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hOverflow

MathOverflow

MathOverflow수학자들온라인 커뮤니티 역할을 하는 수학 질의응답(Q&A) 웹사이트다.사용자들이 자신의 활동에 대한 점수를 얻으면서 질문, 답변 제출, 평가 모두 할 수 있다.[1]스택 Exchange 네트워크의 일부분이다.null

주로 수학 연구에 대한 질문(예: 미해결 문제 및 수학 지식을 아직 알려지지 않은 영역으로 확장하는 것)을 위한 것이며, 비수학자들의 강의(예: 숙제 연습) 요청을 환영하지 않는다.그것은 출판, 심판, 조언, 종신 재직권 취득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수학자들 사이에서 논의될 수 있는 다른 주제에 대한 다양한 질문을 환영한다.그것은 일반적으로 가식적이거나 논쟁적인 것으로 인식되는 질문에는 적합하지 않다.[citation needed]null

기원 및 역사

이 웹사이트는 2009년 9월 28일 버클리 대학원생과 포스트닥인 안톤 게라스첸코, 데이비드 주릭 브라운, 스콧 모리슨에 의해 시작되었다.[2]주최 측은 라비 바킬이 후원했다.[3]이 사이트는 원래 StackExchange 1.0 소프트웨어 엔진의 별도 설치로 운영되었으며, 2013년 6월 25일 SE 2.0을 실행하는 일반 Stack Exchange Network에 통합되었다.[4]null

이름 지정

MathOverflow FAQ에 따르면 적절한 철자는 "Math Overflow"가 아니라 "MathOverflow"이다.null

수식 사용

웹사이트의 원본은 수학 공식에 대한 LaTeX 마크업을 지원하지 않았다.LaTeX의 대부분의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수학 방정식을 적절한 형태로 변환하기 위해 사이트에 MathJax를 추가했다.현재 상태에서, "Math Mode"($s 사이의 텍스트)를 포함한 어떤 게시물도 적절한 수학 표기법으로 번역될 것이다.null

사용법

2012년 4월 4일 현재, MathOverflow에 등록된 사용자는 16,496명이며,[5] 대부분이 미국(35%), 인도(12%), 영국(6%)에 위치한다.2018년 12월 11일까지 등록 이용자 수는 87,850명으로 늘어났다.[6]2019년 6월 현재 12만3448개의 질문이 올라왔다.[7]null

2011년에는 게시된 지 평균 3.9시간 만에 질문에 대한 답변이 나왔고, '허용' 답변은 평균 5.01시간이 걸렸다.[8]null

리셉션

  • 테렌스 타오는 그것을 "명예로운 뉴스 그룹 sci.math, 그러나 좀 더 현대적인 ' 2.0' 특징과 함께"[9]에 비유했다.
  • John C. Baez는 "website 'Math Overflow'가 수학 문제의 보편적인 정보 센터가 되었다"[10]고 쓰고 있다.
  • 길 칼라이에 따르면, 매트릭오버플로우는 "매우 (매우) 매우 활기차고 인상적인 젊은이들의 그룹에 의해 운영된다"[11]고 한다.
  • Jordan Ellenberg는 웹사이트가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새로운 질문들의 배열"을 제공하고, "특히 순수한 형태"로 그것을 폴리매틱스 프로젝트에 비교하면서 "독성적"이라고 평한다.[12]
  • 더 애틀랜틱의 제러드 켈러는 "Math Overflow는 사용자들이 제기하는 문제를 생산적으로 해결하는 데만 초점을 맞춘 거의 반사회적 네트워크"라고 쓰고 있다.그는 스콧 모리슨의 말을 인용, "마테마시안 전체는 현대 인터넷의 많은 측면에 대해 놀라울 정도로 회의적이다...특히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것들은 엄청난 시간 낭비라고 본다."[2]

참고 항목

메모들

  1. ^ Lin, Thomas (January 16, 2012). "Cracking Open the Scientific Process". The New York Times.
  2. ^ a b Jared Keller (28 September 2010). "Beyond Facebook: How the World's Mathematicians Organize Online". The Atlantic.
  3. ^ Krieger, Lisa M. (August 8, 2010). "Stanford and UC Berkeley create massively collaborative math". The Mercury News.
  4. ^ Christian Perfect (25 June 2013). "Math Overflow 2.0". The Aperiodical.
  5. ^ 공식 웹사이트
  6. ^ "Sharenator MO Statistic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9-09.
  7. ^ "Newest Questions". MathOverflow. Retrieved 2021-03-28.
  8. ^ David Zureick-Brown (29 March 2011). "MathOverflow (presentation slides)" (PDF).
  9. ^ Terence Tao (20 October 2009). "Math Overflow".
  10. ^ John C. Baez (March 2010). "Math Blogs" (PDF). Notice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p. 333.
  11. ^ Gil Kalai (13 November 2009). "Math Overflow".
  12. ^ Jordan Ellenberg (17 October 2009). "Why Math Overflow works, and why it might not".

추가 읽기

  • Tausczik, Yla R.; Kittur, Aniket; Kraut, Robert E. (2014).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 Study of MathOverflow". Proceedings of the 17th ACM Conference on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 Social Computing (CSCW '14), Baltimore, Maryland, USA. New York, NY, USA: ACM. pp. 355–367. doi:10.1145/2531602.2531690. ISBN 978-1-4503-2540-0.
  • Montoya, Leydi Viviana; Ma, Athen; Mondragón, Raúl J. (2013). "Social Achievement and Centrality in MathOverflow". In Ghoshal, Gourab; Poncela-Casasnovas, Julia; Tolksdorf, Robert (eds.). Complex Networks IV: Proceedings of the 4th Workshop on Complex Networks (CompleNet 2013). Berlin and Heidelberg: Springer. pp. 27–38. doi:10.1007/978-3-642-36844-8_3.
  • Martin, Ursula; Pease, Alison (2013). "Mathematical Practice, Crowdsourcing, and Social Machines". In Carette, Jacques; Aspinall, David; Lange, Christoph; Sojka, Petr; Windsteiger, Wolfgang (eds.). Intelligent Computer Mathematics: MKM, Calculemus, DML, and Systems and Projects 2013, Held as Part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Computer Mathematics (CICM 2013), Bath, UK, July 8-12, 2013, Proceedings.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Vol. 7961. Berlin and Heidelberg: Springer. pp. 98–119. arXiv:1305.0900. doi:10.1007/978-3-642-39320-4_7.

외부 링크