트랙리스트

오리지널 UK LP 프레스

블랙 사바스(토니 이옴미, 지저 버틀러, 오지 오스본, 빌 워드)가 작곡한 모든 음악은 이옴미의 "After Forever", "Embryo", "Orchid"를 제외하고.

A면, 표준판
No.제목길이
1."달콤한 잎사귀"5:05
2."After Forever"5:27
3.엠브리요 (Instrumental)0:28
4.성묘의 아이들5:18
총 길이:16:18
B면
No.제목길이
5."Orchid" (Instrumental)1:31
6."이 세상의 군주"5:27
7.솔리튜드5:02
8."Into the Void"6:13
총 길이:18:13 34:29

원본 USLP 누름

A면
No.제목길이
1."달콤한 잎사귀"5:02
2."After Forever (The Elegy 포함)"5:25
3.엠브리요0:29
4.《성묘의 아이들》4:30
5.잊혀지지 않는 자0:45
총 길이:16:11
B면
No.제목길이
6."오키드"1:30
7."스텝 업"0:30
8."이 세상의 군주"4:55
9.솔리튜드5:02
10.데스마스크3:08
11."Into the Void"3:08
총 길이:18:13 34:30

"Deathmask/Into the Void"의 전체적인 타이밍은 정확하지만, 3:08 마크가 "Into the Void"의 중간 8 보컬 섹션("태양으로 보낸 자유의 전사들...")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곡의 두 부분 사이의 시간 배분은 임의적일 수 있습니다. 아래에 표시된 수정된 미국 프레스 타이밍은 이러한 오류를 복합적으로 나타냅니다.

자막이 제거된 수정된 USLP 누르기

No.제목길이
1."달콤한 잎사귀"5:02
2."After Forever (The Elegy 포함)"5:25
3.엠브리요0:30
4.《성묘의 아이들》5:15
총 길이:16:12
B면
No.제목길이
5."오키드"2:00
6."이 세상의 군주"4:55
7.솔리튜드8:08
8."Into the Void"3:08
총 길이:18:11 34:29

미국의 수정된 출판물에 대한 "Orchid"의 타이밍이 부정확하다는 것에 주목하십시오: "Step Up"의 "Step Up" 소개 부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압박에 대한 "Solitude"의 타이밍 또한 부정확한데, 이는 "Into the Void"의 전반부를 포함하기 때문인 반면, "Deathmask"와 "Into the Void"의 타이밍은 미국의 원래 압박에 의한 것과 비교되어야 합니다.

Master of Reality의 미국산 컴팩트 디스크는 CD 소책자에 수정된 US LP가 눌리는 잘못된 타이밍을 계속 나열하고 있습니다.[37] 그러나 곡들은 이러한 타이밍을 사용하여 CD에 인덱싱되지 않습니다. 곡들 사이의 공백은 올바르게 배치됩니다.

2009년 디럭스 에디션

2009년 6월 29일에는 영국에서, 2009년 7월 14일에는 미국에서 두 디스크 디럭스 에디션이 발매되었습니다. 이 디럭스 에디션은 블랙 사바스편집증의 디럭스 에디션을 했던 앤디 피어스에 의해 리마스터되었습니다.

디스크 원
No.제목길이
1."달콤한 잎사귀"5:05
2."After Forever"5:27
3.엠브리요0:28
4.《성묘의 아이들》5:18
5."오키드"1:31
6."이 세상의 군주"5:27
7.솔리튜드5:02
8."Into the Void"6:13
총 길이:34:29
디스크 2(보너스 트랙)
No.제목길이
1.위빌 우먼 '71'3:00
2."Sweet Leaf" (대체 가사가 특징인 스튜디오 아웃테이크)5:04
3."After Forever" (스튜디오 아웃테이크 – 인스트루멘탈)5:20
4."Childs of the Grave" (대체 가사가 특징인 스튜디오 아웃테이크)4:36
5."성묘의 아이들" (스튜디오 아웃테이크 – 인스트루멘탈)6:01
6."Orchid" (스튜디오 아웃테이크 – 토니 카운트인 포함)1:41
7."Lord of This World" (피아노 & 슬라이드 기타가 특징인 스튜디오 아웃테이크)5:38
8."Solitude" (스튜디오 아웃테이크 – 대체 기타 튜닝이 있는 인트로)3:35
9."스페인 시드 ('Into The Void'의 초기 버전) (스튜디오 아웃테이크 – 얼터너티브 버전)6:24
총 길이:41:29

인사

차트

인증서

지역 인증 인증단위/판매
캐나다 (음악 캐나다)[55] 플래티넘 100,000^
영국 (BPI)[56] 골드 100,000
미국(RIAA)[57] 2X 플래티넘 2,000,000^

^ 배송은 인증만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인증만 기준으로 한 매출+스트리밍 수치입니다.

출고이력

지역 날짜. 라벨. 형식 카탈로그
영국 1971년 8월 현기증 LP 6360 050
1992 CD CA198
미국 1971년 8월 워너브라더스. LP BS-2562
1987년 5월 12일 CD 2562-2
영국 리마스터 2009년3월29일 성역 더블 CD 2701108

참고문헌

  1. ^ Popoff, Martin (2020). Sabotage (2nd ed.). Wymer Publishing. p. 123. ISBN 978-1-912782-31-4.
  2. ^ "Children of the Grave singl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July 2021. Retrieved 13 July 2021.
  3. ^ "Great Rock discography". p. 68.
  4. ^ Taylor 2006, pg. 199, "어떤 이들은 Master of Reality가 최초의 스톤 메탈 앨범이라고 말합니다. 이 앨범은 전체적으로 메이 블리츠, 그랜드 펑크 레일로드, 리프 하운드의 허무한 1960년대 후반의 헤비 싸이크입니다."
  5. ^ a b VH1: 헤비 더 스토리 오브 메탈, 파트 1.
  6. ^ Schaffner, Lauryn. "Black Sabbath's 'Master of Reality': 8 Facts Only Superfans Would Know". Loudwi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February 2022. Retrieved 14 February 2022.
  7. ^ a b c Dome, Malcolm (27 October 2016). "The story behind Black Sabbath's Master Of Reality". loudersound.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August 2018. Retrieved 22 August 2018.
  8. ^ a b c d e f Iommi, Tony (2011). Iron Man: My Journey Through Heaven and Hell with Black Sabbath. Da Capo Press. ISBN 978-0-30681-9551.
  9. ^ "Black Sabbath onl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March 2009. Retrieved 15 March 2009.
  10. ^ "BLACK SABBATH DISCOGRAPHY v.5.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January 2009. Retrieved 14 March 2009.
  11. ^ "Side 2, original North American pressing". Warner Bros. Records. 197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June 2017. Retrieved 17 June 2017. {{cite web}}: 확인. url= 가치 (도움말)
  12. ^ "Black Sabbath Master of Reality the Documenta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June 2022. Retrieved 12 May 2022.
  13. ^ "Black Sabbath - Master of Reality Documentary (2022) - IMDb". IMDb.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May 2022. Retrieved 12 May 2022.
  14. ^ Huey, Steve. "Review Master of Reality". AllMusi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August 2019. Retrieved 17 December 2019.
  15. ^ Christgau, Robert (1981). "Black Sabbath: Master of Reality". Christgau's Record Guide: Rock Albums of the Seventies. Ticknor & Fields. ISBN 0-89919-025-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March 2019. Retrieved 22 June 2019.
  16. ^ a b Graff, Gary; Durchholz, Daniel (1999). MusicHound Rock: The Essential Album Guide. Visible Ink Press. p. 115. ISBN 978-1-57859-061-2.
  17. ^ a b "Review: Master of Reality". Q. London: 122. January 2001.
  18. ^ DeCurtis, Anthony; Henke, James; George-Warren, Holly, eds. (1992). The Rolling Stone Album Guide (3rd ed.). Random House. pp. 62–63. ISBN 0-679-73729-4.
  19. ^ Cross, Charles R. (2004). "Black Sabbath". In Brackett, Nathan; Hoard, Christian (eds.).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4th ed.). Simon & Schuster. pp. 78. ISBN 0-7432-0169-8.
  20. ^ Mikesn (13 November 2006). "Black Sabbath Master of Reality". Sputnikmusic. Retrieved 11 October 2019.
  21. ^ Pinnock, Tom (September 2015). "Black Sabbath". Uncut. p. 90.
  22. ^ "UK chart history – Black Sabbath Master of Reality". Official Charts Compan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April 2015. Retrieved 11 October 2011.
  23. ^ "Allmusic Billboard albums". AllMusi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May 2011. Retrieved 28 January 2009.
  24. ^ Pesselnick, Jill (18 August 2001). "J Amasses Certifications". Billboard. p. 4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October 2021. Retrieved 25 June 2014.
  25. ^ Christgau, Robert (12 December 1971). "Consumer Guide (21)". The Village Voice. New Yo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y 2013. Retrieved 22 October 2012.
  26. ^ Bangs, Lester (25 November 1971). "Review Master of Reality". Rolling Stone. Wenner Med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uly 2012. Retrieved 3 March 2011.
  27. ^ Larkin, Colin (1994). Guinness Book of Top 1000 Albums (1 ed.). Gullane Children's Books. p. 188. ISBN 978-0-85112-786-6.
  28. ^ "50 Heaviest Albums of All Time". Q. London: 86. July 2001.
  29. ^ "The RS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Rolling Stone. Wenner Media. 18 November 20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anuary 2007. Retrieved 1 September 2009.
  30. ^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Rolling Stone's definitive list of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Rolling Stone.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March 2019. Retrieved 9 September 2019.
  31. ^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Rolling Stone. 202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February 2021. Retrieved 6 February 2021.
  32. ^ Levy, Joe, ed. (2005). Rolling Stone's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first ed.). Wenner Books. p. 180. ISBN 978-1-932958-61-4.
  33. ^ Grow, Kory (21 June 2017). "100 Greatest Metal Albums of All Time". Rolling Stone. Wenner Media LL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August 2017. Retrieved 21 June 2017.
  34. ^ "Billy Corgan of Smashing Pumpkins talks about the records that changed his life". starla.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July 2015. Retrieved 20 January 2014.
  35. ^ 빌보드, Vol. 105, Number 21, 1993년 5월 22일 80페이지
  36. ^ Shteamer, Hank. "Black Sabbath's Bill Ward: My 10 Favorite Metal Albums". Rolling Stone. Retrieved 23 June 2023.
  37. ^ Master of Reality 앨범 책자
  38. ^ Kent, David (1993).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illustrated ed.). St Ives, N.S.W.: Australian Chart Book. p. 19. ISBN 0-646-11917-6.
  39. ^ "최상위 RPM 앨범: 4307호", RPM. 도서관기록 보관소 캐나다. 2023년 10월 30일 회수.
  40. ^ "Dutchcharts.nl 검은 안식일 – 현실의 달인" (네덜란드어). 헝 메디엔. 2023년 10월 30일 회수.
  41. ^ Pennanen, Timo (2006). Sisältää hitin – levyt ja esittäjät Suomen musiikkilistoilla vuodesta 1972 (in Finnish) (1st ed.). Helsinki: Kustannusosakeyhtiö Otava. ISBN 978-951-1-21053-5.
  42. ^ "Offiziellecharts.de 검은 안식일 – 현실의 달인" (독일어). GfK 연예 차트. 2023년 10월 30일 회수.
  43. ^ "Classifiche". Musica e Dischi (in Ital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March 2023. Retrieved 27 May 2022. 앨범에 'Tipo'를 설정해주세요. 그런 다음 "Artista" 필드에서 "검은 안식일"을 검색합니다.
  44. ^ "Norwegiancharts.com 검은 안식일 – 현실의 달인" 헝 메디엔. 2023년 10월 30일 회수.
  45. ^ '오피셜 앨범 차트100'. 오피셜 차트 컴퍼니. 2023년 10월 30일 회수.
  46. ^ "흑인 안식일 차트 역사 (빌보드 200)" 빌보드. 2023년 10월 30일 회수.
  47. ^ "오피셜 스코티시 앨범 차트100" 오피셜 차트 컴퍼니. 2023년 10월 30일 회수.
  48. ^ '오피셜 앨범 차트100'. 오피셜 차트 컴퍼니. 2023년 10월 30일 회수.
  49. ^ "공식 독립 앨범 차트50" 오피셜 차트 컴퍼니. 2023년 10월 30일 회수.
  50. ^ "오피셜 록 & 메탈 앨범 차트40" 오피셜 차트 컴퍼니. 2023년 10월 30일 회수.
  51. ^ "흑인 안식일 차트 역사(최상위 카탈로그 앨범)". 빌보드. 2023년 10월 30일 회수.
  52. ^ "Jaaroverzichten – Album 1971" (in Dutch). Hung Medie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November 2022. Retrieved 26 July 2023.
  53. ^ "Top 100 Album-Jahrescharts" (in German). GfK Entertainment Charts. 197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April 2022. Retrieved 2 April 2022.
  54. ^ "Billboard 200 Albums - Year-End". Billboar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October 2021. Retrieved 26 July 2023.
  55. ^ "Canadian album certifications – Black Sabbath – Master of Reality". Music Canada.
  56. ^ "British album certifications – Black Sabbath – Master of Reality". British Phonographic Industry.
  57. ^ "American album certifications – Black Sabbath – Master of Reality".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서지학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